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조업 기반' 뿌리산업에 6천846억원 지원한다…작년보다 7% ↑
산업부 '2025년 뿌리산업 진흥 실행계획' 확정…"범정부 차원서 성장 지원"
김동규
입력 : 2025.04.29 06:00:02 I 수정 : 2025.04.29 07:30:37
입력 : 2025.04.29 06:00:02 I 수정 : 2025.04.29 07:30:37

[연합뉴스 자료사진]
(서울=연합뉴스) 김동규 기자 = 정부가 제조업 기반인 '뿌리산업' 육성을 위해 작년보다 7% 늘린 6천846억원의 예산을 투입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관계부처 협업을 통해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하는 '2025년 뿌리산업 진흥 실행계획'을 확정했다고 29일 밝혔다.
뿌리산업은 ▲ 주조, 금형, 소성가공, 용접, 표면처리, 열처리 등 6대 기반 공정산업 ▲ 사출·프레스, 정밀가공, 적층 제조, 필름 및 지류 등 소재 다원화 공정산업 ▲ 로봇, 센서, 산업지능형 소프트웨어(SW), 엔지니어링 설계 등 지능화 공정산업 등의 3개 부문 14대 업종을 말한다.
정부는 영세 산업이라는 이미지 때문에 인력과 입지 확보, 투자 유치 등에서 어려움을 겪던 기반 공정산업 등을 뿌리산업으로 지정해 지원하고 있다.
올해 지원 예산은 작년보다 7% 증액했다.
정부는 인력 확보와 기업 성장, 기술 혁신과 공정 지능화, 산업 생태계 강화 등 3대 전략을 중심으로 실행계획을 추진하기로 했다.

[정연주 제작] 일러스트
먼저 뿌리산업이 지속적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인력 확보를 위해 청년층 대상 채용 매칭 프로그램을 도입하고, 현장 전문인력을 양성하는 교육기관을 4곳 추가로 지정한다.
외국인 기술 인력 양성대학도 올해 2곳 이상 신규로 지정한다.
성장에 어려움을 겪는 뿌리기업을 위해 정책자금 우대 및 긴급 경영 안정 자금 지원을 제공하고, 공장 신·증설을 추진하는 기업에 전문가 입지 컨설팅을 제공한다.
기술 혁신으로 첨단·주력 산업에 주도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차세대 공통·핵심 뿌리기술 15개를 올해 8개를 시작으로 6년간 개발해 보급한다.
아울러 뿌리 공정이 지능화될 수 있도록 제조 공정 자동화, 지능형 공정 전환, 로봇 도입 등을 지원하고, 경기 시흥(공정 혁신 시뮬레이션), 경북 구미(금형), 경북 성주(열처리) 등에 디지털 전환 기술지원 거점을 구축한다.
각 지역 뿌리산업 특화단지를 중심으로 대학, 연구기관 등이 협업하는 지역산업 연계, 공용 장비·시설 구축 등 공동 해결 과제를 지원하는 등 지역 생태계 강화도 지원한다.
신규 거래와 기술 협업이 활발히 이뤄지도록 뿌리기업과 수요기업 간 매칭과 제품 공정 개발을 지원하는 플랫폼을 구축하고 시범 서비스에 나선다.
산업부 관계자는 "뿌리산업 업계가 활력을 회복하고 새로운 글로벌 선도 기업이 탄생할 수 있도록 관계부처와 함께 범정부적 차원에서 뿌리산업의 혁신과 성장을 위한 지원에 나서겠다"고 말했다.
dkkim@yna.co.kr(끝)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
1
개장전★주요이슈 점검
-
2
우진비앤지, 뉴질랜드에 반려동물유산균 첫 수출
-
3
한화오션, 산은 지분매각 소식에 10%대 급락…한화그룹株 약세
-
4
오늘의 이슈&테마 스케줄
-
5
“도시를 변화시키는 상상력”…희림건축이 그리는 서울의 내일 ‘주목’
-
6
미국 테마시황
-
7
넥스틴, 63.82억원 규모 공급계약(Wafer Inspection System KROKY) 체결
-
8
SOOP, 25년1분기 연결 영업이익 327.44억원, 컨센서스 추정치 상회
-
9
투자주체별 매매동향 / 프로그램 매매동향
-
10
가족은 건드리지 말아달라던 ‘이 남자’ 처가와 관계 단절 선언한 이유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