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 5위권 항공사 고퍼스트, 파산 신청…"부채 1조9천억원"
"P&W사 제조 엔진 문제로 큰 손실" 주장
김영현
입력 : 2023.05.03 14:33:20
입력 : 2023.05.03 14:33:20
"P&W사 제조 엔진 문제로 큰 손실" 주장

인도 고퍼스트 소속 항공기.
[로이터 연합뉴스 자료사진.재판매 및 DB 금지]
(뉴델리=연합뉴스) 김영현 특파원 = 인도 주요 저비용항공사(LCC)인 '고 퍼스트'(옛 고에어)가 심각한 재정난을 견디지 못하고 파산 신청을 했다고 이코노믹타임스 등 인도 매체와 외신이 3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고 퍼스트는 전날 법원에 파산 신청을 하면서 더는 재정상의 의무를 이행할 수 없는 상황이라고 밝혔다.
고 퍼스트는 금융기관, 항공기 임대업체, 기업체 등에 진 총 부채 규모가 1천146억3천만 루피(약 1조8천800억원)라고 말했다.
이 가운데 은행 등 금융기관에 진 빚만 652억1천만 루피(약 1조700억원)에 달한다.
이와 관련해 고 퍼스트는 3일부터 5일까지 모든 항공기 운항을 중단하겠다고 밝혔다.
고 퍼스트는 현재 A320네오 56대 등 약 61대의 항공기를 보유하고 있으며, 지난 3월 말 이미 30대의 운항을 중단한 상태다.
현재 인도 항공시장 4∼5위권 업체로 시장 점유율은 1월 8.4%에서 3월 6.9%로 줄었다.
인도의 주요 항공사가 빚에 쪼들린 끝에 파산 신청을 한 것은 2019년 제트에어웨이 이후 이번이 처음이라고 로이터통신은 보도했다.
제트에어웨이는 한때 인도 시장 점유율 1∼2위를 다툴 정도로 성장했으나, 10억 달러(약 1조3천400억원)가 넘는 빚에 시달리면서 채무불이행(디폴트) 상태에 빠졌다.
고 퍼스트는 파산 신청을 하면서 세계적 항공기 엔진 제조업체인 '프래트앤드휘트니'(P&W)를 비난했다.
고 퍼스트는 P&W 제조 엔진 문제로 운항 중단된 자사의 항공기가 2019년 12월 전체 7%에서 2022년 12월 50%로 늘어났다며 "P&W는 예비용 임차 엔진을 제공하라는 중재안도 따르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이어 "이로 인해 1천80억 루피(약 1조7천700억원)의 손실이 발생했고 추가 비용도 들었다"고 주장했다.
현재 P&W는 고 퍼스트의 주력 항공기인 A320네오의 엔진을 독점 공급하고 있다.
P&W 측은 고 퍼스트의 주장에 대해 "고 퍼스트와 관련된 중재안을 지키고 있다"고 밝혔다.
고 퍼스트는 앞서 지난 1월 활주로에 승객을 둔 채 이륙하는 사고를 내 항공당국으로부터 100만 루피(약 1천600만원)의 벌금을 부과받기도 했다.
당시 인도 남부 벵갈루루 공항에서는 고 퍼스트의 델리행 여객기가 이륙했지만, 활주로에 있던 대기 승객 55명이 탑승하지 못했고 소셜미디어(SNS)에는 고 퍼스트의 황당한 실수를 비난하는 글이 쏟아지기도 했다.
인도 항공시장은 해마다 성장하고 있지만 업체 간 경쟁도 갈수록 치열해지는 분위기다.
인도 대표 항공사 중 하나로 지난해 민영화된 에어인디아는 500대의 항공기를 신규 도입하기로 결정했고, 승객 수 1위 업체 인디고는 이미 에어버스에 항공기 500대를 주문한 것으로 알려졌다.
cool@yna.co.kr(끝)

[로이터 연합뉴스 자료사진.재판매 및 DB 금지]
(뉴델리=연합뉴스) 김영현 특파원 = 인도 주요 저비용항공사(LCC)인 '고 퍼스트'(옛 고에어)가 심각한 재정난을 견디지 못하고 파산 신청을 했다고 이코노믹타임스 등 인도 매체와 외신이 3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고 퍼스트는 전날 법원에 파산 신청을 하면서 더는 재정상의 의무를 이행할 수 없는 상황이라고 밝혔다.
고 퍼스트는 금융기관, 항공기 임대업체, 기업체 등에 진 총 부채 규모가 1천146억3천만 루피(약 1조8천800억원)라고 말했다.
이 가운데 은행 등 금융기관에 진 빚만 652억1천만 루피(약 1조700억원)에 달한다.
이와 관련해 고 퍼스트는 3일부터 5일까지 모든 항공기 운항을 중단하겠다고 밝혔다.
고 퍼스트는 현재 A320네오 56대 등 약 61대의 항공기를 보유하고 있으며, 지난 3월 말 이미 30대의 운항을 중단한 상태다.
현재 인도 항공시장 4∼5위권 업체로 시장 점유율은 1월 8.4%에서 3월 6.9%로 줄었다.
인도의 주요 항공사가 빚에 쪼들린 끝에 파산 신청을 한 것은 2019년 제트에어웨이 이후 이번이 처음이라고 로이터통신은 보도했다.
제트에어웨이는 한때 인도 시장 점유율 1∼2위를 다툴 정도로 성장했으나, 10억 달러(약 1조3천400억원)가 넘는 빚에 시달리면서 채무불이행(디폴트) 상태에 빠졌다.
고 퍼스트는 파산 신청을 하면서 세계적 항공기 엔진 제조업체인 '프래트앤드휘트니'(P&W)를 비난했다.
고 퍼스트는 P&W 제조 엔진 문제로 운항 중단된 자사의 항공기가 2019년 12월 전체 7%에서 2022년 12월 50%로 늘어났다며 "P&W는 예비용 임차 엔진을 제공하라는 중재안도 따르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이어 "이로 인해 1천80억 루피(약 1조7천700억원)의 손실이 발생했고 추가 비용도 들었다"고 주장했다.
현재 P&W는 고 퍼스트의 주력 항공기인 A320네오의 엔진을 독점 공급하고 있다.
P&W 측은 고 퍼스트의 주장에 대해 "고 퍼스트와 관련된 중재안을 지키고 있다"고 밝혔다.
고 퍼스트는 앞서 지난 1월 활주로에 승객을 둔 채 이륙하는 사고를 내 항공당국으로부터 100만 루피(약 1천600만원)의 벌금을 부과받기도 했다.
당시 인도 남부 벵갈루루 공항에서는 고 퍼스트의 델리행 여객기가 이륙했지만, 활주로에 있던 대기 승객 55명이 탑승하지 못했고 소셜미디어(SNS)에는 고 퍼스트의 황당한 실수를 비난하는 글이 쏟아지기도 했다.
인도 항공시장은 해마다 성장하고 있지만 업체 간 경쟁도 갈수록 치열해지는 분위기다.
인도 대표 항공사 중 하나로 지난해 민영화된 에어인디아는 500대의 항공기를 신규 도입하기로 결정했고, 승객 수 1위 업체 인디고는 이미 에어버스에 항공기 500대를 주문한 것으로 알려졌다.
cool@yna.co.kr(끝)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
1
멕시코·캐나다 정상회담 추진…對美관세협상 공동대응 논의할듯
-
2
[사이테크+] "기체 응축돼 고체 광물 형성되는 초기 외계행성계 첫 포착"
-
3
[뉴욕증시-1보] '파월 해임설'에 휘둘린 투심…강세 마감
-
4
[1보] 뉴욕증시, 연준의장 해임설로 출렁이다 반등 마감…다우 0.5%↑
-
5
[2보] 뉴욕증시, 연준의장해임설로 출렁이다 반등…나스닥 최고치 마감
-
6
뉴욕증시, '파월 해임설'에 휘둘린 투심…강세 마감
-
7
뉴욕증시, 연준의장 해임설로 롤러코스터…나스닥 최고치 경신(종합)
-
8
“파월 진짜 해임한다는데”요동친 美시장...트럼프 진화에 나스닥 최고가 [월가월부]
-
9
[고침] 국제('파월 美연준의장 해임설' 보도에 미 국채 30…)
-
10
트럼프 "中이 美에 펜타닐 보내는 사람 사형하게 만들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