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후장★테마동향

입력 : 2023.05.23 14:44:57
제목 : 오후장★테마동향
테마 동향주 요 테 마
강세 테마엠폭스(원숭이두창), 리튬, 탄소나노튜브(CNT), 코로나19(진단키트), 마켓컬리(kurly), 면역항암제, 슈퍼박테리아, 우크라이나 재건, 요소수, 화학섬유, 전기차(충전소/충전기), 건설 중소형, 보안주(물리), 2차전지, 코로나19(진단/치료제/백신 개발 등), 모듈러주택, MLCC(적층세라믹콘덴서), AI 챗봇(챗GPT 등), 보안주(정보), 지능형로봇/인공지능(AI), 마리화나(대마) 등...
약세 테마핵융합에너지, 폐기물처리, 우주항공산업, 아프리카 돼지열병(ASF), 종합상사, 항공기부품, 아스콘(아스팔트 콘크리트), 구충제(펜벤다졸, 이버멕틴 등), 구제역/광우병 수혜, 시스템반도체, 사료, 육계, 日제품 불매운동(수혜), 밥솥, 카메라모듈/부품, 비료, 여행, 마스크, 농업, 인터넷 대표주, 마이크로 LED 등...



특징 테마이 슈 요 약
제약/바이오 관련주주요 감기약 역대 최대 매출 기록 소식 및 하반기 업황 반등 기대감 등에 상승
▷업계에 따르면, 코로나 팬데믹이 지나고 마스크 의무 착용, 거리 두기 등 방역 조치가 풀리자 인플루엔자 환자가 급증하며, 감기 증상완화제(감기약) 매출이 크게 성장했다고 전해짐. 동화약품의 감기약 '판콜' 제품군은 올해 1분기 147억원의 매출을 내며, 코로나19 발생 사례가 정점을 찍었던 전년동기대비 32.4% 성장했음. 이는 분기 매출 기준 역대 최대치임.

▷동아제약의 어린이 해열제 '챔프'의 1분기 매출도 40억원으로 전년 동기(24억원) 대비 66.6% 상승하며, 분기 매출 기준 최대치를 기록했음. 이 밖에도 보령의 진해거담제 용각산 제품군과 JW중외제약의 '화콜' 등이 전년 동기와 비교해선 소폭 하락했지만, 코로나19 시기 높아진 매출 규모를 유지한 것으로 전해짐.

▷다올투자증권은 보고서를 통해 금리가 안정화되고, 삼성바이오로직스와 셀트리온 등 대형주의 주가가 회복된다면 하반기부터 제약/바이오 업종 흐름도 긍정적으로 바뀔 것으로 전망. 이와 관련, 대형주 주가 회복이 예상되는 호재 이벤트들이 하반기에 몰려있는 가운데, 셀트리온/삼성바이오에피스(삼성바이오로직스)의 휴미라 바이오시밀러 출시, 유한양행의 레이저티닙 폐암 치료제 병용 임상 3상 데이터 공개, 알츠하이머 치료제 레켐비의 FDA 정식 허가 및 급여 등재, 도나네맙의 FDA 허가 신청, 마드리갈 파마슈티컬의 NASH 치료제 레스메티롬의 FDA 가속 승인 획득 등이 있다고 밝힘.

▷아울러 현지시간으로 6월2~6일까지 열리는 미국임상종양학회(ASCO 2023)에 대한 기대감이 지속되고 있음.

▷이 같은 소식 속 동화약품, 알피바이오, 비씨월드제약, 한올바이오파마, 지아이이노베이션, 유한양행 등 제약/바이오 관련주가 상승.
백신/진단시약/방역/ 코로나19(진단키트) 등입영 신체검사에 마약 검사 추가 소식 등에 상승
▷국방부는 이날 입영 병사와 복무 중인 장병을 대상으로 하는 신체검사에서 마약류 검사를 추가·확대하는 방안 등을 담은 '군 마약류 관리 개선방안'을 추진하겠다고 밝힘. 지금은 입영 신검 시 마약류 복용 경험이 있다고 진술하거나 군의관이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경우에만 마약류 검사를 하고 있으나, 이를 신체검사 대상자 전원으로 확대하겠다는 것임. 간부의 경우 임관 예정자 및 장기 복무 지원자 전체를 대상으로 이르면 하반기부터 마약류 검사를 실시할 계획임.

▷입영 신검에서 마약류 양성 반응이 나올 경우 소변을 재채취해 정밀검사를 받게 되며, 또다시 양성 반응이 나오면 경찰 수사 대상이 된다고 설명. 또한, 복무 중인 병사는 전역 전까지 1회 이상 건강검진을 받아야 하는데, 소변 검사 항목에 마약류 검사를 추가하는 방안을 검토하기로 했다고 밝힘.

▷이 같은 소식 속 바디텍메드, 진매트릭스, 휴마시스, 랩지노믹스, 엔지켐생명과학, 비엘 등 코로나19(진단키트)/코로나19(진단/치료제/백신 개발 등), 백신/진단시약/방역 등의 테마가 상승.
엔터테인먼트케이팝 팬덤 지속 확장 기대감 등에 일부 관련주 상승
▷한국투자증권은 보고서를 통해 글로벌 음반 판매량이 감소 추세인 것과 다르게 국내 음반 판매량은 빠르게 증가하고 있으며, 하이브의 위버스나 디어유의 버블 등 팬 플랫폼 어플 이용자 수에서도 팬덤 확대가 드러나고 있다고 밝힘. 아울러 글로벌 대중에게 케이팝 콘텐츠 노출이 확대되고 인지도가 높아지면서 팬덤 확대가 지속될 것이라고 밝힘.

▷또한, 올해 앨범, 콘서트, MD 등 엔터사 매출 부문이 모두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며, 올해 엔터 4사 합산 매출액은 4조2,600억원(+33% YoY)을 기록할 것으로 추정. 이어 2023년에는 2022년 대비 콘서트 규모와 횟수가 확대되고 가격도 상승하면서 엔터 4사의 콘서트 매출액이 49% 증가할 것으로 전망하며, BTS 단체 투어 부재 영향이 있는 하이브를 제외하면 엔터 3사 콘서트 매출액은 191% 증가할 것으로 전망.

▷이 같은 소식에 아센디오, 디어유, 와이지엔터테인먼트, JYP Ent. 등 일부 엔터테인먼트 테마가 상승.


[인포스탁 테마분류를 통해서 상세한 기업개요 및 테마개요/관련종목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Copyright ⓒ True&Live 증시뉴스 점유율1위, 인포스탁(www.infostock.co.kr)

기사 관련 종목

07.04 15:30
동화약품 6,820 130 -1.87%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07.05 20:41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