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정위, '임대료 담합·휴업 강요' 펌프카협의회에 시정명령
"사업자단체의 건설 현장 경쟁 저해 계속 감시…재발 땐 고발"
김다혜
입력 : 2023.04.09 12:00:15
입력 : 2023.04.09 12:00:15

[연합뉴스TV 제공]
(세종=연합뉴스) 김다혜 기자 = 공정거래위원회는 콘크리트 펌프카 임대 사업자들로 구성된 사단법인 펌프카협의회가 펌프카 임대 단가를 결정하고, 구성원에게 결의대회 참여(휴업)를 강제한 행위(공정거래법상 사업자단체 금지 행위)에 대해 시정명령을 부과하기로 했다고 9일 밝혔다.
공정위는 과징금은 별도로 부과하지 않았다.
콘크리트 펌프카는 펌프와 파이프를 이용해 고층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데 쓰이는 건설기계다.
2021년 말 기준으로 전국에 등록된 펌프카는 총 6천252대인데 이 가운데 21%인 1천313대를 협의회 소속 770명의 사업자가 소유하고 있다.
공정위에 따르면 펌프카협의회는 2012년 5월부터 2023년 1월까지 약 11년간 펌프카의 기종별 임대료를 '권장 단가표' 형태로 구성 사업자들에게 배포했다.
예를 들면 26M 이하 기종으로 100㎥ 물량을 작업하는 경우 하루 임대료는 110만원이고, 하루 작업 시간은 8시간으로 하되 추가 작업 시 1일 임대료의 20%를 추가로 받는다고 규정하는 식이다.
협의회는 권장 단가를 따르지 않는 행위를 징계 사유로 규정하고, 문자 메시지 등을 보내 권장 단가 준수를 요구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사회 등에서 위반 사례를 공개적으로 비난하기도 했다.
공정위는 "이런 행위는 개별 사업자의 자율적인 펌프카 임대가격 결정에 사업자단체가 부당하게 간섭·개입한 것으로 사업자 간 가격경쟁을 제한하는 행위에 해당한다"고 지적했다.
또한 협의회는 2021년 6월 21∼23일 펌프카 임대단가 현실화, 건설사의 잔재 폐기물 관리 등을 요구하는 수도권 결의대회에 참가하기로 하고, 해당 기간에 휴업하지 않는 업체는 제재하겠다고 공지했다.
이후 실제로 제보 접수, 현장 순찰 통해 휴업에 불참한 사업자를 적발하고 24명에 대해 제명 등의 징계를 내렸다.
이는 구성원의 사업 활동을 과도하게 제한한 행위에 해당한다고 공정위는 밝혔다.
공정위는 "앞으로도 건설 현장에서 경쟁 질서를 저해하는 사업자단체의 위법 행위를 지속해서 감시하고 동일한 위반 행위가 재발하면 시정명령 불이행으로 고발 조치하겠다"고 밝혔다.
moment@yna.co.kr(끝)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
1
“비싸기만 한 공격용 헬기, 차라리 드론이 낫다”...아파치 추가도입 예산 전액 삭감
-
2
“소비자 입장에서 느꼈던 불편함 개선했더니 사업 성장했죠”
-
3
"이번에 안 바꾸면 아이도 위험?" 통신사 과열 마케팅 논란
-
4
'크루즈 타고 북해도로' 강원도, 체험단 모집에 경쟁률 9.4대1
-
5
金총리 "대통령실 포함 당정은 한몸…국민 살리는 각오 전력투구"
-
6
비트코인 쓸어담는 기업들…보유량 18% 쑥
-
7
이틀 남은 '상호관세 시한폭탄'…美 유예연장 여부에 쏠린 눈
-
8
배당 분리과세 도입되나 … 배당성장주 주목
-
9
이번주 美 상호관세 유예 연장 촉각
-
10
김회수 포프리 대표 “계란 넘어 프리미엄 식품 직배송...전략적 투자 파트너 환영”[비즈니스 리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