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세전쟁에 韓국채로 쏠린 외인…지난달 국채선물 35조 '폭풍쇼핑'
국고채 3년물 금리 30bp 이상 내려…경기둔화 우려·금리인하 기대증권가 "한은, 연내 기준금리 3회 인하 가능성"
임은진
입력 : 2025.05.06 06:05:01
입력 : 2025.05.06 06:05:01

[사진공동취재단=연합뉴스 자료사진]
(서울=연합뉴스) 임은진 기자 = 지난달 미국발 관세전쟁으로 안전자산 선호 심리가 확산한 가운데 외국인 투자자들이 우리나라 국채 선물을 대거 사들인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 관세 부과로 인한 국내 경기 둔화 우려 속에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인하할 것이란 기대도 작용한 것으로 해석된다.
6일 연합인포맥스에 따르면 4월 한 달 동안 외국인 투자자는 3년 국채 선물을 21만4천313계약 순매수했다.
금액으로는 23조200억원이다.
특히 14일과 22∼24일 등 4거래일을 제외하면 이 기간 매일 매수 우위를 기록했다.
10년 국채 선물은 10만2천523계약 순매수했다.
금액으로는 12조3천400억원 규모다.
지난 8일과 9일, 11일, 24일 등 4거래일을 빼면 역시 10년 국채 선물도 매일 순매수했다.
3년과 10년 국채선물을 합치면 순매수액이 35조3천600억원에 달한다.
외국인 투자자의 강한 매수세는 국고채 금리에 하방 압력을 더했다.
통상 외국인 투자자의 국채 선물 매수로 가격이 상승하면 국내 기관 투자자는 국채 선물을 팔고 현물을 사들일 유인이 발생해 국고채 금리는 내려가는 경향을 보인다.
채권 가격과 금리는 반대 방향으로 움직인다.
국고채 3년물의 경우 지난달 30bp(1bp=0.01%포인트) 이상 하락해 2.300%를 밑돌았다.
4월 30일 종가는 연 2.267%였다.
이 같은 채권 매수세는 지난달 2일(현지시간) 미국 트럼프 행정부의 상호관세 발표로 나타난 안전자산 선호 현상과 맞물린 것으로 풀이된다.
당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시장의 예상보다 훨씬 높은 관세율을 발표하자 글로벌 경기 하강 우려가 커지면서 주가는 급락하고 자금이 채권으로 몰리는 쏠림 현상이 여실하게 나타났다.
특히 오락가락하는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으로 미국 국채의 안전자산으로서 지위가 흔들리자 글로벌 자금이 '대체재'를 찾는 과정에서 한국 국채로 눈을 돌렸다는 분석도 나온다.
미국 국채 10년물 금리는 지난달 중 4.4920%까지 오르기도 했다.
윤여삼 메리츠증권 연구원은 "트럼프 관세 부과에 대한 충격이 경기 둔화와 달러 자산 매도로 연결돼 미국 자산의 약세가 심화했다"고 설명했다.
반면 한국 국채는 "경기 둔화와 금리 인하 사이클, 원화 저평가, 차익 거래 유인, 크레딧(신용 채권) 공급 제한 등 강세 재료가 심화하며 주요국 채권 중 가장 강한 (금리) 하향 안정 흐름을 이어가고 있다"고 전했다.
여기에 한국은행이 경기 둔화 우려에 기준금리 인하를 지속할 것이라는 기대감이 지속한 영향으로 해석된다.
한국은행이 5월 금융통화위원회에서 기준금리를 인하할 것이라는 게 시장의 대체적인 관측이다.
이화진 현대차증권 연구원은 "IMF(국제통화기금)가 관세 전쟁 영향을 반영하면서 1월 경제 성장률 전망 대비 큰 폭으로 하향 조정하면서 기준금리 인하 폭도 커질 것"이라며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현행 연 2.75%에서 연 2.00%로 연내 세 차례 인하할 가능성이 커졌다고 말했다.
engine@yna.co.kr(끝)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
1
코스닥지수 : ▼4.02P(-0.56%), 717.84P
-
2
삼성운용 “KODEX 미국 대표지수 ETF 2종 유보 배당금 15분기 동안 분배”
-
3
카카오페이, 25년1분기 연결 영업이익 44.11억원, 컨센서스 추정치 상회
-
4
카카오페이, 25년1분기 별도 영업이익 135.61억원
-
5
갤럭시아에스엠(011420) 소폭 상승세 +3.11%
-
6
현대퓨처넷, 25년1분기 연결 영업이익 37.67억원
-
7
인크로스, 25년1분기 연결 영업이익 20.08억원
-
8
투자주체별 매매동향 / 프로그램 매매동향
-
9
“공모주 한파 이겨낼까”…‘K뷰티 기대주’ 등 3곳 일반청약
-
10
스피어(347700) 소폭 상승세 +3.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