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스로 혁신나선 양돈농가들...유럽기술 배운다
정혁훈 전문기자(moneyjung@mk.co.kr)
입력 : 2023.02.24 22:41:05 I 수정 : 2023.02.24 23:03:08
입력 : 2023.02.24 22:41:05 I 수정 : 2023.02.24 23:03:08
바헤닝언 마스터 클래스 3기 입학식 개최
네덜란드 현지와 실시간 동영상으로 연결
우수 양돈농가 18곳 벤처농업대학서 학습
네덜란드 현지와 실시간 동영상으로 연결
우수 양돈농가 18곳 벤처농업대학서 학습

이날 입학식이 열린 WAAM 과정은 세계 최고의 농업대학인 네덜란드 바헤닝언대학과 손잡고 진행되는 선진 양돈 교육 프로그램이다. 민승규 세종대 석좌교수와 김창길 서울대 아시아연구소 방문학자(전 한국농촌경제연구원장) 등 농업 전문가들이 국내 양돈산업 발전을 위해 고안했다. 이번 3기 과정에는 양돈농가 18곳이 참여한다.
이들은 앞으로 1년간 매월 1회씩 벤처농업대학으로 모여 다양한 양돈 관련 노하우를 습득하게 된다. 입학식이 열린 첫날에는 △한국 양돈산업의 실태 진단과 발전 방향(서울대 김유용 교수) △한돈, 생각의 틀을 깨자 : 혁신을 통한 새로운 도전(민승규 세종대 석좌교수) △바헤닝언대 네덜란드 전문가 화상교육 프로그램 소개(로버트 호스테 바헤닝언대 교수) △네덜란드 양돈농가 방문 인터뷰 및 현장중계 교육(임건택 네덜란드 첨단농업자문센터 소장) 등 순으로 진행됐다.

이어 네덜란드 현지에서 실시간 영상 화면으로 등장한 호스테 박사는 네덜란드 양돈산업의 변화를 근거로 한국 양돈농가에 실질적인 조언을 많이 해 큰 호응을 얻었다. 호스테 박사는 “네덜란드내 양돈농가 숫자는 최근 20년새 75% 감소했지만 전체 사육 두수는 유사하거나 소폭 감소한 정도에 그친다”며 “결과적으로 양돈농가의 대형화, 규모화가 네덜란드 양돈산업의 경쟁력을 높이는 비결이 됐다”고 소개했다. 그러나 네덜란드 양돈산업 역시 환경과 항생제 등 규제로 위기를 맞이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제3자 시각에서 볼 때 한국 양돈산업이 해결해야 할 몇 가지 과제가 있다고 제안했다. 그는 “국내 양돈산업은 △생산성 개선 △ICT 기술 적용 확대 △정보공유 확대 △효율적인 노동력 활용 △통일된 교육 프로그램 운영 △정부 보조금에 대한 과도한 의존 탈피 △컨설팅 서비스 확대 △방역 강화 등 과제를 해결할 필요가 있다”고 제안했다.

김창길 교장은 “처음에 양돈 마이스터들을 대상으로 시작한 WAAM 프로그램은 1기와 2기를 거치면서 교육 효과에 대한 검증이 완료됐다”며 “3기 과정에서도 참여 농가들이 경영 개선 방안을 찾을 수 있도록 맞춤형 프로그램으로 진행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
1
우울한 전망 이어지는 한국 경제…OECD “구조적으로 둔화 국면에 접어들었다”
-
2
공매도 비중 상위 종목
-
3
세금 안 내는 감액배당 가능 기업 3년새 4배…“조세회피 수단 가능”
-
4
“이제는 내부가 더 위험하다”…상식깬 SKT 해킹사태, 보안 패러다임 바뀔때
-
5
“신입이랑 나랑 월급 비슷, 차라리 관둔다”…산업현장 닥친 최저임금 인상 후폭풍
-
6
대체거래소(NXT) 애프터마켓 상승률 상위종목
-
7
“포상금 20억 주겠다”…폭증하는 금융 사고에 조치 쏟아내는 은행들
-
8
세종텔레콤, 임원ㆍ주요주주 특정증권등 소유주식수 변동
-
9
이재명이 삼고초려해 영입…이석연 선대위원장 “징벌적 과세는 집값만 올릴뿐”
-
10
NHN KCP, 25년1분기 별도 영업이익 109.69억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