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급여 2천394만원 넘는 학자금 대출자 23만명 상환 시작
실직·퇴직·육아휴직 시 최대 4년 납부 기한 유예
박용주
입력 : 2023.04.26 12:00:24
입력 : 2023.04.26 12:00:24

[연합뉴스 자료사진]
(세종=연합뉴스) 박용주 기자 = 지난해 총급여 2천394만원 이상을 벌어들인 취업 후 상환 학자금 대출자 23만명이 올해부터 학자금 대출을 갚아야 한다.
국세청은 취업 후 상환 학자금 대출자 23만명을 대상으로 2022년 귀속 의무 상환액을 산정해 26일 통지한다고 밝혔다.
취업 후 학자금 상환 제도는 대학생에게 등록금 전액과 생활비(연 300만원 한도)를 대출해주고 소득이 발생한 후 소득 수준에 따라 상환하는 제도다.
경제적 여건과 관계없이 의지와 능력에 따라 원하는 고등교육 기회를 가질 수 있도록 도입된 제도로 올해부터는 지원 대상이 전체 대학원생까지 확대된다.

(국세청 제공)
국세청은 대출자의 전년도 연간 소득 금액이 상환 기준소득을 초과하는 경우 초과 금액의 20%(학부생) 또는 25%(대학원생)를 의무상환액으로 산정해 통지한다.
올해 의무상환 대상자는 작년 소득금액(총급여액-근로 소득공제액)이 1천510만원을 초과한 대출자다.
총급여액 기준으로 2천394만원을 넘으면 올해 상환 의무를 지게 된다는 의미다.
의무 상환 통지를 받은 대출자는 원천공제 납부와 직접 납부 중 하나를 선택해 상환액을 납부할 수 있다.
원천공제로 납부할 경우 대출자가 근무 중인 회사에서 매월 급여를 지급할 때 의무 상환액의 12분의 1씩을 떼게 된다.
원천공제를 원하지 않는다면 전액 또는 반액을 직접 납부할 수 있다.
올해부터는 수취인 부재로 인한 반송을 줄이고자 신청자를 대상으로 학자금 등기우편물 배달 알림서비스를 제공한다.
전자송달을 신청한 대출자는 기존과 같이 카카오톡이나 문자에서 본인 인증 절차를 거친 후 즉시 열람할 수 있다.
실직이나 퇴직, 폐업, 육아휴직 등으로 어려움을 겪거나 대학원에 재직 중인 경우 납부 기한을 2년 또는 4년간 연장할 수 있다.

(국세청 제공)
speed@yna.co.kr(끝)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
1
공매도 비중 상위 종목
-
2
“파월 진짜 해임한다는데”요동친 美시장...트럼프 진화에 나스닥 최고가 [월가월부]
-
3
뉴욕증시, '파월 해임설'에 휘둘린 투심…강세 마감
-
4
뉴욕증시, 연준의장 해임설로 롤러코스터…나스닥 최고치 경신(종합)
-
5
[고침] 국제('파월 美연준의장 해임설' 보도에 미 국채 30…)
-
6
트럼프 "中이 美에 펜타닐 보내는 사람 사형하게 만들겠다"
-
7
'美 크립토위크' 낙관론 재부각 가상화폐 반등…이더리움이 주도
-
8
초복에 삼계탕 직접 끓이면 9천원 들어…5년 전보다 35% 올라
-
9
이재용 '부당합병·회계부정' 오늘 대법원 선고…1·2심 무죄
-
10
항암제 지형 바꾼 ADC…바이오업계 협업 러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