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민 홍콩이공대 교수 “사외이사 경영진 닮은꼴이면 기업가치 상승”
김제림 기자(jaelim@mk.co.kr)
입력 : 2024.12.15 11:00:07 I 수정 : 2024.12.15 18:51:47
입력 : 2024.12.15 11:00:07 I 수정 : 2024.12.15 18:51:47
증권학회 주최 매일경제 후원
제 19회 아태 금융시장 컨퍼런스
사외이사와 경영진 간 유사성이 높은
기업성과로 이어진다는 논문 발표
제 19회 아태 금융시장 컨퍼런스
사외이사와 경영진 간 유사성이 높은
기업성과로 이어진다는 논문 발표

12~13일 한국증권학회가 개최한 제19회 아시아-태평양 금융시장 컨퍼런스(CAFM 2024)에서는 김정민 홍콩이공대 교수 외 3인(강준구 난양공대 교수, 펑슈칭 타이완 국립중앙대 교수, 윤하용 미시간주립대 교수)이 이사회와 경영진 간 공통성과 투자효율성의 관계를 분석한 연구가 주목을 받았다.
김 교수는 ‘차이를 연결시키기(Bridging the gap)’이라는 발표 논문에서 서포트 벡터 머신(SVM)을 활용해 사외이사와 경영진 간의 공통성을 성별, 연령, 교육, 직무 특성 등 다양한 변수를 활용하여 측정했다.
이 결과 ‘사외이사와 공통점이 있는 경영진’과 ‘경영진과 공통점이 있는 사외이사’가 두 그룹 간 의사소통과 합의 도출을 촉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사회와 경영진 간 공통점이 많을수록 목표 공유를 쉽게 하고 실패에 대한 관용적 태도를 보이게 해 결국 기업 혁신을 촉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흔히 사외이사는 경영진을 견제·감시하는 역할이 요구되지만 기업 경영에서 ‘원 팀’으로 활동한다는 측면에서 비슷한 사람들이 혁신과 효율로 이어질 수 있다는 뜻이다.
공통성이 높은 기업일수록 시장 변화에 민첩하게 대응하고 외부 평가에 대한 대응도 효율적으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 환경이 불확실하거나, 신속한 의사결정이 필요한 경우 공통성의 긍정적 역할이 더욱 두드러졌다
김 교수는 “이사회의 다양성이 필요하다는 논의는 많이 나오지만 경영진이 사외이사들과 동떨어진 구성일 경우엔 다양성의 효과는 제한적일 수 있다”고 말했다.
매일경제가 후원하는 이번 컨퍼런스에는 총 28개국에서 202편의 논문이 제출되었고, 이 중 60편이 18개 정규세션과 2개의 박사과정세션에서 발표되었다.
CAFM은 아태지역 재무금융 분야의 최고 학술컨퍼런스 중 하나로 자리 잡았으며 관련 학문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
컨퍼런스 기조연설은 기업지배구조 분야의 최고 석학인 카이 리 브리티시컬럼비아대 교수(사진)가 ‘ESG 연구에서의 빅데이터와 머신러닝’이라는 주제로 진행했다.
리 교수는 기업의 문화를 분석하면 미래의 의사결정에 적용할 수 있는 유용한 데이터를 도출할 수 있음을 강조했다.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