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생시장 15분 조기 개장 한달... 거래소 “증시 예측도 높아져”
강민우 기자(binu@mk.co.kr)
입력 : 2023.09.19 16:53:16 I 수정 : 2023.09.19 17:34:13
입력 : 2023.09.19 16:53:16 I 수정 : 2023.09.19 17:34:13
7월31일부터 8시45분 개장
해외정보 반영된 지수선물 가격
정확한 시초가 예측에 도움
해외정보 반영된 지수선물 가격
정확한 시초가 예측에 도움

19일 한국거래소는 ‘파생상품시장 조기 개장 등 제도개선 이후 1개월 성과 분석’ 자료를 내고 “기관과 외인 등 전문투자자의 활발한 참여로 주식 시장의 시가를 예측할 수 있는 신뢰성 높은 파생상품 가격이 평성된 것으로 평가한다”고 밝혔다.
거래소는 올해 7월31일부터 파생상품시장을 이전보다 15분 이른 오전 8시45분부터 개장하고 있다. 기존 목요일 만기에 더해 매주 월요일이 만기인 코스피200 위클리 옵션도 상장됐다.
조기개장 시행 후 주가 지수와 지수 선물 간의 가격변동률 상관계수가 유가증권시장의 경우 0.83에서 0.95로 증가했다. 코스닥도 0.91로 높은 수준에 형성됐다. 지수선물의 실제 체결 가격을 보고 주식시장의 시초가를 전보다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게 됐다는 것이다.
기관과 외국인 투자자들 위주로 파생상품을 거래하면서 야간에 발생한 해외 변수들이 시장에 신속히 반영된 영향도 있다. 오전 8시45분부터 9시까지 기관과 외국인의 파생거래 비중이 36.6%에서 67.8%로 32.1%포인트 증가했다는 설명이다.
거래량 증가 효과도 나타났다. 조기 개장이 적용된 코스피200선물·옵션, 코스닥150선물·옵션 등의 지난달 일평균 거래량은 약 428만 계약으로 전년 동기 대비 46.2%, 전월 대비 6.8% 증가했다. 조기개장 시간의 파생상품 거래 규모는 하루 전체 거래의 약 16%로 조사됐다.
월요일 만기인 코스피200위클리옵션도 상장 이후 일평균 50만 계약 이상 거래되면서 시장에 성공적으로 정착했다. 투자자들이 월요일 만기 상품을 이용해 결제월물 등 다른 옵션 대비 낮은 비용으로 주말 간의 위험을 관리할 수 있게 됐다는 설명이다. 전체 옵션(결제월+위클리)의 개인 비중이 소폭 감소하는 대신 기관과 외인 중심으로 전환되는 효과도 나타났다.
거래소는 “파생상품시장 조기 개장으로 주식 투자자가 개장 전에 지수선물가격을 투자 판단에 활용할 수 있어 정보비대칭 해소에 크게 기여했다”고 평가했다.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
1
"오픈AI, 챗GPT 내 결제 시스템 개발 중…수수료 수익"
-
2
[뉴욕유가] 美 휘발유 재고 증가ㆍ무역 갈등 속 약세…WTI 0.2%↓
-
3
“파월 진짜 해임되나” 시장 요동...트럼프 “가능성 희박” 진화
-
4
멕시코·캐나다 정상회담 추진…對美관세협상 공동대응 논의할듯
-
5
[뉴욕증시-1보] '파월 해임설'에 휘둘린 투심…강세 마감
-
6
[사이테크+] "기체 응축돼 고체 광물 형성되는 초기 외계행성계 첫 포착"
-
7
[1보] 뉴욕증시, 연준의장 해임설로 출렁이다 반등 마감…다우 0.5%↑
-
8
[2보] 뉴욕증시, 연준의장해임설로 출렁이다 반등…나스닥 최고치 마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