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 기관에서 올해 한국 성장률 1.0% 전망까지 나왔다
CE "정치적 위기에 부동산 섹터 침체…한은 연내 금리 1% 인하 전망"
한지훈
입력 : 2025.02.21 06:05:01 I 수정 : 2025.02.21 10:07:38
입력 : 2025.02.21 06:05:01 I 수정 : 2025.02.21 10:07:38

(부산=연합뉴스) 강선배 기자 = 4일 오후 부산항 신감만부두와 감만부두, 신선대부두에 수출입 화물이 쌓여있다.2025.2.4 sbkang@yna.co.kr
(서울=연합뉴스) 한지훈 기자 = 올해 한국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이 1.0%까지 추락할 수 있다는 해외 연구기관의 전망이 나왔다.
21일 금융권에 따르면 영국 캐피털 이코노믹스(CE)는 지난 19일 보고서를 통해 한국의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기존 1.1%에서 1.0%로 하향 조정했다.
이 연구기관은 "정치적 위기와 부동산 섹터의 침체로 올해 한국의 경제성장률이 1.0%에 그칠 것으로 보고 있다"며 "시장 전망치를 크게 밑도는 수치"라고 밝혔다.
더 나아가 "이런 경기 둔화로 한국은행이 올해 기준금리를 1.00%포인트(p) 인하할 것이며, 이는 다른 애널리스트들의 예상보다 큰 폭"이라고 덧붙였다.
한은이 경기 부양을 위해 불가피하게 현재 연 3.00% 수준인 금리를 2.00%로 대폭 낮출 수밖에 없다는 분석이다.
한 번에 0.25%p씩이면 네 차례 인하가 된다.
해외 주요 투자은행(IB)이 제시한 올해 성장률 전망치 평균은 1.6% 수준이다.
캐피털 이코노믹스의 전망치는 IB 중 최저인 JP모건의 1.2%보다도 0.2%p 더 낮은 수치다.

(서울=연합뉴스) 김민지 기자 = minfo@yna.co.kr X(트위터) @yonhap_graphics 페이스북 tuney.kr/LeYN1
한국개발연구원(KDI)은 지난 11일 올해 성장률 전망치를 2.0%에서 1.6%로 내렸으며, 한국은행은 오는 25일 수정 경제전망을 발표한다.
이와 관련, 이창용 한은 총재는 지난 18일 국회에서 "정치적 불확실성 외에 미국의 경제정책이라든지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의 금리 정책 등 복합적인 요인이 작용하고 있다"고 언급했다.
한은이 앞서 지난달 금융통화위원회 당시 1.6~1.7%의 연간 성장률을 가정한 데 대해선 "다시 보고 있다"며 말을 아꼈다.
hanjh@yna.co.kr(끝)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
1
삼성전자 자회사 하만, 美 마시모 오디오 사업부문 5천억에 인수
-
2
[뉴욕증시-1보] FOMC 기다리며 이틀째 조정…동반 약세
-
3
MS, 'AI 강화' 노트북·태블릿 신제품 출시…"가격 낮췄다"
-
4
[2보] 뉴욕증시, 美연준 기준금리 결정 앞두고 하락…다우 1%↓
-
5
유엔 안보리 7일 북한 문제 논의…한국 등 7개국 소집요청
-
6
쿠팡 1분기 영업이익 2천337억원·매출 11조5천억원 최대
-
7
[1보] 뉴욕증시, 美연준 FOMC 금리결정 앞두고 하락…다우 1%↓
-
8
“우리나라 물관리 능력 뛰어나”…우리은행, 수자원공사와 중소기업 지원
-
9
뉴욕증시, 美연준 기준금리 결정 앞두고 하락…다우 1%↓(종합)
-
10
美 관세에 대세 된 '현지화'…SK온 합작공장 가동준비 '순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