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텔레콤 해킹에 남몰래 웃는 삼성전자·애플…이유는 '이심'

이심 보편화하면 스마트폰 슬림화 가능하고 배터리 사용시간 늘어 이득
조현영

입력 : 2025.05.10 06:00:01


삼성·애플
[연합뉴스TV 제공]

(서울=연합뉴스) 조현영 기자 = SK텔레콤[017670] 해킹 사고의 여파가 수그러들지 않는 상황에서 표정관리 중인 업계가 있다.

바로 삼성전자[005930]와 애플 등 스마트폰 제조업계다.

SK텔레콤은 유심 정보 유출로 인한 피해를 우려하는 고객을 위해 지난달 25일 유심 무상 교체를 결정했다.

유심 재고가 부족해지자 이심(eSIM)이 대체재로 떠올랐는데, 스마트폰 제조업체 입장에서는 이심 사용이 보편화되면 스마트폰을 더욱 얇게 만들 수 있는 등 이점이 있다.

10일 통신업계에 따르면 지난달 22일 해킹 사고가 알려진 이후 하루에 이심에 가입하는 SK텔레콤 가입자는 그 전과 비교해 약 40배 증가했다.

이심은 물리적으로 단말기에 끼우는 유심과 달리 스마트폰에 내장된 가입자 식별 모듈인데, 유심 재고가 부족한 상황이 이어지면서 유심 대신 이심으로 교체하는 이용자가 급격하게 늘어난 것이다.

SK텔레콤이 이심 '셀프 교체'를 더욱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간소화 절차를 마무리하면 이심 가입자는 더욱 증가할 전망이다.

단순 교체 시 선택할 필요 없는 '가입 유형', '요금제 선택' 등 절차를 생략하는 방향으로 서비스를 개선하고 있다.

이르면 금주 내 개선이 완료된다.

SK텔레콤은 "고객이 유심 교체를 원하면 유심 교체를, 이심으로 교체를 원하면 이심으로 교체하도록 하고 있다"고 밝혔다.

스마트폰 제조사들은 이심 이용자 증가를 반기는 분위기다.

일반적으로 소비자는 얇고 가벼운 스마트폰을 선호한다.

이에 따라 삼성은 13일 역대 갤럭시 중 가장 얇은 '갤럭시 S25 엣지'를 공개할 예정이며 애플도 슬림 모델을 연내 출시할 것으로 관측된다.

업계는 이심 사용이 보편화하면 유심칩이 들어갈 자리가 필요 없어져 제품을 더욱 얇게 만들 수 있을 뿐 아니라, 배터리 사용 시간도 소폭 늘어난다고 설명했다.

한 스마트폰 업계 관계자는 "제품을 얇게 만드는 데 있어 유심이 들어갈 공간이 물리적으로 존재하는 것은 설계상 큰 장애"라며 "이 자리가 사라지면 배터리 사용량도 줄일 수 있다"고 말했다.

또 다른 업계 관계자도 "이심을 쓰면 유심을 쓸 때보다 배터리 사용 시간이 길어지고 슬림화에도 도움이 된다"고 설명했다.

다만 이 관계자는 배터리 사용 시간이 소비자가 체감할 정도로 크게 차이 나지는 않는다고 덧붙였다.

개통이 쉽고 간편하다는 이점으로 인해 미국에서는 이미 2022년부터 이심 사용이 보편화됐다.

이심은 세계이동통신사업자협회(GSMA)가 정의한 국제 표준이기도 하다.

국내에서 이심 도입이 늦어진 이유는 통신사들이 유심을 수익원 중 하나로 인식하고 있는 데다 고객이 유심 교체를 위해 대리점에 방문할 경우 부가서비스 등을 영업할 수 있어 이심으로 교체를 적극 권장하지 않았기 때문으로 알려졌다.

한편, 이심은 지원하는 단말기가 아이폰의 경우 XS 시리즈 이상, 갤럭시의 경우 S23 이상으로 비교적 최신 기종으로 한정된다는 제약이 있고 기기에 내장돼 있어 기기를 교체할 때 번거롭다는 단점이 있다.

또 스마트폰 파손 시 이심을 이동할 수 없어 통신사 회선을 활용한 인증이 어려울 수 있다.



'금일 유심 재고 소진'
(서울=연합뉴스) 김도훈 기자 = SK텔레콤이 유심 고객정보 해킹 사고로 관련 유심 무료 교체 서비스에 나선 28일 서울 시내 한 SK텔레콤 대리점에 '금일 유심 재고 소진' 안내문이 붙어 있다.2025.4.28 superdoo82@yna.co.kr

hyun0@yna.co.kr(끝)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05.10 21:48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