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태원 "이제는 보호무역주의 시대…일본과 경제공동체 만들자"
"美 정책 안 바뀌고 日도 선택지 없어…시장 커지고 비용 절감""역사 갈등 넘어가야…獨·佛처럼 같이 사는 방법 고안할 때"수출 경제모델 한계 지적…해외투자·소프트머니 육성 제안
조성흠
입력 : 2025.07.16 21:10:37
입력 : 2025.07.16 21:10:37

[김지윤의 지식 PLAY 유튜브 채널 캡처.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연합뉴스) 조성흠 기자 = 최태원 SK그룹 회장은 16일 "대한민국 성장이 거의 멈추는 단계까지 왔다.
일본과 경제 협력을 하자는 정도가 아니라 경제 공동체를 만들어야 한다"고 말했다.
최 회장은 이날 유튜브 채널 '김지윤의 지식 PLAY'에 출연해 "이제는 잠재 성장률이 0%대로 들어가기 시작했고 여태까지 하던 똑같은 방법으로 우리가 생존할 수 있냐는 의문을 가질 수밖에 없다"며 이처럼 밝혔다.
또한 "유럽연합(EU)처럼 되는 공동체를 만들 필요성이 있다고 생각하고 이 이야기를 일본에서도 많은 분들과 나누는데 일본도 비슷한 생각"이라며 "일본도 별 선택지가 없다"고 덧붙였다.
이 같은 상황은 양국의 내부적 한계뿐만 아니라 급변하는 국제정세로 인한 불가피한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최 회장은 "트럼프 행정부 1기 때 관세정책 등이 바이든 행정부에서도 바뀐 게 거의 없다.
보호무역주의 기조를 버리지 않을 것"이라며 "이제는 어차피 보호무역 시대"라고 규정했다.
강대국 사이에 위치한 우리나라의 지정학적 상황에서 가장 처지가 비슷하고 협력에 따른 효과를 공유할 수 있는 나라도 사실상 일본이 유일하다고 짚었다.
최 회장은 양국이 경제 공동체를 형성할 경우 효과로는 "자연스럽게 시장이 더 커지고 저비용 사회를 만들 수 있다"며 "대한민국 안에 모든 옵션을 다 만들 이유도 없어진다"고 말했다.
양국의 오래된 역사적 갈등에 대해선 "그것은 넘어가야 하는 것이지, 그것이 문제니까 하지 말아야 된다는 선택지가 우리 손안에 있는 것 같지 않다"고 강조했다.
EU 회원국인 독일과 프랑스의 역사적 관계를 언급한 최 회장은 "그들은 한국과 일본보다 훨씬 더 갈등이 심했지만 그들은 그 문제를 넘어갔다"며 "워낙 도전이 많은 시대가 온 만큼 예전에 상상하지 못했던 아이디어가 필요한 시기다.
같이 사는 방법을 고안할 때가 됐다"고 말했다.
기존의 수출 중심 경제 모델은 해외 투자와 소프트머니 육성 방향으로 전환해야 한다고 밝혔다.
최 회장은 "지금처럼 수출해서 계속 흑자를 내면 무역마찰과 외교문제로 비화가 된다"며 "위험도가 너무 커지는 만큼 모델을 바꿔야 한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해외로 투자해 수익이 돌아오는 방법을 써야 한다.
이는 일본이 이미 꽤 많이 쓰는 방법론"이라며 "우리도 이제 가진 자산을 전략적으로 써야 한다"고 말했다.
이를 위해 한국 음식을 글로벌 문화로 정착시키는 등 K-컬처를 트렌드가 아닌 습관으로 만들어야 한다고 제안했다.
아울러 최 회장은 인공지능(AI) 산업 중 특화가 필요한 분야로 제조 AI에 이어 소프트문화 산업을 꼽으며 "AI 산업에도 문화 콘텐츠를 접목해 새로운 산업군을 만들자"고 제안했다.
josh@yna.co.kr(끝)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