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도체 등 부진에…2분기 기업 매출 4% 줄고 이익률 '반토막'
전년동기비 매출증가율 3년만에 최저…영업이익률 3.6%한은 "반도체가격·운임 하락, 건설현장 붕괴사고 등 영향"
신호경
입력 : 2023.09.12 12:00:05
입력 : 2023.09.12 12:00:05

[연합뉴스 자료사진]
(서울=연합뉴스) 신호경 기자 = 글로벌 경기 부진으로 반도체·석유제품 등 수출품 가격과 운임 등이 떨어진 데다 건설현장 사고도 잇따르면서 지난 2분기(4∼6월) 국내 기업들의 성장·수익성 지표들이 크게 나빠졌다.
한국은행이 12일 공개한 '2023년 2분기 기업경영분석' 결과에 따르면 외부감사 대상 법인기업 2만2천962개(제조업 1만1천604개·비제조업 1만1천358개)의 2분기 매출은 작년 같은 기간보다 4.3% 줄었다.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뒷걸음친 것은 2020년 4분기(-1.0%) 이후 처음이며 감소율은 2020년 2분기(-10.1%) 이후 가장 컸다.

[한국은행 제공.재판매 및 DB 금지]
제조업의 경우 매출 감소 폭(-6.9%)이 1분기(-2.1%)보다 더 커졌다.
세부 업종 가운데 석유화학(올해 1분기 -3.5%→2분기 -17.1%), 기계·전기전자(-14.3%→-15.4%) 업종의 매출 부진이 두드러졌다.
글로벌 성장세 둔화와 IT(정보기술) 경기 침체 등이 주요 원인으로 꼽혔다.
비제조업 매출 증가율도 1분기 3.6%에서 2분기 -0.7%로 급락했다.
각 기저효과와 운임지수 하락의 영향으로 전기가스(19.8%→10.0%), 운수(-5.9%→-14.8%) 업종의 증가율 하락 폭이 컸다.

[한국은행 제공.재판매 및 DB 금지]
수익성 지표 악화도 뚜렷했다.
전체 조사 대상 기업의 2분기 매출액 대비 영업이익률(3.6%)은 작년 2분기(7.1%)의 약 절반에 불과했다.
세전 순이익률(6.0%) 역시 1년 사이 1.2%포인트(p) 낮아졌다.
비제조업(작년 2분기 5.1%→올해 2분기 4.6%)보다 제조업(8.6%→2.9%)의 영업이익률이 더 많이 떨어졌다.
세부 업종 중에서는 제조업 가운데 기계·전기전자(12.1%→-1.6%)와 서비스업 중 운수업(15.8%→8.7%), 건설업(6.5%→3.3%)의 이익률 하락세가 두드러졌다.
반도체 가격 하락에 따른 재고자산 평가손실과 해운 운임 하락, 건설현장 붕괴 재시공에 따른 영업손실 탓이라는 게 한은의 설명이다.
재무 안정성 지표를 보면, 전체 기업의 2분기 부채 비율(90.8%)이 1분기(95.0%)보다 낮아졌다.
차입금 의존도(26.0%)에는 변화가 없었다.
이성환 한은 기업통계팀장은 "12월 결산법인은 미지급 배당금을 (장부상) 부채로 잡아놓기 때문에, 2분기 배당금이 지급되면서 부채비율이 소폭 하락했다"고 설명했다.

[한국은행 제공.재판매 및 DB 금지]
shk999@yna.co.kr(끝)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
1
국내 1위 세탁 프랜차이즈 크린토피아 매각 속도
-
2
AP위성, UAE 기업 위성통신단말기 납품 소식에 14% 급등 [특징주]
-
3
김혜경 여사, 세월호 흔적·복지시설 찾아 민심 잡기
-
4
코스닥 상승률 상위 20종목(직전 30분 기준)
-
5
대선 이후 부동산 시장 궁금하다면…NH투자증권, 전망보고서 발간
-
6
코스닥 하락률 상위 20종목(직전 30분 기준)
-
7
아이진(185490) 상승폭 확대 +11.38%
-
8
지투파워, 임원ㆍ주요주주 특정증권등 소유주식수 변동
-
9
대원미디어(048910) 소폭 상승세 +3.06%
-
10
위세아이텍(065370) 상승폭 확대 +6.65%, 7거래일만에 반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