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년사 2024] 4대 금융지주, 올해 키워드는 '비은행·디지털'

입력 : 2024.01.02 11:15:42
제목 : [신년사 2024] 4대 금융지주, 올해 키워드는 '비은행·디지털'
신한금융은 '혁신과 도전' 강조…KB금융은 '상생과 공존' 비은행 존재감 약한 우리·하나는 '비은행 강화·M&A' 의지 드러내

[톱데일리] 갑진년을 맞아 국내 주요 4대 금융그룹 회장들은 신년사를 통해 비은행과 디지털에 초점을 맞춰 혁신을 이어나가겠다고 강조했다.

진옥동 신한금융그룹 회장은 2일 신년사에서 올해 경영 슬로건을 '고객중심, 일류(一流)신한, 틀을 깨는 혁신과 도전'으로 제시했다. 시장, 기술, 금융 소비자의 트렌드가 분초 단위로 급격하게 변화하고 있는 상황에서 기존 성공 방식만 고집한다면 미래를 보장할 수 없다는 뜻이다.

진 회장은 "관행과 안주의 틀에서 벗어나 근복적인 혁신과 도전에 나설 때"라며 "ESG, 디지털, 글로벌을 비롯한 모든 영역에서 신한이 새로운 기준을 제시해간다는 마음으로 노력해주길 바란다"고 주문했다.

이 과정에서 '업의 윤리'를 지켜야한다는 소신도 밝혔다. 진 회장은 "스스로를 철저히 돌아보는 내부통제와 리스크 관리를 바탕으로 일류 신한의 꿈에 가까이 다가가자"고 말했다.

양종희 KB금융그룹 회장 또한 '상생과 공존'을 강조하면서도 비은행 강화에 대한 의지를 드러냈다.

양 회장은 "기존의 방법이 경쟁과 생존이었다면 이제는 상생과 공존으로 패러다임을 전환해야 한다"면서 "KB고객의 범주에 사회를 포함해 KB-고객-사회의 공동 상생전략을 추진할 것"이라고 밝혔다.

구체적으로는 지주와 은행의 ESG본부를 확대 개편하고, '대(對)고객 상품판매 철학·원칙 TF팀을 구성했다. 또한 은행 소비자보호그룹 산하에 '투자상품관리부'를 신설해 공동의 상생전략에 앞장서겠다는 포부도 밝혔다.

양 회장은 '비대면 채널 영업방식'과 '인공지능(AI)'의 중요성에 대해 강조하면서 "모든 금융상품과 서비스 기능을 API 형태로 모듈화해 어떤 플랫폼에도 고객 맞춤형으로 탑재 가능한 구조를 만들어야 한다"며 "KB금융 임직원들 또한 미래 직무변화에 끊임없이 학습하고 변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마 지막으로 그는 "계열사별 성장 전략을 재정비해 비은행 계열사의 선두권 도약을 본격 추진하겠다"며 "투자운용, WM, 보험, 글로벌 4대 영역에서의 신뢰 또한 높여나가겠다"고 했다.

우리금융그룹도 지난해에 이어 올해 역시 '비은행 강화'를 목표로 세웠다. 임종룡 우리금융그룹 회장은 올해의 그룹 경영목표를 '선도 금융그룹 도약, 역량집중·시너지·소통'으로 수립했다.

그는 "기업금융 명가의 위상을 되찾아야 한다"며 "증권업 진출에 대비해 그룹 자체 역량을 강화하고 비은행 포트폴리오 확충을 병행하겠다"고 말했다.

또한 글로벌 긴축,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 우려 등 불확실성에 대해 "위험요인별 모니터링과 글로벌 리스크관리에 초점을 맞추고 성장이 있는 부분을 선제적으로 점검하는 등 그룹의 위기대응력을 높여나가야 한다"고 설명했다.

임 회장은 "'디지털·정보통신기술(IT)'에 대한 경쟁력 강화하겠다"며 "유니버셜 뱅킹앱 출범과 더불어 STO, CBDC, 생성형AI 등 디지털 신기술 트렌드에 선제적으로 대응하여 디지털 역량을 강화해 차별화된 서비스를 제공하겠다"고 강조했다.

하나금융그룹 또한 '상생'을 강조하면서도 '인수합병(M&A)'에 대한 의지를 드러냈다.

함영주 하나금융그룹 회장은 "하나금융은 업권별로 요구되는 기본 필수 역량을 확보해 본업의 기반을 공고히 하고, 우리만의 차별화된 강점을 찾아 보유 자원을 집중해 더욱 강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함 회장은 "경쟁자를 포함한 외부와의 제휴, 투자, M&A 등 다양한 방법으로 협업을 이뤄내 금융이 줄 수 있는 가치 그 이상을 고객에게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며 "협업은 더이상 선택이 아닌 필수"라고 제시했다.

금융권에 대한 부정적인 시각에 대해서 언급하며 "금리 상승은 우리가 결정할 수 있는 범위를 넘어선 일이었지만, 고금리로 고통받는 많은 이들에게는 금리 체계가 합리적인가에 대한 분노를 일으키게 된다"며 "우리의 성공방정식이 더 이상 유효하지 않다는 사실에 경각심을 가져야 한다"고 밝혔다.

또한 "금리 감면요청 전에 선제적인 제안은 할 수 없었는지 자문해 봐야 한다"며 "시스템을 구축하고 프로세스를 개선해 투명하고 합리적인 결과물을 만들어 낼 수 있도록 변화가 필요한 시점"이라고 짚었다.





톱데일리
윤신원 기자

해당 기사는 톱데일리(www.topdaily.kr)에서 제공한 것이며 저작권은 제공 매체에 있습니다. 기사 내용 관련 문의는 해당 언론사에 하시기 바랍니다.
Copyright ⓒ True&Live 증시뉴스 점유율1위, 인포스탁(www.infostock.co.kr)

기사 관련 종목

05.14 15:30
신한지주 51,800 0 0%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05.14 22:31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