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봄 주꾸미 위판량 5분의 1로 줄어…'봄 주꾸미' 옛말
인천·경기·충남 등 서해안 위판량 2020년 대비 급감저수온 영향…연간 주꾸미 감소량 대비 봄철 감소폭 커
전재훈
입력 : 2025.05.07 07:01:01
입력 : 2025.05.07 07:01:01

(서천=연합뉴스) 충남 서천군 서면 마량진항에서 동백꽃·주꾸미 축제가 개막한 가운데 어린이 등 관광객들이 주꾸미 낚시 체험을 하고 있다.2023.3.19 [서천군 제공.재판매 및 DB 금지] jchu2000@yna.co.kr
(서울=연합뉴스) 전재훈 기자 = 올해 초 저수온 현상이 길어지면서 주꾸미 주산지인 서해안의 주꾸미 위판량이 5년 전인 2020년의 5분의 1 수준으로 급감했다.
7일 수협중앙회에 따르면 주꾸미 제철인 지난 2월 말부터 4월까지 주산지인 서해안(인천 경기 충남 전북)의 주꾸미 위판량은 404t(톤)으로 지난 2020년(2천7t)보다 약 80.0% 줄었다.
전북에선 같은 기간 주꾸미 위판량이 151t에서 13t으로 10분의 1 수준으로 쪼그라들었다.
연간 주꾸미 어획량을 보면 2020년 3천327t에서 작년 1천748t으로 47.5% 줄었다.
봄에 잡히는 주꾸미의 감소 폭이 더 컸다.
수협중앙회 관계자는 "올해 늦추위로 수온이 유난히 낮아 난류성 어종인 주꾸미가 제대로 어군을 형성하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국립수산과학원의 연안 수온 정보에 따르면 서해의 수온 관측치는 지난 2월 초(4∼10일) 3.6도로 작년보다 1.5도 낮았고, 2월 18∼24일은 전년보다 2.6도 낮았다.
서해 수온은 지난 1월부터 한 주를 제외하고 최근까지 줄곧 작년보다 낮은 수준을 보였다.
2월 들어서는 평년보다도 낮은 수온을 보이다 지난 달 22∼28일부터 평년보다 높아지기 시작했다.
이런 저수온의 영향으로 올해 2∼4월 경인 지역 주꾸미 위판량도 지난 2020년보다 77.8% 감소했다.
경인 지역의 한 어촌계 관계자는 "어민들이 주꾸미 대신 소라나 수출용 가재를 잡고 있는데, 대중적으로 소비되는 수산물이 아니기 때문에 소득이 줄어들어 힘든 상황"이라고 전했다.

(강원 고성=연합뉴스) 류호준 기자 = 17일 오전 동해 최북단 저도어장에서 어민들이 조업하고 있다.2025.4.17 ryu@yna.co.kr
전문가들은 강해지는 저수온 현상의 근본적인 원인 중 하나로 기후변화를 꼽는다.
앞서 수과원은 저수온 현상이 기후변화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분석했다.
기후변화로 겨울철 이상 한파가 강해질수록 봄 바다의 수온이 낮아지는 현상도 강해진다는 것이다.
수과원은 '2023 수산 분야 기후변화 영향 및 연구서'에서 기후변화로 인해 여름철 고수온과 함께 겨울철 저수온이 강화되고 있다고 밝혔다.
해수부는 올봄 주꾸미 위판량 감소는 저수온이 강해지는 주기에 따라 발생한 통상적인 현상이지 기후변화에 따른 결과는 아니라고 강조했다.
해수부 관계자는 "저수온이 지속되고 있지만 기후변화의 영향이라기보다 통상의 (저수온) 패턴 안에 있는 수준"이라고 설명했다.
해수부는 기후변화에 따른 어획량 감소, 양식 어종 폐사 문제가 끊이지 않아 어민의 어업 면허 전환이나 양식장을 이전해주는 작업에 착수할 계획이다.
해수부 관계자는 "어민의 주거지 이전 등 고려해야 할 문제가 많아 현장을 돌면서 대책을 정리하고 있다"며 "이르면 다음 달부터 본격적인 작업에 착수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kez@yna.co.kr(끝)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