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스로 혁신나선 양돈농가들...유럽기술 배운다
정혁훈 전문기자(moneyjung@mk.co.kr)
입력 : 2023.02.24 22:41:05 I 수정 : 2023.02.24 23:03:08
입력 : 2023.02.24 22:41:05 I 수정 : 2023.02.24 23:03:08
바헤닝언 마스터 클래스 3기 입학식 개최
네덜란드 현지와 실시간 동영상으로 연결
우수 양돈농가 18곳 벤처농업대학서 학습
네덜란드 현지와 실시간 동영상으로 연결
우수 양돈농가 18곳 벤처농업대학서 학습
![](https://wimg.mk.co.kr/news/cms/202302/24/news-p.v1.20230224.af5f8a59965c429597a0f9856c97324b_P1.jpg)
이날 입학식이 열린 WAAM 과정은 세계 최고의 농업대학인 네덜란드 바헤닝언대학과 손잡고 진행되는 선진 양돈 교육 프로그램이다. 민승규 세종대 석좌교수와 김창길 서울대 아시아연구소 방문학자(전 한국농촌경제연구원장) 등 농업 전문가들이 국내 양돈산업 발전을 위해 고안했다. 이번 3기 과정에는 양돈농가 18곳이 참여한다.
이들은 앞으로 1년간 매월 1회씩 벤처농업대학으로 모여 다양한 양돈 관련 노하우를 습득하게 된다. 입학식이 열린 첫날에는 △한국 양돈산업의 실태 진단과 발전 방향(서울대 김유용 교수) △한돈, 생각의 틀을 깨자 : 혁신을 통한 새로운 도전(민승규 세종대 석좌교수) △바헤닝언대 네덜란드 전문가 화상교육 프로그램 소개(로버트 호스테 바헤닝언대 교수) △네덜란드 양돈농가 방문 인터뷰 및 현장중계 교육(임건택 네덜란드 첨단농업자문센터 소장) 등 순으로 진행됐다.
![](https://wimg.mk.co.kr/news/cms/202302/24/news-p.v1.20230224.1a9058cb9a45447eae59052500ccc93a_P1.jpg)
이어 네덜란드 현지에서 실시간 영상 화면으로 등장한 호스테 박사는 네덜란드 양돈산업의 변화를 근거로 한국 양돈농가에 실질적인 조언을 많이 해 큰 호응을 얻었다. 호스테 박사는 “네덜란드내 양돈농가 숫자는 최근 20년새 75% 감소했지만 전체 사육 두수는 유사하거나 소폭 감소한 정도에 그친다”며 “결과적으로 양돈농가의 대형화, 규모화가 네덜란드 양돈산업의 경쟁력을 높이는 비결이 됐다”고 소개했다. 그러나 네덜란드 양돈산업 역시 환경과 항생제 등 규제로 위기를 맞이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제3자 시각에서 볼 때 한국 양돈산업이 해결해야 할 몇 가지 과제가 있다고 제안했다. 그는 “국내 양돈산업은 △생산성 개선 △ICT 기술 적용 확대 △정보공유 확대 △효율적인 노동력 활용 △통일된 교육 프로그램 운영 △정부 보조금에 대한 과도한 의존 탈피 △컨설팅 서비스 확대 △방역 강화 등 과제를 해결할 필요가 있다”고 제안했다.
![](https://wimg.mk.co.kr/news/cms/202302/24/news-p.v1.20230224.89223e8561c548b1aaf8c4767f0769c2_P1.jpg)
김창길 교장은 “처음에 양돈 마이스터들을 대상으로 시작한 WAAM 프로그램은 1기와 2기를 거치면서 교육 효과에 대한 검증이 완료됐다”며 “3기 과정에서도 참여 농가들이 경영 개선 방안을 찾을 수 있도록 맞춤형 프로그램으로 진행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