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급여 2천394만원 넘는 학자금 대출자 23만명 상환 시작
실직·퇴직·육아휴직 시 최대 4년 납부 기한 유예
박용주
입력 : 2023.04.26 12:00:24
입력 : 2023.04.26 12:00:24

[연합뉴스 자료사진]
(세종=연합뉴스) 박용주 기자 = 지난해 총급여 2천394만원 이상을 벌어들인 취업 후 상환 학자금 대출자 23만명이 올해부터 학자금 대출을 갚아야 한다.
국세청은 취업 후 상환 학자금 대출자 23만명을 대상으로 2022년 귀속 의무 상환액을 산정해 26일 통지한다고 밝혔다.
취업 후 학자금 상환 제도는 대학생에게 등록금 전액과 생활비(연 300만원 한도)를 대출해주고 소득이 발생한 후 소득 수준에 따라 상환하는 제도다.
경제적 여건과 관계없이 의지와 능력에 따라 원하는 고등교육 기회를 가질 수 있도록 도입된 제도로 올해부터는 지원 대상이 전체 대학원생까지 확대된다.

(국세청 제공)
국세청은 대출자의 전년도 연간 소득 금액이 상환 기준소득을 초과하는 경우 초과 금액의 20%(학부생) 또는 25%(대학원생)를 의무상환액으로 산정해 통지한다.
올해 의무상환 대상자는 작년 소득금액(총급여액-근로 소득공제액)이 1천510만원을 초과한 대출자다.
총급여액 기준으로 2천394만원을 넘으면 올해 상환 의무를 지게 된다는 의미다.
의무 상환 통지를 받은 대출자는 원천공제 납부와 직접 납부 중 하나를 선택해 상환액을 납부할 수 있다.
원천공제로 납부할 경우 대출자가 근무 중인 회사에서 매월 급여를 지급할 때 의무 상환액의 12분의 1씩을 떼게 된다.
원천공제를 원하지 않는다면 전액 또는 반액을 직접 납부할 수 있다.
올해부터는 수취인 부재로 인한 반송을 줄이고자 신청자를 대상으로 학자금 등기우편물 배달 알림서비스를 제공한다.
전자송달을 신청한 대출자는 기존과 같이 카카오톡이나 문자에서 본인 인증 절차를 거친 후 즉시 열람할 수 있다.
실직이나 퇴직, 폐업, 육아휴직 등으로 어려움을 겪거나 대학원에 재직 중인 경우 납부 기한을 2년 또는 4년간 연장할 수 있다.

(국세청 제공)
speed@yna.co.kr(끝)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
1
"오픈AI, 챗GPT 내 결제 시스템 개발 중…수수료 수익"
-
2
[뉴욕유가] 美 휘발유 재고 증가ㆍ무역 갈등 속 약세…WTI 0.2%↓
-
3
“파월 진짜 해임되나” 시장 요동...트럼프 “가능성 희박” 진화
-
4
멕시코·캐나다 정상회담 추진…對美관세협상 공동대응 논의할듯
-
5
[뉴욕증시-1보] '파월 해임설'에 휘둘린 투심…강세 마감
-
6
[사이테크+] "기체 응축돼 고체 광물 형성되는 초기 외계행성계 첫 포착"
-
7
[1보] 뉴욕증시, 연준의장 해임설로 출렁이다 반등 마감…다우 0.5%↑
-
8
[2보] 뉴욕증시, 연준의장해임설로 출렁이다 반등…나스닥 최고치 마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