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건스탠리 "美 법원 '반독점 소송' 구글-애플 거래 허용 전망"
"검색 독점적 지위는 제한, EU '선택 화면'과 유사"…내달 결정
김태종
입력 : 2025.07.22 01:57:22
입력 : 2025.07.22 01:57:22

[신화 연합뉴스 자료사진.재판매 및 DB 금지]
(샌프란시스코=연합뉴스) 김태종 특파원 = 미 법원이 온라인 검색 시장에서 구글의 반독점 해소 방안을 조만간 결정할 예정인 가운데 글로벌 투자회사 모건스탠리는 구글과 애플의 거래가 차단되지는 않을 것으로 21일(현지시간) 전망했다.
모건스탠리는 이날 보고서에서 "아미트 메흐타 판사는 애플 기기에서 구글 검색의 독점적 지위를 제한할 것"이라면서도 "구글이 애플에 검색 트래픽 유치 비용(TAC)을 지급하는 것은 여전히 허용할 것으로 전망된다"고 밝혔다.
앞서 재판 과정에서 애플이 자사 기기에서 구글 검색 엔진을 기본 설정으로 탑재되는 대가로 구글이 연간 200억 달러를 지급해 온 사실이 드러난 바 있다.
모건스탠리는 "이는 유럽연합(EU)에서 이미 시행 중인 '선택 화면'(Choice Screen) 모델과 유사하다"고 설명했다.
EU는 구글이 기본 검색엔진으로 자사 서비스만 강제 탑재하도록 하는 것은 반경쟁적이라고 보고, 이용자가 구글이나 MS의 빙, 덕덕고 검색 엔진 중 선택할 수 있도록 하고 있는데 이런 모델이 적용될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
이런 경우 애플의 2027년 주당순이익(EPS)은 현재 수준보다 2% 하락하는 수준에서 제한적일 것이라고 이 투자회사는 분석했다.
애플이 구글로부터 받는 금액이 줄어들 수 있지만 큰 영향은 미치지 않을 수 있다는 것이다.
모건스탠리는 구글이 애플에 어떤 대가도 지불하지 못하게 될 경우를 애플 입장에서 '최악의 시나리오'로 꼽았다.
이렇게 되면 애플의 2027년 EPS는 10% 이상 하락해 주가는 지난 4월의 저점 수준으로 되돌아갈 가능성이 있다고 내다봤다.
애플 주가는 지난 4월 '트럼프 관세' 등의 영향으로 160달러대까지 떨어진 바 있다.
또 애플이 자체 검색 엔진을 출시하는 방안을 '극단적 시나리오'도 평가하면서 "매우 가능성이 작다"고 봤다.
이어 자체 입수한 애플 내부 문건을 토대로 "애플은 자체 검색 플랫폼을 출시 의도가 없음이 명확하다"고 밝혔다.
그럼에도 '극단적 시나리오'가 강제로 추진된다면 애플의 2027년 EPS는 20% 이상 하락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모건스탠리는 "어떤 해소 방안이 제시되더라도 항소가 이어질 것이기 때문에 실제 변화는 수년이 걸릴 것"이라며 "다만, 이번 판결은 애플의 기업 가치에 걸려 있던 '불확실성 부담'을 덜어줄 수 있을 것"이라고 평가했다.
이날 뉴욕 증시에서 애플과 구글 주가는 각각 1%와 2% 안팎에서 상승 중이다.
미 워싱턴DC 연방법원 아미트 메흐타 판사는 미 법무부가 구글을 상대로 제기한 온라인 검색 시장 반독점 소송에서 지난해 8월 구글이 불법적으로 검색 시장을 독점하고 있다고 판결했다.
이에 지난 4월부터 두 달간 구글의 독점을 해소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 재판이 열렸고 메흐타 판사는 내달까지 8월 이 방안을 결정하기로 했다.
taejong75@yna.co.kr(끝)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
1
[뉴욕유가] 美 관세 협상·EU 대러 제재 우려에 하락…WTI 0.21%↓
-
2
MS 서버 문서 공유 SW 해킹…"美·獨 100개 기관 피해"
-
3
[뉴욕증시-1보] 실적 호조보단 고점 부담…혼조 마감
-
4
[1보] 뉴욕증시, 호실적 기대에 강세…S&P500·나스닥 최고치 마감
-
5
[2보] 뉴욕증시, 실적 낙관론에 강세…S&P500·나스닥 최고치 마감
-
6
S&P500·나스닥 또 최고치...실적발표 앞둔 알파벳 2.8% ‘쑥’ [월가월부]
-
7
뉴욕증시, 실적 호조보단 고점 부담…혼조 마감
-
8
뉴욕증시, 실적 낙관론에 강세…S&P500·나스닥 최고치 마감(종합)
-
9
롯데리아·맘스터치는 되고 맥도날드·KFC는 안되고...엇갈리는 ‘소비쿠폰 특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