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석연료 줄이겠지만 탈원전은 안해”…환경부 장관 후보자, 못박았다

유준호 기자(yjunho@mk.co.kr)

입력 : 2025.07.15 15:38:06 I 수정 : 2025.07.15 18:44:43
김성환 환경부 장관 후보자 인사청문회


김성환 환경부 장관 후보자가 15일 서울 여의도 국회 환경노동위원회에서 열린 인사청문회에서 의원 질의에 답하고 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김성환 환경부 장관 후보자가 인사청문회를 통해 ‘탈원전’ 정책을 추진하지 않겠다고 못박았다. 석탄과 석유, 액화천연가스(LNG) 등 화석연료 사용량을 최대한으로 줄이는 탈탄소 사회로의 전환을 위해서는 재생에너지와 원전을 균형있게 활용해야 한다는 점에서다.

15일 국회에서 열린 인사청문회에서 김 후보자는 “탄소 사회로의 전환이 굉장히 중요한 숙제”라며 “재생에너지의 간헐성을 줄이고 원전의 안전성을 높이면서 둘을 적정하게 섞는 것이 앞으로 에너지정책이 돼야 할 것으로 판단한다”고 밝혔다.

이날 청문회에서 야당의원들은 과거 김 후보자가 탈원전 정책에 앞장 서 왔다는 점을 집중 지적했다. 특히 과거 문재인 정부 때 김 후보자가 서울 노원구청장을 지내며 ‘탈원전이 대세’라는 입장을 여러차례 밝혔다는 점을 부각했다.

이에 대해 김 후보자는 “당시는 2011년 일본 후쿠시마 원전 사고로 세계가 깜짝 놀랐을 때”라며 “최근에 제가 탈원전을 주장한 적은 없다”고 선을 그었다.

김 후보자는 문재인 정부와 다른 원전 정책을 펼칠 것이란 구상도 밝혔다. 그는 “문재인 정부 때는 설계수명이 다 된 원전은 (운영을) 중단했지만, 이재명 정부는 안전성이 담보된다면 (설계수명을 다한 원전도) 계속 운전할 수 있도록 한다는 입장”이라고 밝혔다.

김성환 환경부 장관 후보자가 15일 서울 여의도 국회 환경노동의원회에서 열린 인사청문회에서 의원 질의에 답하고 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김 후보자는 윤석열 정부 에너지정책을 두고서는 “원전을 대단히 많이 강조했는데 백번 양보해 원전 비중을 높일 거였으면 석탄이나 LNG (발전) 비중을 낮췄어야 한다”면서 “원전 비중을 늘릴 때 재생에너지 비중을 낮출 것이 아니었다”고 평가했다.

김 후보자는 기후·에너지 정책의 컨트롤타워 역할을 할 ‘기후에너지부’ 신설에 대한 필요성을 강조하기도 했다. 그는 “매우 심각한 기후위기를 막기 위해서는 정책 파트와 시행 파트가 함께 탄소중립과 탄소중립 산업을 키우는 일이 중요하다”며 “장관이 된다면 기후에너지부 논의는 가장 우선해서 해야할 일 중 하나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김 후보자는 윤석열 정부에서 추진했던 기후대응댐 사업에 대한 재검토 의지도 드러냈다. 그는 “꼭 필요한지, 주민들의 반발은 없는지 등을 정밀하게 재검토해서 꼭 필요한 것만 추진하고 그렇지 않은 것은 양해를 구해서 중단할 것”이라고 밝혔다.

기후대응댐은 환경부가 홍수·가뭄 등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목적으로 지난해부터 추진해 온 사업이다. 14개의 댐 건설로 2억 5000만t 규모의 물 공급능력을 확보한다는 계획이었다. 지난해 7월 후보지 발표 이후, 주민 반대가 심한 5곳을 보류하고, 9곳을 추진하던 중이었다.

하지만 이재명 정부가 수자원·생태 정책을 4대강 보 개방 등 ‘재자연화’로 정하며 전면 재검토를 시사했다. 김 후보자는 청문회 전 국회에 보낸 답변서를 통해서도 “강은 흘러야 한다는 것이 제 소신”이라며 재자연화 방침을 천명했다.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07.15 22:45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