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자원 "냉동볶음밥, 한끼 식사로는 영양성분 부족"
나트륨 함량 최대 2배 높아…제품별로 원재료 함량 차이 나
이신영
입력 : 2023.01.10 12:00:12
입력 : 2023.01.10 12:00:12
(서울=연합뉴스) 이신영 기자 = 소비자들이 많이 찾는 냉동볶음밥 제품이 한 끼 식사로는 영양성분이 부족하고 나트륨 함량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소비자원은 소비자 선호도가 높은 냉동볶음밥 25개(고기볶음밥 10개·새우볶음밥 8개·닭가슴살볶음밥 7개) 제품을 조사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10일 밝혔다.
1인분당 열량은 219∼510kcal로 한 끼 식사 영양성분 기준치(667kcal)의 33∼76%에 불과했다.
탄수화물 함량은 33∼99g로 기준치의 31∼92%, 단백질은 7.9∼20.1g으로 기준치의 44∼112% 수준이었다.
지방 함량도 3.1∼14.8g으로 한 끼 기준치의 17∼82% 수준에 그쳤다.
1인분당 열량과 탄수화물 함량은 천일식품 소불고기볶음밥Ⅱ(510kcal·99g)이 가장 높았고, 대상 라이틀리 닭가슴살 곤약볶음밥(219kcal·33g)이 가장 낮았다.
단백질 함량은 허닭의 닭가슴살 야채곤약볶음밥(20.1g)이 가장 많고 오뚜기[007310] 맛있는 새우볶음밥(7.9g)이 가장 적었다.
지방 함량은 하림[136480] 원물식감 닭가슴살볶음밥(14.8g)이 가장 많았다.
1인분 기준 나트륨 함량은 440∼1천615mg으로 한 끼 기준치(667mg)보다 많게는 2배 이상 높았다.
나트륨 함량이 가장 높은 제품은 쿠팡의 PB 자회사 씨피엘비의 곰곰 소불고기볶음밥(1천615mg)으로 한 끼 기준치의 242% 수준이었고, 대상의 라이틀리 닭가슴살 곤약볶음밥(440mg)이 가장 낮았다.
씨피엘비는 소비자원에 나트륨을 낮추겠다고 알려왔다.
1인분당 중량은 평균 232g으로 동일 유형 제품 중 고기 함량은 CJ제일제당[097950]의 비비고 불고기비빔밥(22.5g)이 가장 많았다.
새우는 홈플러스 시그니처 새우볶음밥(31.0g)이, 닭가슴살은 허닭 닭가슴살 야채곤약볶음밥(36.6g)이 가장 많이 들어있었다.
홈플러스 시그니처 소불고기볶음밥(포화지방 함량)과 아워홈 소불고기볶음밥(단백질함량), 허닭 닭가슴살 야채곤약볶음밥(나트륨 함량)은 영양성분 관련 표시 개선이 필요했다.
아워홈과 허닭은 영양표시를 개선하겠다고 밝혔고, 홈플러스는 영양성분이 제품 표시와 일치하도록 품질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소비자원은 또 전자레인지로 포장째 조리하는 방법은 화상 등의 위험이 있는데 대상 호밍스 소고기볶음밥과 와이즈유엑스글로벌의 아임웰 닭가슴살 야채볶음밥은 포장째 조리하도록 표시하고 있어 시정을 권고했다고 덧붙였다.
1인분당 가격은 1천590원∼3천990원으로 차이가 났다.
eshiny@yna.co.kr(끝)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
1
“‘나홀로 사장’도 이젠 못해먹겠네요”…자영업 붕괴에 고용시장 22년만에 최악
-
2
[1보] 외교·산업부, 딥시크 접속 차단
-
3
대명소노, 티웨이 상대로 '이사 선임' 의안 상정 가처분 신청
-
4
혼다-닛산 합병 추진 무산되나…日언론 "닛산, 협상 중단 결정"(종합2보)
-
5
외교·산업부, 딥시크 접속 차단…카카오 등 기업도 '금지령'(종합)
-
6
日국립연구소, 美인텔과 차세대 양자컴퓨터 공동 개발 추진
-
7
외교·산업부, 딥시크 접속 차단…카카오 등 기업도 '금지령'(종합2보)
-
8
“모처럼 대어에 ‘따블’ 기대했건만”…공모주 한파에 고개 숙인 LG C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