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 기대수명 30년간 11년으로 급속 확대…만성질환이 주원인"
권영세 "北당국, 보건의료분야 협력은 받아들여야" 촉구
하채림
입력 : 2023.05.03 17:17:34
입력 : 2023.05.03 17:17:34

[인민보건 누리집 갈무리] nkphoto@yna.co.kr ※ 기사의 내용과 직접 관계없는 자료사진임.
(서울=연합뉴스) 하채림 기자 = 지난 30년간 남북한의 기대수명 격차가 급격히 확대된 주원인은 만성질환으로, 이러한 격차를 해소하려면 삶의 질 개선 등 근본적인 인권 개선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권영세 통일부 장관은 시급한 보건의료 분야의 남북 협력만큼은 북한 당국도 하루빨리 받아들여야 한다고 촉구했다.
고려대 통일융합연구원(원장 남성욱)이 3일 고려대 100주년기념관에서 개최한 '한반도 보건의료, 무엇이 문제이고 어떻게 해결해야 하는가' 심포지엄에서 발제자로 나선 이요한 고려대 교수는 최근 남북한의 기대수명 격차 10여 년 중 8년이 만성질환으로 인한 사망 때문이라는 연구 결과를 소개했다.
이 교수는 "1990년만 하더라도 남북의 기대수명은 비슷했지만 2019년에는 10년이 넘게 벌어지고 최근에는 11년에 달한다"며 "북한에서 1990년대 아동 사망률과 감염병 사망률은 감소했지만 만성질환 사망이 계속 악화한 탓"이라고 설명했다.
예를 들어 북한은 한국보다 비만율이 낮은데도 고혈압 발병률은 더 높게 나타난다.
이 교수는 "북한은 같은 기대수명을 가진 나라보다 아동사망률이 훨씬 낮지만 성인·노년 사망률이 높다"며 "열악한 경제와 빈곤 상태가 장기간 이어지며 이런저런 질병을 안고 고생하며 살다가 비교적 초기 노인시기에 생을 마감하는 주민이 많다"고 분석했다.
이어 "보건 협력만으로, 남한 등 외부의 지원만으로 이러한 격차를 줄일 수 없다는 의미"라며 "건강 격차 해소를 위해서는 북한의 정치, 경제, 사회 전반을 아우르는 전략이 있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탈북민 건강 연구 결과를 발표한 김신곤 고려대 교수도 북한 주민이 빈곤 속에서 출생·성장해 만성질환에 취약하다고 설명했다.
통일보건의료학회와 건강보험연구원이 탈북민과 남한 주민의 건강검진 빅데이터를 분석한 결과를 보면, 탈북민은 입국 초기에는 같은 성별·나이 남한 주민보다 심혈관질환 유병률(발병률)이 낮지만 체류 기간이 4~5년에 접어들며 남한 주민 유병률을 추월하는 양상을 보인다.
또, 고려대병원에서 검진받은 탈북민 코호트(동일집단) 분석 결과에서도 남한 주민보다 골다공증 위험이 훨씬 높게 나타났다.

(서울=연합뉴스) 권영세 통일부 장관이 3일 고려대 백주년기념관에서 고려대 통일융합연구원 주최로 열린 '한반도 보건의료, 무엇이 문제이고 어떻게 해결해야 하는가' 심포지엄에서 축사하고 있다.[고려대 통일융합연구원 제공.재판매 및 DB 금지]
권영세 통일부 장관은 축사에서 북한 주민의 인도적 상황 개선을 위한 노력을 멈추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권 장관은 "북한 당국의 책임이 가장 크지만 한 동포이자 통일의 동반자인 우리가 이러한 북한 주민의 고통을 그대로 놓아둘 수는 없다"며 "윤석열 정부는 정치·군사적 상황과 관계없이 북한 주민의 인도적 상황 개선을 위한 노력을 멈추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지금 남북관계 상황이 녹록지 않지만 시급한 보건의료 분야의 남북 협력만큼은북한 당국도 하루빨리 마음을 열고 받아들여야 할 것"이라고 촉구했다.
tree@yna.co.kr(끝)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
1
[2보] 뉴욕증시, 연준의장해임설로 출렁이다 반등…나스닥 최고치 마감
-
2
“파월 진짜 해임한다는데”요동친 美시장...트럼프 진화에 나스닥 최고가 [월가월부]
-
3
뉴욕증시, '파월 해임설'에 휘둘린 투심…강세 마감
-
4
뉴욕증시, 연준의장 해임설로 롤러코스터…나스닥 최고치 경신(종합)
-
5
공매도 비중 상위 종목
-
6
[고침] 국제('파월 美연준의장 해임설' 보도에 미 국채 30…)
-
7
트럼프 "中이 美에 펜타닐 보내는 사람 사형하게 만들겠다"
-
8
'美 크립토위크' 낙관론 재부각 가상화폐 반등…이더리움이 주도
-
9
초복에 삼계탕 직접 끓이면 9천원 들어…5년 전보다 35% 올라
-
10
이재용 '부당합병·회계부정' 오늘 대법원 선고…1·2심 무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