오후장★테마동향
입력 : 2025.04.24 14:45:02
제목 : 오후장★테마동향
테마 동향 | 주 요 테 마 |
강세 테마 | 비만치료제, 조선, 日 수출 규제(국산화 등), 건설 대표주, 엠폭스(원숭이두창), 마리화나(대마), 양자암호/양자컴퓨팅, 보톡스(보툴리눔톡신), 원격진료/비대면진료(U-Healthcare), 웹툰, SI(시스템통합), 증강현실(AR), 미용기기, 통신장비, 마 이크로바이옴, 건강기능식품, 탈모 치료, NI(네트워크통합), mRNA(메신저 리보핵산), 백신/진단시약/방역(신종플루, AI 등), 5G(5세대 이동통신), 면세점, 피팅(관이음쇠)/밸브, 테마파크, 코로나19(치료제/백신 개발 등), LNG(액화천연가스), 보안주(물리), 마이코플라스마 폐렴, 모듈러주택, 화장품 등... |
약세 테마 | 밥솥, 퓨리오사AI, 2차전지(생산), 남-북-러 가스관사업, 강관업체(Steel pipe), 시멘트/레미콘, 2차전지(LFP/리튬인산철), 아스콘(아스팔트 콘크리트), 탄소나노튜브(CNT), 창투사, 2차전지(전고체), 남북경협, 일자리(취업), 전기자전거, 무선충전기술, STO(토큰증권 발행), 태풍 및 장마, 마이데이터, 요소수, 모바일솔루션(스마트폰), 해운, 스마트폰, PCB(FPCB 등), 자원개발, 카메라모듈/부품, 희귀금속(희토류 등) 등... |
특징 테마 | 이 슈 요 약 |
조선/ 조선기자재 | 국내 주요 조선업체 1분기 호실적 등에 상승 |
▷국내 주요 조선사 및 조선기자재 업체들이 1분기 호실적을 발표. HD현대중공업은 25년1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3.82조원(전년동기대비 +27.94%), 영업이익 4,337.00억원(전년동기대비 +1,936.15%), 순이익 2,842.00억원(전년동기대비 +893.70%)을 달성. HD현대미포는 25년1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1.18조원(전년동기대비 +18.32%), 영업이익 685.00억원(전년동기대비 흑자전환), 순이익 517.00억원(전년동기대비 +2,361.90%)을 기록. 아울러 HD현대미포는 아시아 소재 선사와 1,593.00억원(최근 매출액대비 3.44%) 규모 공급계약(컨테이너선 2척) 체결(계약기간:2025-04-23~2027-05-31) 공시. ▷HD한국조선해양은 25년1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6.77조원(전년동기대비 +22.77%), 영업이익 8,592.00억원(전년동기대비 +436.32%), 순이익 6,116.00억원(전년동기대비 +216.39%)을 기록했으며, 에이치디현대삼호(주)는 25년1분기 별도기준 매출액 1.96조원(전년동기대비 +15.29%), 영업이익 3,659.00억원(전년동기대비 +96.29%), 순이익 2,714.00억원(전년동기대비 +46.07%)을 기록. HD현대마린엔진은 25년1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830.19억원(전년동기대비 +35.30%), 영업이익 102.72억원(전년동기대비 +64.43%), 순이익 138.63억원(전년동기대비 +106.72%)을 달성. ▷이에 금일 HD현대미포, HD한국조선해양, HD현대중공업, 세진중공업, HD현대마린엔진, 한국카본, 동성화인텍 등 조선/조선기자재 테마가 상승. | |
5G(5세대 이동통신)/ 통신장비 | 2025년 말 빅 사이클 진입 전망 등에 상승 |
▷하나증권은 동사에 대해 통신장비 산업에 대해 2025년 말 빅 사이클 진입 가능성 높아졌다고 분석. 특히, 2025년 세계 최대 시장인 미국과 상대적 수혜가 큰 국내에서 2025년 가을 주파수 경매가 이루어질 것으로 보여 관심을 높일 필요가 있다고 설명. 미국의 경우 4GHz대역 대역 폭이 220MHz로 적지 않아 낙찰 시 큰 수혜가 예상되며, 국내에선 5G 추가 주파수 할당에 회의적인 입장이지만 사업자 주파수 포기 위험이 크다는 점을 감안 시 2025년 3.7GHz 5G 추가 주파수 할당 가능성이 높아 2026년 국내에서 기회가 올 것으로 판단. 주파수 경매 일정을 감안하면 2025년 4분기부터 국내 통신장비 업체들의 실적 호전이 본격화될 전망이며, 빅사이클 가 능성까지 점쳐지는데 특히 미국 시장의 분위기가 살아나는 가운데 국내 시장 개화 가능성도 점쳐지기 때문이라고 밝힘. ▷한편, 일부에선 6G 투자 개시가 예상되는 2028년 말에나 국내외 통신사 네트워크 투자가 재개될 것이라고 예상하지만, 그렇게 될 가능성은 낮다고 분석. 현실적으로 사용 주파수 확대를 통한 네트워크 속도 향상 없이 통신 요금 인상이 어려울 것이란 규제 상황과 투자 규모 측면에서 6G CAPEX 부담이 커질 수 있다는 점이 대표적이며, 차라리 2026년/2029년에 신규 주파수/차세대 네트워크에 대한 투자를 감행하고 2030년까지 요금을 2번 올리는 것이 훨씬 좋은 전략이 될 수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 ▷아울러 AI와 양자암호는 5G/6G 성장을 이끌 것이며, 미국 중심으로 오픈랜 확산이 예상된다고 언급. 2024년 국내 총 트래픽이 5% 성장하는데 그쳤으며, 통신사 매출 성장에 대한 고민이 커지는 상황인데 결국 신규 주파수 투자를 통한 속도 향상과 더불어 AI/양자암호통신 탑재를 통한 요금제 개편 및 업셀링 시도가 있을 것으로 전망. ▷이와 관련, 우리로, 옵티코어, 나무기술, 에치에프알, 파이오링크, LS마린솔루션 등 5G/통신장비 테마가 상승. | |
화장품 | 트럼프 관세 정책에도 국가별 경쟁력 유지 전망 등에 상승 |
▷그로쓰리서치는 화장품 전성기를 이끌었던 미국 시장에서 트럼프 관세 정책으로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으나, 수입 국가별에 있어 K뷰티의 가격 경쟁력은 큰 저하가 없을 것으로 전망. 트럼프 2기정부 국가별 상호관세율은 한국25%, 프랑스20%, 캐나다25%, 이탈리아 20%, 멕시코 25%로 대부분 우리나라와 유사한 수준이며, 오히려 중국의 경우 145%의 관세를 부과함에 따라 중국산 제품의 경쟁력이 매우 떨어져서 이에 대한 반사이익을 볼 수 있다고 밝힘. 따라서 경쟁력에 있어 큰 악화는 없을 것으로 전망되며, 아직 K뷰티의 수출력을 의심하기엔 이르다고 판단. ▷오히려 미국 현지 생산 체제를 갖추고 있는 ODM사는 이러한 상황 속에 직접적인 수혜를 받을 것으로 전망. 미국 수출 비중이 높은 국내외 고객사들이 관세 부과를 피하고자 현지 생산 인프라를 갖춘 제조업체에게 외주 요청 주문량이 쏠릴 수 있기 때문이며, 관세 여파에도 불구하고 대미 화장품 수출액 성장률이 지속적으로 마이너스를 기록하지 않는 한 지금까지 미국에서 쌓아온 입지는 유지될 것으로 분석. ▷이와 관련, 콜마홀딩스, 제닉, 에이피알, 제이준코스메틱, 잉글우드랩, 한국콜마 등 화장품 테마가 상승. | |
소매유통 | 밸류에이션 회복 전망 등에 상승 |
▷한국투자증권은 유통 섹터에 대해 작년보다는 모든 것이 유리한 상황이라고 분석. 특히, 출산율 회복이 이어지는 중이며, 출산율의 반등은 유통 섹터에 긍정적이라고 설명. 소매산업이 주된 시장인 유통 기업한테 출산율의 하락은 밸류에이션의 하락 요인이기 때문이며, 올해 섹터의 주가가 반등하긴 했지만 지난 10년을 놓고 보면 주가는 지속적으로 우하향했고, 향후 출산율의 회복이 이어진다면 유통 섹터의 밸류에이션 또한 회복될 수 있을 것으로 전망. ▷아울러 작년부터 이어져온 경쟁 완화는 올해도 이어질 것으로 전망. 작년 티메프 사태 이후로 소매산업 내 경쟁 완화 기조가 이어지고 있으며, 이마트가 공동 매입(마트와 트레이더스의 상품을 공동으로 매입하여 단가를 낮추는 전략)을 진행하기 전임에도 2024년 하반기 할인점의 GPM이 개선되었는데(+48bp YoY), 이는 온라인 산업 성장률 둔화와 티메프 사태, 그리고 쿠팡의 전략 변화(ex. 국내는 3P 중심 확대, 해외 사업에 집중) 등에 따라서 산업 내 경쟁이 완화되었기 때문으로 분석. ▷이와 관련, 이마트, 현대백화점, 신세계, 롯데쇼핑 등 소매유통 테마가 상승. | |
코로나19(진단키트) | 국내 진단 업계 제품·연구개발 역량 입증 소식 등에 상승 |
▷일부 언론에 따르면, 국내 바이오·진단 기업들이 종양학(oncology) 분야에서 제품력과 연구개발 역량을 입증하고 있는 가운데, 해외 유력 학회와 시장 진출에 속도를 내면서 실적 상승에 대한 기대감을 높이고 있다고 전해짐. 최근 젠큐릭스와 씨젠이 글로벌 시장에서 이목을 끄는 연구 성과를 확보했다며, 씨젠은 중합효소연쇄반응(PCR) 검사 연구개발(R&D), 젠큐릭스는 유방암 진단 등 체외진단(IVD) 분야에서 각각 두각을 드러냈음. ▷특히, 씨젠은 세계 최초로 모든 과정을 자동화한 진단시스템 ‘큐레카(CURECA)’를 개발했다며, 오는 7월 미국 진단검사의학회(ADLM)에서 큐레카의 실물을 처음으로 공개할 계획임. 젠큐릭스는 유방암 예후 진단 분야에서 자사가 개발한 ‘진스웰 BCT’가 전 세계적으로 점유율이 가장 높은 제품인 미국 지노믹헬스의 ‘온코타입DX’ 보다 예측력이 높다는 연구 결과를 확보. ▷한편, 다올투자증권은 씨젠에 대해 1분기 호흡기 진환의 비수기임에도 비코로나 진단시약을 바탕으로 영업이익이 흑자전환할 것으로 전망. 1분기 연결기준으로 매출 1,072억원, 영업이익 47억원으로, 2024년 1분기와 비교해 매출은 19% 증가하고 영업이익은 흑자로 돌아설 것으로 전망. ▷이 같은 소식 속 씨젠, 유바이오로직스, 나노엔텍, 바디텍메드 등 코로나19(진단키트) 테마가 상승. | |
지능형로봇/인공지능(AI) |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예비후보, 국가 AI 컴퓨팅센터 확충 소식 속 일부 관련주 상승 |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경선 후보가 이날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호남 지역 공약’을 게재하며 “AI 에너지 산업과 농생명이 함께 성장하는 지속가능한 메가시티, 새로운 호남 시대를 열겠다”고 밝힘. 이 후보는 “광주가 ‘국가 AI 데이터센터’에 이어, 고성능 반도체를 집적한 ‘국가AI 컴퓨팅센터’까지 확충해 AI 선도 도시로 만들겠다”면서 “AI 집적단지와 미래 모빌리티 부품 클러스터를 조성해 첨단산업 생태계를 구축하겠다”고 언급. ▷한편, 안철수 국민의힘 대선 경선후보와 이준석 개혁신당 대선후보는 25일(금) 오후 2시 'AI 기술 패권 시대 대한민국의 미래를 말하다'라는 주제로 ‘안철수X이준석, 미래를 여는 단비토크’를 진행할 예정. ▷이 같은 소식 속 오브젠, 시선에이아이, 모아데이타, 산돌, 비아이매트릭스, 비큐AI 등 일부 지능형로봇/인공지능(AI) 테마가 상승. |
[인포스탁 테마분류를 통해서 상세한 기업개요 및 테마개요/관련종목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Copyright ⓒ True&Live 증시뉴스 점유율1위, 인포스탁(www.infostock.co.kr)
기사 관련 종목
07.04 15:30
HD현대미포 | 172,000 | 11,400 | -6.22% |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
1
내년 '섬의 날' 행사 개최지로 여수시 선정
-
2
중기부, 현지 정보제공 '해외멘토단 프로그램' 운영
-
3
[게시판] 우체국 럭키 체크카드 출시…편의점 등 최대 10% 캐시백
-
4
[게시판] 금감원, 보험사기 예방·근절 위한 대국민 집중 홍보
-
5
[게시판] 환경부·금융위, 녹색금융 실무역량 강화 교육
-
6
스테이블코인 활성화에 블록체인 미래는…올해 첫 '에이블' 회의
-
7
국민취업제도 취업준비 지원 30만5천→36만명으로 5만5천명 확대
-
8
"정책서민금융상품 너무 많아…통합하고 민간금융사 연계해야"
-
9
여름배추 공급에 총력대응…농식품부 장관, 평창서 출하 점검
-
10
은행들 비대면 대출 재개…우리·농협 등 이번 주 재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