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관’ 따로 있었네…OECD 가계부채 1위로 확 뛴 이유가
이상현 매경닷컴 기자(lee.sanghyun@mkinternet.com)
입력 : 2023.03.06 10:12:54 I 수정 : 2023.03.06 10:52:35
입력 : 2023.03.06 10:12:54 I 수정 : 2023.03.06 10:52:35
![](https://wimg.mk.co.kr/news/cms/202303/06/news-p.v1.20230306.b1f904081533432fa92cf057775153a7_P1.jpg)
6일 전국경제인연합회 산하 한국경제연구원이 발표한 ‘전세보증금을 포함한 가계부채 추정 및 시사점’ 자료에 따르면 최근 5년간(2017~2022년) 전세보증금을 포함한 국내 가계부채는 700조원 이상 증가한 것으로 추산됐다.
한경연이 총 전세보증금 규모를 전세보증금 부채와 준전세(보증금이 월세의 240개월치 초과)보증금 부채의 합으로 보는 방식으로 추정한 결과, 국내 전체 전세보증금 규모는 지난해 말 기준 1058조3000억원으로 나타났다.
2017년 말 770조9000억원에서 5년 만에 37.3%(287조4000억원) 늘어난 것이다.
한경연은 이 기간 금융기관 대출 등을 더할 경우 전체 가계부채가 2221조5000억원에서 31.7%(703조8000억원) 늘어 2925조3000원에 이른다고 추산했다. 전세보증금을 반영하지 않은 지난해 가계신용(포괄적 가계부채)은 1867조294억원이다.
가계부채 급등의 주된 원인은 지난 2020~2021년 임대차 3법 시행 등으로 전세금이 급등한 데다 코로나19로 생계비 등 대출이 증가한 것이라고 한경연은 진단했다.
![](https://wimg.mk.co.kr/news/cms/202303/06/news-p.v1.20230306.c21842274ac5463fbe76d764cb2a42cb_P1.jpg)
그러나 여기에 전세보증금을 포함하면 156.8%로 급등해 수치 자체로는 31개국 중 1위라는 게 한경연의 분석이다. 단 나머지 국가 가계부채에는 전세보증금이 반영되지 않았다.
소득에서 각종 세금과 부담금 등을 제외한 가처분소득 대비 가계부채 비율도 전세보증금을 반영하면 303.7%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영 전에는 206.5%다.
또 변동금리 대출 비중(대출 잔액 기준)이 2017년 66.8%에서 지난해 말 76.4%로 증가한 것도 가계부채의 취약점 중 하나로 꼽혔다. 이 기간 신규대출 중 변동금리 비중도 64.3%에서 75.3%로 증가했다.
한경연은 가계부채와 관련, 정부가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규제 강화 등 자금 공급 억제책을 쓰고 있으나 리볼빙, 현금서비스 등 규제권 밖 고금리 대출이 오히려 증가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추광호 한경연 경제정책실장은 “가계부채는 언제든지 우리 경제의 뇌관이 될 수 있는 상황”이라며 “자산시장 연착륙으로 대출 수요를 안정적으로 관리하는 한편 규제개혁, 세제개선 등 기업 활력 제고를 통한 양질의 일자리 창출로 가계소득 증진과 금융방어력 확충을 꾀할 필요가 있다”고 촉구했다.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
1
트럼프, '완전한 北비핵화·한미일협력 중시' 재집권후 첫 천명(종합)
-
2
[인사] 산림청
-
3
각국 금지에도 '진격의 딥시크'…로봇·전기차까지 서비스 확장
-
4
[연합뉴스 이 시각 헤드라인] - 10:30
-
5
"기차 타고 강릉 관광 오세요" 강릉시, 부산역서 홍보
-
6
홍천군, 산림바이오매스 수집단 운영…땔감나누기도 추진
-
7
인도 남부 삼성전자 공장서 노동자 500명 다시 농성
-
8
춘천시 외곽 사북면 어르신에 택시비·동행 서비스 제공
-
9
트럼프 "김정은과 관계 맺겠다…10일께 다수 국가에 상호관세"(종합3보)
-
10
[게임위드인] 폴란드·체코·우크라…동유럽, 게임업계 변방서 주류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