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인 드디어 몰려오나”…화장품 카지노 면세점주 줄줄이 강세
백지연 매경닷컴 기자(gobaek@mk.co.kr)
입력 : 2023.08.10 10:01:38 I 수정 : 2023.08.10 10:57:37
입력 : 2023.08.10 10:01:38 I 수정 : 2023.08.10 10:57:37

10일 오전 9시 35분 현재 한국화장품은 전일 대비 1720원(29.91%) 오른 7470원에 거래되고 있다.
같은 시간 리더스코스메틱(29.90%), 한국화장품제조(29.87%), 코리아나(25.76%) 등도 크게 오르고 있다. 마녀공장(22.59%), 토니모리(19.57%) 등도 상승 중이다.
중국은 한국 화장품 수출 규모를 50% 넘게 차지하고 있다. 하지만 봉쇄를 중심으로 하는 중국의 코로나 방역 대책에 K뷰티 시장도 주춤세를 이어온 바 있다.
이날 중국인 단체관광 수요에 따라 실적이 좌우되는 카지노주들도 일제히 강세를 보이고 있다. 같은 시간 GKL(20.00%), 롯데관광개발(18.50%), 파라다이스(13.43%) 등이 일제히 오름세다.
면세점주로 꼽히는 호텔신라도 오전 10시 기준으로 전날 보다 12.3% 오른 8만3200원을 기록하고 있다.
중국 문화여유부는 이르면 이날 한국을 포함해 세계 각국에 대한 자국민 해외 단체관광을 허용한다는 내용의 발표를 할 것으로 알려졌다. 중국 외교부도 최근 한국과 일본 외교당국 측에 자국민의 단체관광을 허용하겠다고 통보한 것으로 전해졌다.
롯데관광개발 관계자는 “중국 단체 관광객이 재개되면 현재 제주공항 국제노선이 주 100회 정도에서 코로나19 이전 수준인 주 174회로 회복할 것으로 보여 호텔 객실과 레스토랑, 카지노, 쇼핑몰 등 드림타워 전 분야 매출이 크게 상승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기사 관련 종목
08.01 15:30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
1
해외로 돈 보내는 중국인 근로자 폭증…불법 송금 위험 커진다
-
2
[부고] 정영균(하나증권 IB그룹장)씨 빙모상
-
3
화천토마토축제 성료…관광객 12만명 찾아 더위사냥
-
4
구윤철 "車관세 15%, 미국의 마지노선…12.5% 못 얻어내 아쉽다"
-
5
삼양식품 '불닭 신화' 이면에 노동자 장시간·야간 근무 있었다(종합)
-
6
제주 우도 차량 운행제한조치 완화…'관광 회복' vs '교통 혼잡'
-
7
HBM·파운드리 바닥설…9만전자 가나
-
8
시장 넓히는 코인베이스 美주식거래 토큰화 진출
-
9
피그마, 뉴욕증시 상장 후 폭등
-
10
코인 거래대금 급등 업비트 글로벌 4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