밸류파인더, “맥스트, 195조 디지털 트윈 시장 정조준, 기대감↑”
입력 : 2024.11.06 08:45:56

독립리서치 밸류파인더가 맥스트에 대해 “195조원 디지털트윈 시장을 타깃으로 AR 솔루션 개발 플랫폼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며 “메타와 애플의 스마트글라스 상용화로 관련 시장 이 개화기를 맞이하고 있다”고 6일 밝혔다. 또한, “글로벌 디지털 트윈 시장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어 2025년 매출 신장이 기대된다”고 분석했다.
이충헌 밸류파인더 대표는 “5G 네트워크 구축, 비전프로와 메타퀘스트 등의 디바이스 출시 등으로 디지털 트윈 시장은 개화하고 있다”며 “디지털 트윈 시장 성장과 함께 맥스트의 내년 매출을 기대해 볼 수있는 모멘텀이 될 수 있을 것이라 판단한다”고 전망했다.
글로벌 시장조사기관 그랜드뷰리서치(Grand View Research)에 따르면 2023년 글로벌 디지털 트윈 시장 규모는 약 23조원 규모이며, 2030년까지 연평균 35.7% 성장해 195조원 규모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맥스트는 올해 7월 현실 공간기반 디지털 트윈 서비스 플랫폼인 와이더스(Widearth)를 론칭했다. 와이더스는 일반 유저들(생산자)이 집, 식당, 숙박시설, 박람회, 대형공간 등을 360 카메라로 촬영해 업로드 하고 AR 기능을 결합하면 해당 공간을 워크뷰, 단면뷰 등으로 이용할수 있도록 하는 구독형 플랫폼이다.
이 대표는 와이더스에 대해 “수억원이 넘는 라이다 장비를 사용하지 않고 저렴한 가격의 360 카메라를 활용해 촬영함에도 불구하고 대기업 경쟁사들과 비슷한 퀄리티의 화질을 만들 수 있다”며 경쟁사 대비 낮은 원가 구조를 경쟁력으로 꼽았다.
맥스트는 최근에는 와이더스 플랫폼을 비전프로와 메타퀘스트 같은 XR 기기들과 연동시켜 기아차 디자인 품평회를 진행하기도 했다. 향후 와이더스를 더욱 고도화, 제품화해 수출 상담을 진행할 수 있는 솔루션을 만들 예정이다.
그는 또한 맥스트의 기술 경쟁력에도 높은 점수를 줬다. 어려운 영업환경 속에서도 기술 개발을 지속한 결과 산업에 적용할 수있는 AR솔루션, 맥스트 SLAM, 맥스트 VPS와 같은 AR 개발 플랫폼, XR 메타버스 개발 플랫폼을 개발해 개인 및 기업 고객에게 공급했다는 것이 이 대표의 설명이다.
그는 “삼성전자 및 삼성 계열사, SK그룹, 대우조선 해양(現 한화오션) 등 국내 대기업에 공급했음을 고려하면 기술력은 검증된 상황이라 판단한다”고 평가했다.
이상규 기자
기사 관련 종목
08.01 15:30
비트맥스 | 4,360 | 70 | -1.58% |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
1
[연합뉴스 이 시각 헤드라인] - 10:30
-
2
[부고] 유대형(우아한청년들 언론홍보팀장)씨 부친상
-
3
우장춘 박사 66주기 추모행사 7일 개최…과학문화 체험
-
4
태백시 '철암 고원힐링캠핑장' 5일 정식 개장
-
5
[게임위드인] 확률형 아이템 규제…게임사에 돌아온 부메랑
-
6
도요타, 美관세에도 생산량 전망치↑…2년만에 1천만대 가능성
-
7
[부고] 박연화(KB증권 감사그룹장)씨 장인상
-
8
폭염에 충북서 가축 16만6천마리 폐사…재난기금 3억 투입
-
9
[부고] 안지선(헤일리온코리아 본부장)씨 부친상
-
10
[투자능력고사] 주식남녀 / 주목해야 할 8월 4일 ~ 8월 8일 일정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