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분기 영업익 무려 3조원…그런데도 한전 주가가 빠지는 이유
고득관 매경닷컴 기자(kdk@mk.co.kr)
입력 : 2024.04.29 14:07:59 I 수정 : 2024.04.29 14:14:34
입력 : 2024.04.29 14:07:59 I 수정 : 2024.04.29 14:14:34

29일 오전 11시 현재 한국전력은 전일대비 150원(0.71%) 오른 2만1200원에 거래되고 있다.
한국전력 주가는 단기고점인 지난 15일 2만5450원에서 한달 반여만에 16.70%나 하락했다. 이 기간 코스피 수익률 0.42%를 크게 밑도는 숫자다.
한국전력은 지난해 말에서 올해 초까지만 해도 주가 흐름이 매우 좋았다. 지난해 10월말 1만6030원이던 주가는 올해 3월 말 2만5000원선까지 5개월여 만에 58.76%나 상승했다.
잘 나가던 주가가 3월 중순을 기점으로 크게 빠지기 시작한 것이다.
실적 전망은 매우 긍정적이다. 한국전력은 지난 2022년에 32조6650억원의 기록적인 영업손실을 기록했다.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원자재 가격이 급등하는데 물가 상승을 우려한 정부가 전기요금 인상을 억제했기 때문이다. 지난해에도 연간 적자 규모가 4조5420억원에 달했다.
하지만 올해 1분기 한국전력은 3조원 수준의 영업이익을 낼 것으로 예상된다. Fn가이드 기준 한국전력의 1분기 영업이익 평균 전망치는 2조6750억원이다. 지난해 말까지만 해도 1조5000억원이던 전망치가 실적 발표가 다가올수록 빠르게 상향 조정되는 추세다. 최근 2주새 한국전력의 1분기 영업이익 전망치를 내놓은 4개 증권사 모두 3조원대의 영업이익을 예상했다.
한국전력의 1분기 영업이익 전망치는 전체 상장사를 기준으로 봐도 최상위권에 해당하는 금액이다. 현재까지 실적을 발표한 상장사를 기준으로 보면 삼성전자(6조6000억원), 현대차(3조5574억원), 기아(3조4257억원), SK하이닉스(2조8860억원)에 이어 5위다. KB금융(2조3554억원), 신한지주(2조682억원)보다도 많다.
한국전력의 주가가 우하향세를 보이는 가장 큰 이유는 전기요금 인상 지연에 대한 우려다. 전기요금은 매년 3·6·9·12월에 결정된다. 지난 2022년부터 전기요금 인상을 시작한 정부는 지난해 2분기까지 40% 가량 전기요금을 인상했다. 이후 가정용 전기요금은 지난해 3분기부터 올해 2분기까지 1년째 동결된 상태다.

최상목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지난 18일(현지시간) “물가 상황이 아직까지 어렵기 때문에 당분간은 공공요금에 대해 보수적으로 생각을 하고 있다. (지금은) 현재 기조를 유지할 수밖에 없는데, 두고 봐야 한다”고 말하기도 했다.
증권가에서도 3분기 전기요금 동결 가능성에 무게를 싣고 있다. 3분기는 냉방 수요 탓에 전기요금이 연중 가장 많이 나오는 시기인 만큼 전기요금 인상에 대한 불만도 커질 수 있다. 또 누적 적자해소까지는 갈 길이 멀지만 한전이 분기당 수조원대의 흑자를 내고 있어 전기요금 인상 명분이 이전보다 많이 약해진 것도 사실이다.
성종화 이베스트투자증권 연구원은 “핵심 현안은 2021~2023년 쌓인 막대한 누적 적자를 해소하기 위한 적정 수준의 요금 인상인데 2분기는 정부의 상반기 공공요금 동결 정책, 총선 직후 국회 구성 등의 행정적 절차 등을 감안할 때 가능성이 낮아보인다”라며 “3분기도 전력 성수기라 요금 인상 가능성은 낮아 보인다. 요금 인상 시기는 4분기가 유력해 보인다”고 말했다.
기사 관련 종목
07.04 15:30
한국전력 | 36,900 | 1,000 | +2.79% |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
1
“비싸기만 한 공격용 헬기, 차라리 드론이 낫다”...아파치 추가도입 예산 전액 삭감
-
2
“소비자 입장에서 느꼈던 불편함 개선했더니 사업 성장했죠”
-
3
"이번에 안 바꾸면 아이도 위험?" 통신사 과열 마케팅 논란
-
4
'크루즈 타고 북해도로' 강원도, 체험단 모집에 경쟁률 9.4대1
-
5
金총리 "대통령실 포함 당정은 한몸…국민 살리는 각오 전력투구"
-
6
이틀 남은 '상호관세 시한폭탄'…美 유예연장 여부에 쏠린 눈
-
7
비트코인 쓸어담는 기업들…보유량 18% 쑥
-
8
배당 분리과세 도입되나 … 배당성장주 주목
-
9
이번주 美 상호관세 유예 연장 촉각
-
10
김회수 포프리 대표 “계란 넘어 프리미엄 식품 직배송...전략적 투자 파트너 환영”[비즈니스 리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