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월 과기인상에 송영민 교수…"농게 눈 모방 360도 카메라 개발"

조승한

입력 : 2023.02.01 12:00:05


송영민 광주과학기술원 교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공.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연합뉴스) 조승한 기자 =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연구재단은 '이달의 과학기술인상' 2월 수상자로 광주과학기술원 전기전자컴퓨터공학부 송영민 교수를 선정했다고 1일 밝혔다.

송 교수는 농게의 겹눈 구조를 모방한 360도 전방위 수륙양용 카메라를 개발해 이미징 센서와 자율주행차, 가상현실기기 등에 요구되는 영상기술 발전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았다.

기존 광각 카메라는 넓은 화각을 갖기 위해 7~13매 어안렌즈를 겹쳐 이용하면서 부피가 크고 영상 왜곡이 발생하는 단점이 있었다.

최근 출시된 360도 카메라도 통상 두 개 이상 카메라에서 얻어진 영상을 합치는 방식이라 한계가 있었다.

농게 눈을 모방한 생체모사형 농게 카메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공.재판매 및 DB 금지]

연구팀은 농게 눈이 아주 작은 홑눈들이 모인 겹눈으로 전면에 돌출돼 360도를 동시에 보고 물속과 밖에서도 선명한 시야를 확보할 수 있음에 주목했다.

농게 홑눈 분포와 렌즈 형상을 분석한 결과 렌즈 표면은 편평하지만, 내부는 곡률과 굴절률이 서서히 바뀌는 형태로 진화해 물속과 물 밖에서 항상 초점이 맞는다는 것을 알아내 이를 본뜬 구배형 렌즈를 개발했다.

이 렌즈를 이미지 센서와 결합한 광학 시스템을 2㎝ 크기 공 모양 구조물에 쌓아 왜곡 없는 영상을 얻을 수 있는 카메라 개발에 성공했다.

농게 눈 모방 360도 수륙양용 카메라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네이처 일렉트로닉스'에 지난해 7월 게재됐다.

송 교수는 "하나의 소형 카메라로 360도 수준의 넓은 화각을 구현한 최초의 사례이자 농게의 눈 구조에 착안하여 수륙양용 촬영이 가능한 카메라 개발한 점에서 생체모방 기술을 한 차원 진보시킨 연구"라며 "앞으로 자율주행, 가상현실과 메타버스, 보안·정찰 분야 등에 폭넓게 적용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shjo@yna.co.kr(끝)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05.21 13:37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