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경호 부총리, 긴급점검회의서 “SVB 여파 예측하기 어렵다”

방영덕 매경닷컴 기자(byd@mk.co.kr)

입력 : 2023.03.14 08:44:09
추경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14일 오전 서울 중구 은행회관에서 열린 비상거시경제금융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출처 = 연합뉴스]


추경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14일 “현 시점에서 실리콘밸리은행(SVB) 사태의 여파를 예측하기 어렵다”면서 “정부는 높은 경각심을 갖고 상황을 예의주시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추 부총리는 이날 서울 은행회관에서 김주현 금융위원장, 이복현 금융감독원장, 이승헌 한국은행 부총재가 참석한 가운데 비상거시경제금융회의를 열어 SVB 사태에 따른 국내외 금융시장 영향을 논의하면서 이같이 밝혔다.

이날 회의는 당초 예정에는 없던 것으로, 지난 12일 거시경제·금융현안 관련 정례 간담회에서 SVB 사태의 영향을 점검한 지 이틀 만에 다시 열게 됐다.

추 부총리는 “이번 사태는 높은 수준의 인플레이션(물가 상승) 대응을 위한 고강도 금융 긴축이 지속되면서 취약 부문의 금융 불안이 불거져 나온 경우”라고 진단했다.

이어 “우리 금융시장은 전반적으로 안정을 유지하는 모습”이라면서도 “필요시에는 관계기관 공조 하에 신속히 시장안정 조치를 시행하겠다”고 밝혔다.

정부는 관계기관 합동점검 체계를 24시간 가동해 국내외 시장 상황과 금융시스템 취약 요인을 점검하고, 필요하면 신속히 시장 안정 조치를 시행할 방침이다.

추 부총리는 미국 은행파산 사태와 관련 국내 금융 시장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이라고 진단했다.

그는 “국내 금융기관은 자산·부채 구조가 SVB와 상이하고 유동성이 양호해 일시적 충격에 견딜 수 있는 충분한 기초체력을 가진 걸로 평가된다”고 말했다.

또 “국내 은행 등 주요 금융기관과 4대 공적연금, 한국투자공사(KIC), 우정사업본부 등 투자기관 등의 관련 은행들에 대한 익스포저(위험 노출액) 규모도 상대적으로 크지 않은 걸로 파악돼 현 단계에서의 직접적인 영향은 제한적일 것”이라고 예상했다.

실제로 미국 당국이 고객이 SVB에 맡긴 돈을 보험 대상 한도와 상관 없이 전액 보증하기로 했다는 소식에 시장의 공포감은 어느 정도 잦아들었다. 하지만 당분간 긴장감을 갖고 사태의 추이를 지켜봐야 한다는 게 중론이다.

이와 관련 추 부총리는 “다만 세계 경제가 인플레이션(물가 상승)을 아직 통제하지 못한 상황에서 금융시스템 불안 요인까지 겹치면서 향후 시장 변동성이 확대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한시도 긴장의 끈을 놓지 않고 당면한 시장 불확실성에 대응해 금융시장 안정 유지를 위해 총력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02.08 22:41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