딥시크 충격속 트럼프, 젠슨황 면담…"AI칩 수출통제 강화 논의"(종합)
트럼프 "무슨 일이 일어날지 말할 수 없어…좋은 만남이었다"엔비디아측 "미국 기술 및 AI 리더십 강화 중요성 논의"
김태종
입력 : 2025.02.01 10:41:45
입력 : 2025.02.01 10:41:45
(샌프란시스코=연합뉴스) 김태종 특파원 = 인공지능(AI) 칩 선두 주자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 젠슨 황이 31일(현지시간)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을 만났다.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 후 황 CEO가 트럼프 대통령을 만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지난 20일 트럼프 대통령 취임식 때에는 마크 저커버그 메타플랫폼 CEO를 비롯해 아마존 창업자 제프 베이조스, 팀 쿡 애플 CEO, 순다르 피차이 구글 CEO 등이 대거 참석했으나 황 CEO는 참석하지 않았다.
황 CEO와 트럼프 대통령의 만남은 중국 AI 스타트업 '딥시크 충격'의 여파가 계속되고, 이에 대해 트럼프 행정부가 대중국 반도체 수출 추가 규제를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진 가운데 이뤄져 관심을 끌었다.
딥시크가 최근 내놓은 AI 모델은 미 최고 모델의 10분의 1도 안되는 비용을 들여 개발됐지만, 성능은 버금가는 것으로 알려져 미 테크업계를 충격에 빠뜨렸다.
이에 지난 27일 엔비디아 주가는 17% 폭락했으며, 다음날 주가는 9% 반등했지만, 여파는 계속되고 있다.
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황 CEO와 트럼프 대통령의 만남은 딥시크가 미 테크업계를 깜짝 놀라게 하기 이전부터 예정됐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만남의 구체적인 내용은 언급하지 않은 채 황 CEO를 "신사"(gentleman)라고 불렀다.
이어 "무슨 일이 일어날지 말할 수 없다"며 "우리는 만남을 가졌고, 좋은 만남이었다"고만 말했다.
엔비디아 측은 "트럼프 대통령과 만나 반도체 및 AI 정책에 대해 논의할 기회가 주어져 감사하다"며 "황 CEO와 대통령은 미국 기술 및 AI 리더십 강화의 중요성에 대해 논의했다"고 밝혔다.
소식통은 황 CEO와 트럼프 대통령이 딥시크와 AI 칩 수출 통제 강화와 관련해 논의했다고 전했다.
딥시크는 AI 모델 구동에 엔비디아가 중국 수출용으로 제작한 저사양 칩 H800을 사용했다고 밝혔다.
이에 트럼프 행정부는 엔비디아의 대중국 반도체 수출을 H20의 저사양 칩까지 확대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미 정부는 2022년 당시 엔비디아의 가장 강력한 AI 칩인 H100의 중국 판매를 제한한 데 이어 2023년에는 H800 수출도 제한했다.
이에 엔비디아는 지난해 H20을 출시했다.
다만, 트럼프 행정부가 이제 막 출범해 규제가 나오려면 시간이 걸릴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taejong75@yna.co.kr(끝)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