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슬라 실적 발표에 실망한 투자자들…주가 장중 10%대 급락
월가 일부 투자등급 하향…"상승 촉매제 없어"
임미나
입력 : 2024.07.25 01:50:08
입력 : 2024.07.25 01:50:08

[로이터 연합뉴스 자료사진.재판매 및 DB 금지]
(로스앤젤레스=연합뉴스) 임미나 특파원 = 미국 전기차업체 테슬라가 2분기 시장의 기대에 못 미치는 부진한 실적을 낸 데다 일론 머스크 최고경영자(CEO)의 발표 내용도 실망스럽다는 평가가 나오면서 24일(현지시간) 주가가 장중 10% 넘게 하락했다.
이날 뉴욕증시에서 낮 12시 20분 기준(미 동부시간) 테슬라 주가는 전장보다 10.08% 내린 221.55달러에 거래됐다.
이날 오전 한때는 214.71달러(12.85%↓)까지 내리기도 했다.
테슬라는 전날 증시 마감 후 월가의 예상치보다 부진한 실적을 발표했다.
테슬라의 2분기 주당순이익은 0.52달러(약 721원)로 월가의 예상치인 0.62달러를 밑돌았다.
또 투자자들이 주시한 자동차 매출총이익률은 규제 크레딧을 제외한 수치가 14.6%로 전 분기(16.4%)보다 하락했으며, 월가 예상치(16.3%)에도 못 미쳤다.
테슬라의 실적은 4개 분기 연속으로 예상치에 못 미치는 '어닝 미스'를 기록했다.
또 머스크 CEO는 실적 발표 후 콘퍼런스콜에서 자율주행 로보(무인)택시의 공개 시기를 종전에 예고한 '8월 8일'에서 '10월 10일'로 연기한다고 밝혔다.
그는 점점 발전하고 있는 자율주행 기술이 테슬라의 핵심이라고 강조했지만, 투자자들의 우려를 달랠 만한 구체적인 계획이나 전망은 밝히지 않았다.
투자은행 바클레이스의 애널리스트 댄 레비는 이날 고객들에게 보낸 메모에서 "투자자들은 대체로 혼란스러웠다"며 "2분기 어닝 미스의 핵심은 자동차 매출총이익률 하락인 만큼, 이제 초점은 펀더멘털(사업의 근본)로 다시 돌아가야 한다"고 썼다.
투자은행 TD코웬의 애널리스트 제프 오스본도 "지난 몇 주 동안 인공지능(AI)을 둘러싸고 부풀려졌던 (주가 등락의) 주기를 고려할 때, (이번 실적 발표에서) AI 진전에 대한 새로운 내용이 나오지 않았으므로 우리는 (테슬라 주가가) 최근의 랠리 이전으로 돌아갈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이밖에 월가의 캔터 피츠제럴드, CFRA, 뉴스트리트 리서치 등이 테슬라에 대한 투자 등급을 하향 조정했다고 블룸버그 통신은 전했다.
이들은 단기적으로 테슬라 주가를 올릴 수 있는 강력한 촉매제가 없다고 입을 모았다.
테슬라 주가는 이미 선행 주가수익비율 80배 수준에서 거래되고 있다.
이는 다른 자동차업체나 대형 기술주들보다 훨씬 높은 수준이다.
일각에서는 향후 공개될 로보택시 역시 현재 주가에 내재한 높은 기대치에 부응하지 못할 수 있다고 우려한다.
번스타인의 애널리스트 토니 사코나기는 "10월에 있을 테슬라의 로보택시 발표는 실체보다는 열망에 가까울 수 있다"고 지적했다.
한편 머스크는 전날 엑스(X·옛 트위터)에서 테슬라가 그의 스타트업 xAI에 50억달러(약 6조9천억원)를 투자해야 할지 묻는 투표를 시작했으며, 이 투표는 아직 종료되지 않았다.
그는 "(테슬라의 xAI 투자에는) 이사회 승인과 주주 투표가 필요하므로 이는 단지 시험해보기 위한 것"이라고 덧붙였다.
mina@yna.co.kr(끝)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
1
이정재가 대주주인 이 회사, 대박난 ‘재벌집 막내아들’ 시즌2 만든다
-
2
“진짜 오래 기다렸다”...드디어 완전체로 돌아오는 BTS, 하이브도 두근두근
-
3
가상화폐 세상에서 ‘원화’가 살아남는 방법은 [기자24시]
-
4
헥토파이낸셜, 25년1분기 별도 영업이익 44.05억원
-
5
LG헬로비전, 1분기 매출 3135억·영업이익 71억…전년比 17.3%·73.1% ↑
-
6
코스닥 하락률 상위 20종목(직전 30분 기준)
-
7
“김과장, 미장에서 돈 좀 벌었다며...신고해야겠네”
-
8
美 금리 동결에도 비트코인은 2월후 첫 9.8만불 돌파…“스태그플레이션 오히려 좋아”
-
9
‘반도체 디자인’ 싸이닉솔루션, 코스닥 상장 위한 증권신고서 제출
-
10
에이엠매니지먼트, 신한퓨처스랩 11기 ‘혁신기술 분야’ 선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