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F부실에 연체율 '빨간불' 금감원, 저축은행 정조준

이소연 기자(lee.soyeon2@mk.co.kr)

입력 : 2025.05.19 17:57:36 I 수정 : 2025.05.19 20:23:44
전국 79개 업체와 긴급회의
OK銀 등 10곳은 현장조사
연체율 목표치 제출도 요구




금융당국이 재무 상황이 악화한 저축은행을 직접 압박하고 나섰다. 19일 당국에 따르면 금융감독원은 이날 전국 79개 저축은행 최고경영자(CEO)를 불러 건전성 관리를 위한 워크숍을 열었다. 당국이 저축은행권 전체를 소집해 회의를 한 것은 이례적인 일이다.

이날 금감원은 연체율이 급증한 OK저축은행 등 10여 개 업체에 대해 현장 조사에 나서며 오는 9월 예금자보호한도 1억원 상향을 앞두고 전 업권에 연체율 관리 목표를 제출하라고 요구했다.

최근 급증한 연체율을 통제하며 리스크 대응에 대한 긴장감을 높이겠다는 것이다. 또 다음달 초 이복현 금감원장 임기 만료를 앞두고 그동안 금감원이 집중해온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 정리를 마무리하려는 의도라는 분석이다.

이날 워크숍에선 SBI저축은행 등 건전성 관리 우수 사례도 소개됐다. SBI저축은행의 지난해 말 연체율은 4.97%로 업계 평균(8.52%)을 크게 밑돈다. 당국은 연체율 차이가 CEO의 리스크 판단 능력에서 비롯된 결과라고 보고 있다. '당근과 채찍' 전략을 통해 업권 내 자산건전성을 끌어올리겠다는 의도로 읽힌다.

금감원은 자산 기준 업계 2위인 OK저축은행을 시작으로 연체율이 높은 저축은행에 대한 조사에 들어갔다. 예금자보호한도가 기존 5000만원에서 1억원으로 늘어나면 고금리 상품을 앞세운 저축은행 등 제2금융권으로 자금 쏠림 현상이 나타날 수 있다는 점도 경계하고 있다. 예금보험공사는 예금자보호한도를 높이면 저축은행 예금이 16~25% 불어날 수 있다고 추산했다. 한국금융학회에선 최대 40%까지 증가할 수 있다는 분석도 나왔다. 올 2월 말 기준 저축은행 수신잔액(약 100조원)을 기준으로 추산하면 16조~40조원가량이다.

당국은 늘어난 자금이 고수익 유가증권, PF 등으로 흘러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리스크 관리를 강화한다. 당국 관계자는 "운영처가 없는 상황에서 고금리 조달로 역마진이 나지 않도록 올해 연체율 목표치를 받을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날 금감원은 저축은행에 연체율 관리를 위해 여신심사위원회와 리스크위원회가 독립성을 유지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할 것을 주문했다. 대표이사가 결정에 관여할 수 없게 위원회 역할을 강화하라는 것이다.

[이소연 기자]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05.19 21:13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