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테마시황

입력 : 2025.04.29 08:37:01
제목 : 미국 테마시황
4/28(현지시간) 뉴욕증시가 美/中 무역 협상 주시, 주요 빅테크 실적 및 경제지표 대기 속 혼조세를 보인 가운데, 주요 테마들은 상승이 우세. 특히, 보잉(+2.44%)이 투자은행 번스타인의 투자의견 상향 조정 소식에 상승하는 등 산업재 테마가 상승했고, 금 가격 반등 속 뉴몬트(+0.24%) 등 금(金) 테마가 상승. 이 외 애플(+0.41%) 등 모바일, 버라이즌(+1.15%) 등 통신, 화이자(+0.57%) 등 제약/바이오, 비자(+0.70%) 등 카드, 메트라이프(+1.00%) 등 보험, 델타 항공(+0.91%) 등 항공, 에어비앤비(+0.64%) 등 여행, 라스베가스 샌즈(+0.42%) 등 카지노, 테슬라(+0.33%) 등 전기차, 솔라엣지(+1.04%) 등 신재생에너지, 도미니언 에너지(+1.49%) 등 전력, 발레(+1.05%) 등 광산 등의 테마가 양호한 모습.

반면, 중국 화웨이가 엔비디아칩을 대체할 수 있는 고성능 인공지능(AI) 반도체를 개발 중이라는 소식에 엔비디아(-2.05%)가 하락하는 등 반도체 테마가 부진한 모습을 나타냈고, 이베이(-2.23%) 등 전자상거래, 코인베이스(-2.08%) 등 가상화폐, UPS(-0.84%) 등 운송/물류, 다우(-0.23%) 등 화학, 아이온큐(-0.69%) 등 양자컴퓨팅 등의 테마가 하락.


관련 테마분석
반도체 대표주(생산)
메모리, 플래시메모리, 비메모리, 주문형반도체를 제조하고 있는 국내 메이저 반도체생산업체들. IT경기와 밀접한 상관성을 보이고 있으며 이들 업체들의 설비투자와 분기실적이 반도체장비/소재업체들의 주가에 큰 영향을 주고 있음.
- 히스토리

☞2025-04-28 모건스탠리, 하반기 메모리 반도체 수요 절벽 가능성 전망 등에 하락
☞2025-04-25 美 필라델피아 반도체(+5.63%) 지수 급등 및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예비후보, 경기도 반도체 메가 클러스터 공약 등에 상승(주도주 : SK하이닉스, DB하이텍)
☞2025-04-23 美/中 무역갈등 완화 기대감 속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2.14%) 급등 영향 등에 상승(주도주 : SK하이닉스, DB하이텍, 삼성전자)
☞ 관련종목 리스트 바로보기

IT 대표주
반도체, 디스플레이(OLED 등), 가전 등 국내 대표 IT 기업군.
- 히스토리

☞2025-04-10 트럼프 대통령, 중국 제외 국가별 상호관세 90일간 전격 유예 소식 등에 상승(주도주 : LG디스플레이, SK하이닉스, 삼성전자, LG전자)
☞2025-04-03 美 상호관세 발표 속 글로벌 무역전쟁 우려 확산 등에 하락
☞2025-03-11 美 대형 기술주 급락 등에 하락
☞ 관련종목 리스트 바로보기

시스템반도체
시스템반도체란 다양한 기능을 집약한 시스템을 하나의 칩으로 만든 반도체로 메모리반도체와 달리 논리적인 정보처리 기능을 담당하고 있으며, 비메모리의 대부분을 차지함에 따라 통상 비메모리반도체라고 불림. 스마트폰, 태블릿PC, 스마트 TV(3D TV 등), 자동차(전장화, 지능화) 등 IT융/복합 기기에 사용되며, 첨단 IT제품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면서 활용범위가 크게 확대 됨. 이에 따라 수혜가 예상되는 종목군임.
- 히스토리

☞2025-04-28 모건스탠리, 하반기 메모리 반도체 수요 절벽 가능성 전망 등에 하락
☞2025-04-25 美 필라델피아 반도체(+5.63%) 지수 급등 및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예비후보, 경기도 반도체 메가 클러스터 공약 등에 상승(주도주 : 미래반도체, 리노공업, 퀄리타스반도체, 엠디바이스)
☞2025-04-23 美/中 무역갈등 완화 기대감 속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2.14%) 급등 영향 등에 상승(주도주 : 한미반도체, 테크윙, 사피엔반도체, 미래반도체)
☞ 관련종목 리스트 바로보기

항공기부품
항공기 부품 생산업체. 글로벌 항공기 제조 시장은 Boeing, Lockheed Martin, Airbus Group 등이 과점하는 형태를 띄고 있으며, 항공기 제조 계획에 따라 자체 제조 또는 아웃소싱을 통해 모듈 및 부품을 조달 받고 있음. 항공 산업의 경우 안전성이 최우선 고려사항으로 장기간 거래실적, 신뢰관계 등을 사전에 확보해야하기 때문에 단기 진입이 어려운 산업임.
- 히스토리

☞ 관련종목 리스트 바로보기

온디바이스 AI
온디바이스(On-device) AI는 물리적으로 떨어진 서버의 연산을 거치지 않고 기기 자체에서 AI 기능을 구현하는 기술. 외부 서버나 클라우드에 연결되어 데이터와 연산을 지원받았던 기존의 클라우드 기반 AI에서 벗어나, 기기 자체에 탑재되어 직접 인공지능(AI) 서비스를 제공. 통신 상태의 제약을 받지 않으며, 보안성이 높고 정보 처리 속도가 빠르다는 점에서 차세대 기술로 주목받고 있음. 온디바이스 AI를 탑재한 기기의 경우 AP와 신경망처리장치(NPU) 고사양화에 따라 D램과 낸드 용량 증가도 뒤따를 것으로 예상.
- 히스토리

☞2025-04-28 모건스탠리, 하반기 메모리 반도체 수요 절벽 가능성 전망 등에 하락
☞2025-04-10 트럼프 대통령, 중국 제외 국가별 상호관세 90일간 전격 유예 소식 등에 상승(주도주 : 퀄리타스반도체, SK하이닉스, 가온칩스, 유니퀘스트)
☞2025-04-07 트럼프, 반도체 개별관세 부과 예고, 美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7.60%) 폭락 영향 등에 하락
☞ 관련종목 리스트 바로보기

Copyright ⓒ True&Live 증시뉴스 점유율1위, 인포스탁(www.infostock.co.kr)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04.29 19:59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