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보] 2월 물가 3.1%↑…과일값·유가 뛰며 한달만에 3%대
신선식품지수 20% 올라…신선과실 32년5개월만에 최대 상승
민경락
입력 : 2024.03.06 08:01:00
입력 : 2024.03.06 08:01:00

(서울=연합뉴스) 김주형 기자 = 지난해 사과 생산이 30% 급감해 가격이 치솟은 가운데 2033년까지 사과 재배 면적이 8.6% 감소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한국농촌경제연구원의 농업 전망 2024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사과 재배면적은 작년과 비슷한 3만3천800㏊에서 2033년 3만900ha로 연평균 1%가량 감소할 것으로 전망됐다.이는 2033년까지 9년 동안 사과 재배면적 2천900㏊(8.6%)가 줄어드는 것으로 축구장(0.714㏊) 4천개가 사라지는 셈이다.재배 면적이 줄어들면 생산이 줄어 가격 인상을 유발하게 된다.사진은 3일 서울의 한 전통시장의 과일 판매대.2024.3.3 kjhpress@yna.co.kr
(세종=연합뉴스) 민경락 박재현 기자 = 농산물값 고공행진에 국제유가 상승세 등이 겹쳐 지난달 소비자물가가 다시 3%대로 올라섰다.
통계청이 6일 발표한 2월 소비자물가 동향을 보면 지난 달 소비자물가지수는 113.77(2020=100)으로 1년 전보다 3.1% 올랐다.
지난해 8∼12월 3%를 웃돌던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1월(2.8%) 2%대로 떨어졌지만, 한 달 만에 3%대로 올라섰다.
농산물 물가가 20.9% 올라 전체 물가를 0.80%포인트(p) 끌어올렸다.
국제유가 상승 영향으로 석유류 물가 하락 폭도 전월(-5.0%)보다 축소된 1.5%에 그쳤다.
전체 물가 기여도도 1월 -0.21%p에서 -0.06%p로 줄면서 상대적으로 물가를 끌어올리는 역할을 했다.
신선식품지수는 신선과실이 41.2% 오른 영향으로 20.0% 상승했다.
신선과일은 1991년 9월 43.9% 오른 뒤로 32년 5개월 만에 상승 폭이 가장 컸다.
신선채소도 12.3% 올랐다.
지난해 3월 13.9% 오른 뒤 11개월 만에 가장 큰 상승 폭이다.
자주 구매하는 품목 위주로 구성돼 체감물가에 가까운 생활물가지수는 3.7% 올랐다.
물가의 기조적 흐름을 보여주는 근원물가인 식료품 및 에너지 제외 지수는 2.5% 상승해 전달과 같았다.
공미숙 통계청 경제동향통계심의관은 "석유류·과실 등이 많이 오른 영향으로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다시 3%로 올라섰다"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류효림 기자 = 국내 주유소의 휘발유·경유 판매 가격이 5주 연속 상승했다.한국석유공사 유가정보 공시 서비스 오피넷에 따르면 지난달 넷째 주(25~29일) 전국 주유소 휘발유 평균 가격은 1635.4원(이하 ℓ당)으로 전주보다 8.3원 올랐다.경유 평균 판매가도 전주 대비 7.7원 오른 1537.2원을 기록했다.사진은 3일 서울 시내 주유소 모습.2024.3.3 ryousanta@yna.co.kr
rock@yna.co.kr(끝)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
1
비트코인 불장에…코인베이스 주가도 ‘껑충’
-
2
“손실 무서워 계좌 열지도 못했는데”…서학개미 속 썩인 이 주식, 살아났다
-
3
원화값 7개월만에 최고...지난주 원화강세 주요 통화중 2위
-
4
주영한국문화원 '옥스퍼드 코리아포럼'…VR 반가사유상 첫 공개
-
5
[주간증시전망] 엔비디아 실적·FOMC 회의록에 쏠린 눈…변동성 장세 지속
-
6
8천900명이 달렸다…제주국제관광마라톤축제 참가자 역대 최다
-
7
LG유플러스, 키즈노트 앱에 '어린이 안심 통학 서비스' 도입
-
8
'집단소송 신청해드립니다'…'SKT 해킹' 이용한 마케팅 과열
-
9
[연합뉴스 이 시각 헤드라인] - 15:00
-
10
서울주택 평균 매매가 10억원 시대…'똘똘한 한채'가 끌어올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