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전장 특징주★(코스피)

입력 : 2023.02.21 11:21:32
제목 : 오전장 특징주★(코스피)
특징종목이슈요약
삼성공조
(006660)
지난해 호실적 등에 급등
▷전일 장 마감 후 지난해 실적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957.45억원(전년대비 +20.31%), 영업이익 87.37억원(전년대비 +646.34%), 순이익 409.61억원(전년대비 흑자전환).
KT 그룹주
KT, 카이스트와 AI 기술 연구 협력 소식 속 상승
▷KT는 언론을 통해 대전 인공지능(AI) 공동연구센터 코리아 테크 스퀘어에서 카이스트와 함께 AI 공동연구 워크숍을 진행했다고 밝힘. 이번 워크숍에서는 KT는 초거대 AI '믿음', 메타버스 플랫폼 '지니버스'의 기술과 사업 전략 등을 공개했으며, 카이스트는 AI 원천?응용 기술을 주제로 한 10개 공동 연구 과제 목표와 성과, 향후 계획을 공유한 것으로 알려짐. KT는 이 같은 공동 연구 과제를 통해 다양한 사업에 활용될 수 있는 AI 기술을 확보하는데 노력할 것으로 전해짐.
▷이 같은 소식 속 KTcs, KTis, 케이티알파, 이니텍 등 KT 그룹주가 상승.
[종목]: KTcs, KTis, 케이티알파, 이니텍
삼양사
(145990)
나노팀과 전기차 배터리용 친환경 열관리소재 개발 예정 소식에 상승
▷동사는 언론을 통해 대전 나노팀 본사에서 전기차 배터리용 친환경 열관리소재(TIM, Thermal Interface Material) 공동 개발 협약식을 가졌다고 밝힘. 이와 관련, 동사는 이소소르비드를 전기차 배터리에 적용할 수 있도록 개질하고, 나노팀은 이를 활용하여 친환경 열관리소재를 개발할 계획으로 전해짐.
▷이와 관련, 동사 강호성 대표는 "전 세계적으로 전기차 시장이 급성장하면서 전기차에 쓰이는 친환경 소재에 대한 관심과 수요도 점차 커지고 있다"며, "동사는 이러한 시장의 요구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ESG경영을 실천하기 위해 친환경 소재 포트폴리오를 더욱 확대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힘.
에쓰씨엔지니어링
(023960)
SK머티리얼즈그룹14과 77억원 규모 공급계약 체결에 상승
▷SK머티리얼즈그룹14(주)와 77.00억원(최근 매출액대비 10.17%) 규모 공급계약(SKMG GB Project OSBL EPC Turn key Early work) 체결(계약기간:2023-01-25~2024-02-24) 공시.
▷언론에 따르면, 이번 계약은 설계/조달/시공(EPC) 전체 공사 중 초기 주요 선행공정을 우선 추진하기 위한 업무범위에 한정된 것으로, 올 상반기 내 본계약이 성사될 예정이며, 이번 수주를 시작으로 SK머티리얼즈그룹14가 경북 상주시 청리일반산업단지에 구축하는 실리콘 음극재 생산 제2공장 증설 관련 OSBL 공사에 대한 EPC를 일괄 수행하게 될 예정인 것으로 전해짐.
▷한편, SK머티리얼즈그룹14는 SK머티리얼즈와 미국 그룹14 테크놀로지의 합작법인임.
현대오토에버
(307950)
모빌리티 SW 업체로 변화 기대감 등에 상승
▷하이투자증권은 동사에 대해 현대차그룹 소프트웨어의 중심으로 미래에 대한 기대감이 수익성에 반 영되기 시작했다고 분석. 특히, 현대차그룹 내 SI 업체에서 모빌리티 SW 업체로 변화하고 있으며, 동사의 차량 S/W 부문을 구성하는 Mobilgene과 네비게이션/고정밀지도는 SDV와 자율주행 시대의 핵심이라고 설명.
▷아울러 수익성이 가장 높은 네비게이션과 작년 4분기 이후 수익성이 턴어라운드한 Mobilgene은 높은 기저의 영향으로 인한 IT 서비스 부문의 성장 둔화를 상쇄할 것으로 전망.
▷투자의견 : 매수[신규], 목표주가 : 150,000원[신규]
포스코인터내셔널
(047050)
전쟁에도 우크라이나 곡물터미널 운영 지속 소식 등에 상승
▷언론에 따르면, 국내기업 유일의 우크라이나내 투자자산인 동사의 곡물터미널이 설비 피해 없이 부분 가동을 통해 해외 식량사업을 이어가고 있는 것으로 전해짐. 동사에 따르면, 우크라이나 터미널법인이 지난해 취급한 물동량은 31만톤으로, 지난 2021년 76만톤 대비 절반 이상이 감소했으며, 현재 터미널에 남아 있는 재고물량은 총 1만6000톤으로 3월까 지 출하를 완료한다는 계획임.
▷이와 관련 동사는 전쟁 중에도 터미널을 가동하는 배경이 곡물을 보관하고 있는 고객들의 출하 요청에 부응하고, 일상이 파괴된 우크라이나직원 고용 및 미콜라이우주 지역영농업계의 일원으로서 책임과 역할을 다하기 위해서라고 설명. 아울러 향후 전세계 곡물파동시에 대한민국 최초의 해외 곡물터미널 사업자로서 국가 식량안보에 기여할 수 있다는 사명감과 함께 종전시 신속하게 현지 영농 밸류체인 확대에 나설 수 있다는 점도 작용했다고 언급.
BGF
(027410)
올해 호실적 모멘텀 지속 전망 등에 소폭 상승
▷흥국증권은 동사에 대해 BGF리테일의 실적 호조와 BGF네트웍스, BGF에코머트리얼즈 등 종속법인의 양호한 실적 개선으로 올해도 양호한 실적 모멘텀 지속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
▷이에 1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1,090억원(+9.8% YoY), 영업이익 186억원(+106.1% YoY)이 전망되고, 올해 연간 매출액 4,739억원(+8.5% YoY), 영업이익 958억원(+52.5% YoY%)으로 전망치를 수정한다고 밝힘.
▷아울러 차량용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을 중심으로 경량화 제품, 친환경 소재 분야 등으로 사업영역과 거래처 확대 등을 통해 지속 성장 가능기업으로 변모 중에 있다고 분석.
▷투자의견 : 매수[유지], 목표주가 : 6,300원 -> 6,800원[상향]
LX하우시스
(108670)
국립독일박물관에 아크릴계 인조 대리석 제품 공급 소식에 소폭 상승
▷동사는 언론을 통해 독일 뮌헨에 위치한 국립독일박물관에 아크릴계 인조 대리석 제품 ‘하이막스’를 공급했다고 밝힘. 하이막스는 국립독일박물관이 새롭게 단장한 1,200㎡ 규모 화학 전시관을 장식하는데 사용된 것으로 알려짐.
▷이와 관련 글로벌 명소 마케팅에 힘입어 아크릴계 인조 대리석 시장에서 20%대 점유율로 듀폰에 이어 2위에 올라 있다며, 앞으로도 하이막스의 브랜드 파워를 강화하고 시장 점유율도 확대하겠다고 밝힘.
두산에너빌리티
(034020)
원전 수주 성장 실체화 기대감 등에 소폭 상승
▷메리츠증권은 동사에 대해 한동안 부재했던 원전 수주는 2022년 1.7조원, 2023년 3,3조원, 2024년 5.1조원까지 성장할 것으로 전망. 이와 관련, 신한울 3,4호기 수주는 확정적이며, 수의계약 형태로 진행하는 폴란드 퐁트누프는 2023년 하반기 재원 조달에 합의된다면 본계약 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밝힘.
▷아울러 10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 기반하여 동사의 수혜 정도를 점검한 결과, 국내 가스터빈 시장에서 연간 약 6천억원, 풍력 시장에서는 연간 약 9천억원의 기자재 수주가 기대된다고 밝힘.
▷투자의견 : BUY[신규], 목표주가 : 21,000원[신규]
LG디스플레이
(034220)
체질 변화에 따른 중장기적 이익 체력 강화 전망 등에 소폭 상승
▷하이투자증권은 동사에 대해 2024~2025년부터 전통 완성차 진영의 SDV 전환으로 차량 내 스크린 채택이 본격화될 경우 핵심 부품 중 하나인 차량용 디스플레이 수요도 가파르게 증가할 것으로 전망.
▷특히. LTPS/Oxide LCD, AMOLED 등 차량용 프리미엄 디스플레이 시장은 2022년 전체의 약 21%인 0.41억대 수준에서 2027년에는 전체의 약 47%까지 침투율이 확대되며 1.13억대 규모로 연평균 약 19% 성장할 것으로 전망.
▷아울러 향후 동사의 오토 사업부문은 수주 기반의 안정적인 패널 가격과 높은 수익성을 바탕으로 캐시카우 역할을 할 것으로 전망.
▷이에 OLED TV, IT, 오토 부문 등 프리미엄 제품 중심으로 체질을 변화할 경우 중장기적으로 이익 체력을 강화시킬 수 있을 것으로 전망.
▷투자의견 : 매수[유지], 목표주가 : 17,000원 -> 19,000원[상향]
에스디바이오센서
(137310)
올해 역성장 전망 등에 약세
▷대신증권은 동사에 대해 지난해 4분기 영업이익이 시장 기대치를 대폭 하회하는 어닝 쇼크를 기록한 가운데, 엔데믹 영향으로 올해는 역성장이 예상된다고 밝힘. 올해 매출액 9,925억원(YoY-66%), 영업이익 2,542억원(YoY-80%, OPM 25.6%)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 SDB 별도 매출액 5,799억원, 메리디언 연결 매출 4,127억원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
▷다만, 코로나 수혜를 입은 진단 기업 중 가장 명확한 포스트 코로나 전략을 제시해 24년부터는 실적 성장 가시성을 보여줄 수 있다고 판단된다고 밝힘.
▷투자의견 : BUY[유지], 목표주가 : 48,000원 -> 35,000원[하향]
Copyright ⓒ True&Live 증시뉴스 점유율1위, 인포스탁(www.infostock.co.kr)

기사 관련 종목

07.04 15:30
삼성공조 14,270 100 -0.70%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07.05 23:58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