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행객 최애 맛집은”…이제는 한눈에 볼수있다
양세호 기자(yang.seiho@mk.co.kr), 김정환 기자(flame@mk.co.kr)
입력 : 2023.03.10 18:48:45 I 수정 : 2023.03.10 19:05:38
입력 : 2023.03.10 18:48:45 I 수정 : 2023.03.10 19:05:38
![](https://wimg.mk.co.kr/news/cms/202303/10/rcv.YNA.20230301.PYH2023030107090001300_P1.jpg)
통계청 고위 관계자는 “통계청의 데이터와 통신사 모바일 정보를 결합해 지역 방문자 특성별로 관광 특징을 분석하고 있다”며 “이 맞춤형 통계를 향후 외국인 관광객으로 확대한다는 방침”이라고 말했다. 여행수지 적자가 풀릴 기미를 보이지 않자 외국 관광객들이 자주 찾는 관광지나 맛집 등을 분석해 관광업계가 신시장을 공략할 수 있는 기반을 만들겠다는 것이다.
이 관계자는 “통신사 로밍정보를 활용하면 한국을 찾은 외국인 국적과 방문지역, 체류 시간과 같은 관광 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며 “이들 특성에 맞는 맞춤형 관광상품을 개발해 여행수지 개선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미국·일본·영국·프랑스·독일 등 주요 5개국(G5)은 국가 차원에서 휴가를 권장하는 동시에 국내 여행을 늘리기 위한 다양한 방법을 동원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G5의 국가별 휴가제도를 살펴보면, 대부분의 국가는 근로자가 근로시간과 휴가시간을 자유롭게 조절할수 있는 제도가 정착됐다. 미국은 정부 차원에서 휴가기부제를 운영해 질병이나 사고 등 급박한 사유가 있는 근로자가 다른 직원이 기부한 미사용 휴가를 사용할 수 있도록 했다. 또 미국 18개주에서는 휴가은행제를 시행하고 있다. 매년 주어지는 연차 중 일부를 저축하면 추후 질병이나 육아를 위해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독일은 노사합의를 통해 근로시간 저축계좌제를 도입했다. 업무상 필요나 질병·육아·학업 등 사유에 따라 근로시간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근로자는 업무량이 많을때는 초과근로시간을 채우고 이를 나중에 휴가로 소진할 수 있다. 2016년 기준 독일 250일 이상 사업장의 근로시간계좌 활용 비율은 81%에 달한다.
장기휴가 권장을 위한 지원제도 주요 선진국에서 발견할 수 있다. 일본은 경기활성화를 위해 1~2주간 장기휴가를 권장하는 ‘기업 휴가확산(Positive Off)’ 캠페인을 진행해왔다. 영국도 내수진작 효과를 위해 국내 여행 경비를 지원하는 ‘국내 휴가는 멋지다(Holidays at home are great)’ 캠페인을 진행한 적이 있다. 프랑스도 노·사·정이 국내 여행 경비를 공동 분담하고 근로자에게 할인 혜택을 주는 ‘체크프랑스’ 제도를 운영중이다.
한국 역시 자율적인 휴가 문화 정착을 위한 연구와 대책이 필요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김성희 고려대 노동문제연구소 교수는 “휴가는 근로자들의 건강과 생산성 향상에 모두 도움이 된다”며 “사회 전체가 합의하에 집단적으로 동시에 쉴 수 있는 문화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조준모 성균관대 경제학과 교수도 “근로자의 실질적인 휴가권을 보장해주는 문화가 자리잡으면 여가시간이 늘고 소비진작 효과가 발생할 것”이라면서 “휴가 장려로 중소기업 등에서 나타날 수 있는 경영상의 문제를 보완할 정책도 준비돼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