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어스온, 인도네시아까지 사업영토 넓힌다…2개 유망 광구 낙찰
생산물분배계약 체결해 광권 확보…"동남아 지역 클러스터링 전략 궤도"
장하나
입력 : 2025.05.22 08:00:05
입력 : 2025.05.22 08:00:05
(서울=연합뉴스) 장하나 기자 = SK이노베이션의 에너지 자원개발 자회사 SK어스온이 동남아시아 지역 주요 산유국인 인도네시아에서 유망 광구 2개를 낙찰받았다.
동남아 '빅3' 산유국인 베트남과 말레이시아에 이어 인도네시아까지 사업 영토를 확장하게 되면서 SK어스온의 동남아 지역 클러스터링(핵심지역 집중화) 전략이 궤도에 오르게 됐다.

SK어스온 인도네시아 광구 위치도
[SK어스온 제공.재판매 및 DB 금지]
SK어스온은 인도네시아 정부가 발주한 원유·가스 자원개발 사업 경쟁 입찰에서 자바섬 인근의 세르팡과 말루쿠 제도 인근의 비나이야 등 2개 광구를 낙찰받았다고 22일 밝혔다.
SK어스온은 최근 프라보워 수비안토 인도네시아 대통령과 바흘릴 라하달리아 에너지광물자원부 장관 등이 참석한 가운데 인도네시아 석유·가스 관리청과 이들 2개 광구에 대한 생산물분배계약을 체결, 광권을 공식 확보했다.
생산물분배계약은 계약자가 탐사·개발에 필요한 자금과 위험을 부담하고, 원유·가스 생산 시 현지 정부와 계약자가 미리 정한 비율에 따라 생산물을 나눠 가지는 방식이다.
이들 광구 면적은 각각 약 8천500㎢로, 서울시의 약 14배 넓이다.
자바섬 북동부 지역에 있는 세르팡 광구는 인접한 다수 광구에서 이미 원유와 가스가 생산되고 있어 인도네시아에서 가장 유망한 유전 지역으로 분류된다.
외신 보도에 따르면 세르팡 광구 전체의 미발견원시부존량은 원유 12억 배럴, 가스 6조3천억 입방피트 규모로 추산된다.
SK어스온은 세르팡 광구 지분 14%를 갖고, 말레이시아 국영석유회사인 페트로나스와 일본 최대 자원개발 회사인 INPEX가 각각 51%, 35%의 지분을 보유한다.
비나이야 광구는 동인도네시아 지역에서 신규 탐사 활동이 가장 활발한 지역에 위치해 있다.
비나이야 광구 전체의 미발견원시부존량은 원유 67억 배럴, 가스 15조 입방피트에 달할 것으로 기대된다.
SK어스온의 지분은 22%이며, 인도네시아 국영석유회사인 페르타미나와 페트로나스 지분이 각각 56%, 22%다.
SK어스온은 앞으로 3년간 이들 2개 광구에서 지질 분석, 탄성파 탐사 등 탐사 작업을 수행하고, 시추 가능한 구조를 발굴해 낼 계획이다.

베트남 호치민 남동부 해상에 위치한 SK어스온 15-1/05 광구 전경
[SK어스온 제공.재판매 및 DB 금지] photo@yna.co.kr
이번 광권 확보로 인도네시아까지 사업영토를 확장하면서 베트남과 말레이시아 등 동남아 주요 산유국을 묶는 클러스터링 전략도 한층 탄력을 받을 전망이다.
SK어스온은 올해 들어 베트남 15-2/17 광구와 15-1/05 광구에서 원유 발견에 성공하는 등 연이어 낭보를 전하고 있다.
말레이시아 지역에서는 2022년 사라왁주 해상에 위치한 SK427 광구 운영권을 취득했고 지난해에는 SK427 광구 권역 내 케타푸광구 운영권까지 확보한 바 있다.
SK이노베이션은 인도네시아 지역에서의 업스트림 분야 투자 확대를 검토 중이다.
SK이노베이션 E&S는 인도네시아 석유·가스 규제당국인 SKK미가스(Migas)와 이산화탄소 포집·저장(CCS) 공동 연구를 통해 협력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SK어스온 관계자는 "이번 인도네시아 광구 진출을 통해 중국과 베트남, 말레이시아를 아우르는 동남아시아 자원개발 클러스터링 전략 지도를 완성했다"며 "페루와 베트남에서의 자원개발 성공 경험 등을 토대로 인도네시아도 유망 자원개발 지역으로 만들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hanajjang@yna.co.kr(끝)
동남아 '빅3' 산유국인 베트남과 말레이시아에 이어 인도네시아까지 사업 영토를 확장하게 되면서 SK어스온의 동남아 지역 클러스터링(핵심지역 집중화) 전략이 궤도에 오르게 됐다.

[SK어스온 제공.재판매 및 DB 금지]
SK어스온은 인도네시아 정부가 발주한 원유·가스 자원개발 사업 경쟁 입찰에서 자바섬 인근의 세르팡과 말루쿠 제도 인근의 비나이야 등 2개 광구를 낙찰받았다고 22일 밝혔다.
SK어스온은 최근 프라보워 수비안토 인도네시아 대통령과 바흘릴 라하달리아 에너지광물자원부 장관 등이 참석한 가운데 인도네시아 석유·가스 관리청과 이들 2개 광구에 대한 생산물분배계약을 체결, 광권을 공식 확보했다.
생산물분배계약은 계약자가 탐사·개발에 필요한 자금과 위험을 부담하고, 원유·가스 생산 시 현지 정부와 계약자가 미리 정한 비율에 따라 생산물을 나눠 가지는 방식이다.
이들 광구 면적은 각각 약 8천500㎢로, 서울시의 약 14배 넓이다.
자바섬 북동부 지역에 있는 세르팡 광구는 인접한 다수 광구에서 이미 원유와 가스가 생산되고 있어 인도네시아에서 가장 유망한 유전 지역으로 분류된다.
외신 보도에 따르면 세르팡 광구 전체의 미발견원시부존량은 원유 12억 배럴, 가스 6조3천억 입방피트 규모로 추산된다.
SK어스온은 세르팡 광구 지분 14%를 갖고, 말레이시아 국영석유회사인 페트로나스와 일본 최대 자원개발 회사인 INPEX가 각각 51%, 35%의 지분을 보유한다.
비나이야 광구는 동인도네시아 지역에서 신규 탐사 활동이 가장 활발한 지역에 위치해 있다.
비나이야 광구 전체의 미발견원시부존량은 원유 67억 배럴, 가스 15조 입방피트에 달할 것으로 기대된다.
SK어스온의 지분은 22%이며, 인도네시아 국영석유회사인 페르타미나와 페트로나스 지분이 각각 56%, 22%다.
SK어스온은 앞으로 3년간 이들 2개 광구에서 지질 분석, 탄성파 탐사 등 탐사 작업을 수행하고, 시추 가능한 구조를 발굴해 낼 계획이다.

[SK어스온 제공.재판매 및 DB 금지] photo@yna.co.kr
이번 광권 확보로 인도네시아까지 사업영토를 확장하면서 베트남과 말레이시아 등 동남아 주요 산유국을 묶는 클러스터링 전략도 한층 탄력을 받을 전망이다.
SK어스온은 올해 들어 베트남 15-2/17 광구와 15-1/05 광구에서 원유 발견에 성공하는 등 연이어 낭보를 전하고 있다.
말레이시아 지역에서는 2022년 사라왁주 해상에 위치한 SK427 광구 운영권을 취득했고 지난해에는 SK427 광구 권역 내 케타푸광구 운영권까지 확보한 바 있다.
SK이노베이션은 인도네시아 지역에서의 업스트림 분야 투자 확대를 검토 중이다.
SK이노베이션 E&S는 인도네시아 석유·가스 규제당국인 SKK미가스(Migas)와 이산화탄소 포집·저장(CCS) 공동 연구를 통해 협력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SK어스온 관계자는 "이번 인도네시아 광구 진출을 통해 중국과 베트남, 말레이시아를 아우르는 동남아시아 자원개발 클러스터링 전략 지도를 완성했다"며 "페루와 베트남에서의 자원개발 성공 경험 등을 토대로 인도네시아도 유망 자원개발 지역으로 만들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hanajjang@yna.co.kr(끝)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
1
오전장 특징주★(코스닥)
-
2
오전장★테마동향
-
3
위믹스 "해킹, 상폐사유 될 수 없어" vs 닥사 "신속 공지했어야"
-
4
포니링크(064800) 소폭 상승세 +3.22%, 3거래일 연속 상승
-
5
마이크로투나노(424980) 상승폭 확대 +8.23%
-
6
코스피 하락률 상위 20종목(직전 30분 기준)
-
7
니케이지수(일본) : ▲294.97엔(+0.80%), 37,280.84엔 [전장마감]
-
8
니케이지수(일본) : ▲256.23엔(+0.69%), 37,242.10엔 [오후장출발]
-
9
오전장 기술적 분석 특징주 A(코스닥)
-
10
효성중공업, 최대주주등 소유주식수 456,903주 감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