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에셋자산운용은 총 운용자산이 400조원을 돌파했다. 해외에 진출한 지 22년 만에 400조원을 운용하는 글로벌 자산운용사로 발돋움했다. 앞으로 글로벌 상장지수펀드(ETF), 연금, 인공지능(AI) 중심의 혁신을 통해 미래 금융 시장을 이끌 계획이다.
21일 미래에셋자산운용은 2003년 홍콩법인을 설립하며 국내 운용사 최초로 해외 시장에 진출한 뒤 현재까지 미국, 베트남, 브라질, 영국, 인도, 일본 등 16개 지역에서 총 403조원을 운용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 중 약 45%에 달하는 181조원은 해외에서 운용되고 있다.
미래에셋그룹 글로벌전략가(GSO) 박현주 회장은 미국 글로벌엑스(Global X), 캐나다 호라이즌스(Horizons ETFs), 호주 스톡스팟(Stockspot) 등과 인수·합병(M&A)을 통해 미래에셋자산운용의 글로벌 경쟁력을 키워왔다. 2022년 말 250조원이었던 운용자산은 2023년 말 305조원, 2024년 말 378조원으로 꾸준한 성장세를 기록하고 있다.
특히 글로벌 ETF 운용사로서 경쟁력이 더욱 강화되고 있다. 현재 미래에셋자산운용은 전 세계에서 총 212조원 규모의 ETF를 운용 중이다. 이는 국내 전체 ETF 시장(약 200조원)보다 큰 규모다. 글로벌 ETF 운용사로는 12위 수준이다.
지난 10년간 글로벌 ETF 운용사들의 연평균 성장률은 17.8%인 반면, 미래에셋자산운용은 2배가량인 34.4%의 성장률을 기록했다. 미래에셋자산운용은 이 같은 성과에 대해 글로벌 투자자들에게 '킬러 상품(Killer Product)'을 선보인 결과라고 강조했다.
세계 최대 ETF 시장인 미국에서 글로벌엑스는 전통 운용사와 차별화된 혁신적인 테마와 인컴형 상품을 제공하며 글로벌 최상위 ETF 공급자로 성장했다. 2018년 미래에셋자산운용이 인수할 당시 8조원에 불과했던 운용 규모는 현재 80조원으로 약 10배 증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