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세계·신라·현대, 면세 사업 경쟁 개막…롯데는 시내·온라인에 '올인'
윤형섭
입력 : 2023.07.03 17:19:42
입력 : 2023.07.03 17:19:42
【 앵커멘트 】
인천국제공항 면세 사업자가 신세계와 신라, 현대백화점 등으로 이달부터 바뀌면서 새롭게 꾸민 매장을 선보였는데요.
반면, 공항 사업권을 획득하지 못한 롯데는 시내면세점 강화에 주력한다는 방침입니다.
윤형섭 기자입니다.
【 기자 】
지난 1일 인천국제공항 면세점 신규 사업자들이 새롭게 문을 열었습니다.
이번 사업권은 향후 10년을 운영할 수 있는데, 지난 4월 말 최종 사업자들이 선정됐습니다.
먼저 신세계면세점은 1, 2터미널에 3천평 규모로 29개 매장을 운영합니다.
명품, 화장품 등 전 품목으로 판매 범위를 확대했습니다.
특히 주류의 경우 약 192개 브랜드를 판매하는데, 국제 주류 대회 수상품 등 특색 있는 주류를 단독으로 유치했습니다.
신라면세점도 1, 2여객 터미널에 2천700여평 규모 매장을 꾸려 400여개 브랜드를 운영할 예정입니다.
현재는 부분 영업을 개시했으며 순차적인 매장 개편을 통해 내년 중 전체 매장을 선보일 계획입니다.
현대백화점면세점도 2여객터미널에 우선적으로 운영을 시작했고, 다음달 중 1여객터미널에 매장을 열 예정입니다.
이번 공항면세점 사업자로 선정되지 못한 롯데면세점은 시내면세점과 온라인 면세점 강화로 대응에 나섰습니다.
엔데믹으로 서울 주요 지역에 해외 방문객이 늘자 오는 7일부터 명동본점과 잠실 월드타워점 영업시간을 1시간 반 늘릴 방침입니다.
무엇보다 면세 주류의 온라인 판매가 가능해지자 위스키, 코냑 등 700여 개 상품 물량을 확보해 온라인 주류 전문관 판매를 강화합니다.
공항 사업 판도는 바뀌었지만 전문가들은 여전히 면세업계 큰 손인 중국인 수요를 잡는 것이 관건이라고 분석했습니다.
▶ 인터뷰(☎) : 김대종 / 세종대 경영학부 교수
- "중국 관광객 유치가 중요합니다.
우리나라 전체 수출의 33%가 중국, 홍콩에서 이뤄지고 있고, 14억 명이나 되는 중국 관광객들이 한국에 방문할 수 있도록…"
엔데믹과 여행 성수기를 맞아 면세업계가 다시 활기를 찾는 가운데, 공항 사업권 재편으로 업계 판도가 어떻게 바뀔지 주목됩니다.
매일경제TV 윤형섭입니다.
[ yhs931@mk.co.kr ]
[ⓒ 매일경제TV mktv.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 관련 종목
07.04 15:30
현대백화점 | 76,600 | 1,200 | -1.54% |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
1
강원도, 데이터 활용한 의료·건강 생태계 조성사업 2단계 추진
-
2
한국마사회, 서울창조경제혁신센터와 말산업 활성화 업무 협약
-
3
“장사 접어요” 한 해 100만명 처음 넘었다…음식점 폐업률이 무려
-
4
삼성물산·현대건설, 자율주행 자재 운반 로봇 개발…현장 실증
-
5
법률사무소 상대로 인테리어 공사 사기…50대 징역형
-
6
GS샵 "보양식 매출 특수는 초복에 몰려…삼계탕 등 집중 편성"
-
7
동원F&B, 국제학술대회서 "침치, 영양 풍부 고부가가치 가능"
-
8
경남 출산 가구도 주택구입 대출이자 지원받는다…조례안 발의
-
9
대출 규제에 전세시장도 냉랭…"전세대출 안받으면 1억 낮춰줘"
-
10
美 엔비디아·MS, 시총 '4조 달러 시대' 누가 먼저 여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