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AEA, 우크라 모든 원전에 전문가 파견…"전쟁 중 사고 방지"
임미나
입력 : 2023.01.19 09:10:41
입력 : 2023.01.19 09:10:41
IAEA는 전날 성명에서 "전쟁이 계속되는 우크라이나에서 심각한 핵물질 사고의 위험을 줄이기 위한 IAEA의 노력이 확장됐음을 의미한다"고 말했다.
IAEA가 파견한 전문가는 총 11∼12명가량으로, 리우네와 남우크라이나, 흐멜니츠키 등 원전 3곳에 더해 1986년 폭발 사고 이후 가동이 중단된 체르노빌 시설에도 상주한다.
라파엘 그로시 IAEA 사무총장은 17일 리우네 원전에서 열린 깃발 게양식에 참석한 뒤 "우리 전문가들이 사고를 방지하는 기술적인 활동을 강화하고 있다"며 "우크라이나 정부의 요청에 따라 시작된 이 새로운 임무는 대단히 어려운 시기에 우크라이나를 지원함으로써 매우 실질적인 차이를 만들 것"이라고 강조했다.
면담에서는 자포리자 원자력발전소 안전 문제 등이 논의됐다.
앞서 그로시 사무총장은 지난주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과 면담했다.
2022.10.12 ddy04002@yna.co.kr
면담에서는 자포리자 원자력발전소 안전 문제 등이 논의됐다.
앞서 그로시 사무총장은 지난주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과 면담했다.
2022.10.12 ddy04002@yna.co.kr(끝)
슈미할 총리는 또 러시아가 IAEA에서 지닌 권리를 박탈하고 협력을 중단하는 등 제재를 가해달라고 IAEA에 요청했지만, 그로시 사무총장은 회원국들과 논의해 결정할 사안이라며 즉답을 피했다.
그로시 사무총장은 자포리자 원전 주변에 보호구역을 설정하는 문제에 관해서는 양국 정부와 협의를 진행 중이라고 밝혔다.
러시아는 지난해 2월 24일 우크라이나를 침공한 직후 단일 단지로는 유럽 최대 규모인 우크라이나 자포리자 원전을 점령했으며, 이후 이 원전과 주변에선 포격과 군사활동이 끊이지 않아 방사능 유출 등 대형사고가 벌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돼 왔다.
이에 IAEA는 자포리자 원전과 주변 지역을 비무장 안전·보호구역으로 만드는 방안을 작년 8월부터 양국 정부와 논의해 왔으나, 교전 상황이 격화하면서 가시적인 진척을 보지는 못했다.
mina@yna.co.kr(끝)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