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콩즈 이미지 변신을 위한 리브랜딩 예고[엠블록레터]
전성아 엠블록컴퍼니 기자(jeon.seonga@m-block.io), 김용영 엠블록컴퍼니 기자(yykim@m-block.io)
입력 : 2023.02.06 17:03:14
입력 : 2023.02.06 17:03:14
[엠블록레터] 경영진 이슈로 세간을 뜨겁게 달궜던 국내 NFT 프로젝트 메타콩즈가 기존의 부정적인 이미지를 탈피하기 위한 리브랜딩을 선언했습니다. 기존에 메타콩즈라고 하면 떠올랐던 고릴라를 새로운 경영의 시작과 함께 탈바꿈하기 위해서 신규작가를 섭외하고 홀더들의 의견에 따라 NFT의 디자인을 확정하겠다고 밝힌 것인데요. 메타콩즈의 IP로 진행되었지만 제대로 운영되지 않아 구설수에 올랐던 파생 프로젝트들의 향후 운영방안까지 포함되었습니다.
지난 1월에 진행된 AMA에서 메타콩즈의 대주주 멋쟁이사자처럼의 이두희 대표는 메타콩즈 IP로 진행된 수많은 파생 NFT 프로젝트를 제네시스 NFT
와 에코시스템 NFT
두가지로 통합
해 운영하겠다는 계획을 밝혔습니다. 메타콩즈를 가지고 있는 경우 제네시스 NFT 마이그레이션, 지릴라・슈릴라・베이비콩즈・LGO・웨어러블 NFT를 가지고 있는 경우 에코시스템 NFT 마이그레이션 대상에 해당합니다. 제네시스 NFT와 에코시스템 NFT는 각각 총 1만개가 발행될 예정이며 2월 중순부터 2주간 무료 마이그래이션을 진행할 예정입니다. 제네시스 NFT는 메타콩즈와 동일하게 이더리움 체인을 유지하고 에코시스템 NFT 또한 이더리움 체인으로 통합됩니다.
추가로 메타콩즈 홀더에게는 제네시스 NFT와 별개로 프로즌 NFT가 에어드랍되는데요.
프로즌 NFT는 거래가 아예 불가능한 NFT로 오픈씨는 물론, 멋쟁이사자처럼과 현대카드가 조인트벤처를 통해 베타 오픈한 가상자산거래소 콘크리트에서도 사고 팔 수 없습니다. 거래 불가능한 프로즌 NFT를 에어드랍하는 이유는 전반적인 프로젝트의 이미지는 변경하지만 기존 메타콩즈 NFT에 애정을 가지고 활동하던 홀더들의 2차 창작을 위한 것입니다. 홀더가 가지고 있던 NFT와 동일한 프로즌 NFT를 일종의 증명서 처럼 발급하는 것이죠.
이두희 대표는 리브랜딩될 메타콩즈의 PFP NFT는 메타버스 등과의 연계를 통해 포모를 불러일으켰던 기존의 네러티브가 아닌 ‘PFP NFT = 커뮤니티와 가상자산을 기반으로 한 브랜드의 탄생
’이라 정의하고 이에 총력을 기울이겠다는 포부를 밝혔습니다. 상당한 변화이기 때문에 받아들이기 힘든 홀더분들도 많을 것이라는 그의 우려와 달리 AMA 이후 홀더들의 반응도 매우 긍정적입니다. 오랜만에 메타콩즈 커뮤니티가 활기를 되찾을 것 같습니다.
한편 메타콩즈가 리브랜딩을 통해 장밋빛 미래만을 꿈꿀 수 없습니다. 넘어야 할 두가지 산이 남아있거든요. 첫째, 기존의 경영진과 현 경영진 간의 인수인계가 큰 차질을 빚고 있습니다
. 이두희 대표에 따르면 기존 경영진이 인수인계에 비협조적이며 업무용 툴 잔디와 회계 프로그램 다우오피스에 대한 권한을 부여하지 않아 운영에 상당한 어려움이 있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개발 소스코드가 포함된 도메인 복구 및 메일주소를 계정 사용중지 혹은 삭제해 GS와 현대자동차 등 굵직한 기업들과 협업한건 또한 데이터가 남아있지 않은 상태구요. 이러한 상황이니 당연히 기존에 예정되었던 LGO 리빌 및 에어드랍은 사실상 불가능합니다.
재정상황 또한 긍정적이지 않습니다. 현재 남아있는 현금성 자산은 약 9.1억원인데 반해 미지급되어 지출해야할 비용이 약 24억 600만원이기 때문에 대략 -14억 9천6백만원
이 현재 메타콩즈의 자금 상황입니다.
둘째, 이두희 대표의 횡령 의혹과 관련된 조사는 현재도 진행중입니다
. 이두희 대표는 본인은 잘못이 없다고 생각하나 법의 기준에서 어떻게 해석될지가 핵심입니다. 이 대표는 향후 수사 결과가 혐의가 있다고 나올 경우 관련 내용에 대해 홀더들에게 상세할 계획이라 전했습니다.
메타콩즈의 리브랜딩 발표는 NFT를 메타버스 등 신기술과의 연계가 아닌 오로지 브랜딩 측면에서 바라보는 사례가 전무했던 국내 NFT 프로젝트 사이에서 꽤나 흥미운 사례가 될것 같습니다.
기존의 고릴라에 대한 애착을 가지고 있던 홀더들의 아쉬움을 달래며 새로운 2차 창작 요소까지 부여한 것 또한 재미있는 요소였구요. 하지만 경영진 이슈가 해결되지 않는다면 아무리 리브랜딩에 성공한다 하더라도 기존의 이미지를 완전히 탈피할 순 없겠죠. 헤쳐나가야할 길이 멀겠지만 앞으로 홀더들과 함께 새롭게 태어날 메타콩즈의 행보를 관심있게 지켜봐야겠습니다.
지난 1월에 진행된 AMA에서 메타콩즈의 대주주 멋쟁이사자처럼의 이두희 대표는 메타콩즈 IP로 진행된 수많은 파생 NFT 프로젝트를 제네시스 NFT
와 에코시스템 NFT
두가지로 통합
해 운영하겠다는 계획을 밝혔습니다. 메타콩즈를 가지고 있는 경우 제네시스 NFT 마이그레이션, 지릴라・슈릴라・베이비콩즈・LGO・웨어러블 NFT를 가지고 있는 경우 에코시스템 NFT 마이그레이션 대상에 해당합니다. 제네시스 NFT와 에코시스템 NFT는 각각 총 1만개가 발행될 예정이며 2월 중순부터 2주간 무료 마이그래이션을 진행할 예정입니다. 제네시스 NFT는 메타콩즈와 동일하게 이더리움 체인을 유지하고 에코시스템 NFT 또한 이더리움 체인으로 통합됩니다.
추가로 메타콩즈 홀더에게는 제네시스 NFT와 별개로 프로즌 NFT가 에어드랍되는데요.
프로즌 NFT는 거래가 아예 불가능한 NFT로 오픈씨는 물론, 멋쟁이사자처럼과 현대카드가 조인트벤처를 통해 베타 오픈한 가상자산거래소 콘크리트에서도 사고 팔 수 없습니다. 거래 불가능한 프로즌 NFT를 에어드랍하는 이유는 전반적인 프로젝트의 이미지는 변경하지만 기존 메타콩즈 NFT에 애정을 가지고 활동하던 홀더들의 2차 창작을 위한 것입니다. 홀더가 가지고 있던 NFT와 동일한 프로즌 NFT를 일종의 증명서 처럼 발급하는 것이죠.
이두희 대표는 리브랜딩될 메타콩즈의 PFP NFT는 메타버스 등과의 연계를 통해 포모를 불러일으켰던 기존의 네러티브가 아닌 ‘PFP NFT = 커뮤니티와 가상자산을 기반으로 한 브랜드의 탄생
’이라 정의하고 이에 총력을 기울이겠다는 포부를 밝혔습니다. 상당한 변화이기 때문에 받아들이기 힘든 홀더분들도 많을 것이라는 그의 우려와 달리 AMA 이후 홀더들의 반응도 매우 긍정적입니다. 오랜만에 메타콩즈 커뮤니티가 활기를 되찾을 것 같습니다.
한편 메타콩즈가 리브랜딩을 통해 장밋빛 미래만을 꿈꿀 수 없습니다. 넘어야 할 두가지 산이 남아있거든요. 첫째, 기존의 경영진과 현 경영진 간의 인수인계가 큰 차질을 빚고 있습니다
. 이두희 대표에 따르면 기존 경영진이 인수인계에 비협조적이며 업무용 툴 잔디와 회계 프로그램 다우오피스에 대한 권한을 부여하지 않아 운영에 상당한 어려움이 있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개발 소스코드가 포함된 도메인 복구 및 메일주소를 계정 사용중지 혹은 삭제해 GS와 현대자동차 등 굵직한 기업들과 협업한건 또한 데이터가 남아있지 않은 상태구요. 이러한 상황이니 당연히 기존에 예정되었던 LGO 리빌 및 에어드랍은 사실상 불가능합니다.
재정상황 또한 긍정적이지 않습니다. 현재 남아있는 현금성 자산은 약 9.1억원인데 반해 미지급되어 지출해야할 비용이 약 24억 600만원이기 때문에 대략 -14억 9천6백만원
이 현재 메타콩즈의 자금 상황입니다.
둘째, 이두희 대표의 횡령 의혹과 관련된 조사는 현재도 진행중입니다
. 이두희 대표는 본인은 잘못이 없다고 생각하나 법의 기준에서 어떻게 해석될지가 핵심입니다. 이 대표는 향후 수사 결과가 혐의가 있다고 나올 경우 관련 내용에 대해 홀더들에게 상세할 계획이라 전했습니다.
메타콩즈의 리브랜딩 발표는 NFT를 메타버스 등 신기술과의 연계가 아닌 오로지 브랜딩 측면에서 바라보는 사례가 전무했던 국내 NFT 프로젝트 사이에서 꽤나 흥미운 사례가 될것 같습니다.
기존의 고릴라에 대한 애착을 가지고 있던 홀더들의 아쉬움을 달래며 새로운 2차 창작 요소까지 부여한 것 또한 재미있는 요소였구요. 하지만 경영진 이슈가 해결되지 않는다면 아무리 리브랜딩에 성공한다 하더라도 기존의 이미지를 완전히 탈피할 순 없겠죠. 헤쳐나가야할 길이 멀겠지만 앞으로 홀더들과 함께 새롭게 태어날 메타콩즈의 행보를 관심있게 지켜봐야겠습니다.
<엠블록레터(Mblock)>
[엠블록레터]는 매일경제 블록체인 전문 자회사 '엠블록컴퍼니(Mblock)'의 뉴스레터입니다. 엠블록컴퍼니가 만든 무료 뉴스레터를 구독하시면 디지털 자산 투자의 지침이 될 올바른 정보와 새로운 블록체인 기술 트렌드를 따라잡을 수 있는 심층분석을 수·금 아침 이메일로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아래 주소로 접속하시면 구독 페이지로 연결됩니다.
https://bit.ly/mblockletter
[엠블록레터]는 매일경제 블록체인 전문 자회사 '엠블록컴퍼니(Mblock)'의 뉴스레터입니다. 엠블록컴퍼니가 만든 무료 뉴스레터를 구독하시면 디지털 자산 투자의 지침이 될 올바른 정보와 새로운 블록체인 기술 트렌드를 따라잡을 수 있는 심층분석을 수·금 아침 이메일로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아래 주소로 접속하시면 구독 페이지로 연결됩니다.
https://bit.ly/mblockletter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
1
KB금융, 주가 끌어올린 ‘밸류업 날개’ 꺾이자 6% 하락
-
2
‘이재용 2심 무죄에’ 이복현 “국민께 사과…자본시장법 개정 필요성 더 확실”
-
3
엘케이켐 “코스닥 상장으로 종합 정밀화학 소재社 도약”
-
4
유럽서 비호감 된 머스크… 판매량 반토막에 테슬라 주가 하락
-
5
김경호 딜로이트 센터장 “미국이 비트코인 비축시, 전 세계 포모(FOMO) 부를 가능성”
-
6
KT&G, 보통주 3,300,000주, 종류주 0 소각 결정
-
7
D&O, 마곡 최대 공유오피스 ‘플래그원 마곡캠프’ 오픈
-
8
티에스아이, 24년 연결 영업이익 156.29억원
-
9
LG엔솔, 최대 1조6000억원 회사채 발행한다
-
10
‘딥시크 쇼크’에 삼전·SK하이닉스 빚투한 개미…주가 회복에 2300억 탈출 기회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