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물관리 능력 뛰어나”…우리은행, 수자원공사와 중소기업 지원

최종일 매경 디지털뉴스룸 기자(choi.jongil@mk.co.kr)

입력 : 2025.05.07 06:01:00
4일 오후(현지시간) 이탈리아 밀라노에서 개최된 우리은행장 만찬간담회에서 정진완 우리은행장이 폴란드 지점 현안 등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사진 출처 = 한국은행 제공]


“우리나라만큼 물관리를 잘하는 나라가 드물다. 폴란드 지점서 수자원공사와 중소기업 지원하겠다.”

정진완 우리은행장이 폴란드 지점서 물 산업을 하는 수자원공사와 협력을 통해 금융 지원 저변을 넓혀가기로 했다.

정 은행장은 4일 오후(현지 시각) 이탈리아 밀라노에서 기자들과의 만찬간담회에서 폴란드 지점 개설 배경과 추진 상황 등을 밝혔다.

정 은행장은 “서울시 고층빌딩과 롯데타워에도 수돗물이 나오고 우리나라의 수자원 능력이 굉장히 잘 돼 있다”며 “(폴란드의) 우리나라 중소기업이 기술만으로는 밥벌이가 안 되니 수출 활동을 많이 하는데, 여기에 만약 들어간다고 하면 중기 지원이 필요하다”고 전했다.

이어 “우리나라가 경쟁적인 게 물 산업이고, 그러니 수자원공사가 우크라이나 국경 바로 뒤에 폴란드에 가 있는 것”이라며 “그 이유는 제일 먼저 물을 먼저 해야 하는데, 주택을 해도 그렇고 산업 공단을 만들어도 물을 다 끌어들여야 한다”고 설명했다.

즉 이러한 광범위한 부분을 담당하려면 수자원공사가 추진, 가시적으로 선점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는 것이다.

우리은행은 최근 유럽지역의 전략적 거점 확대를 위해 국내은행 최초로 폴란드 수도 바르샤바에 폴란드지점을 개설했다. 지난 2017년 2월 폴란드 카토비체에 사무소를 개설한 이래 약 8년에 걸쳐 축적된 현지 경험과 전략적 준비를 해 왔다.

우리은행 본사 전경. [사진 출처 = 우리은행 제공]


우리은행은 폴란드는 유럽연합 회원국 중에서도 높은 경제 성장률과 안정된 시장 환경을 갖춘 국가 중 한 곳으로 봤다. 한국 제조업 및 중견기업의 동유럽 진출 확대와 맞물려 금융 수요가 계속 증가하고 있어서다. 또 동유럽과 서유럽의 연결하는 지정학적 요충지로, 동유럽 금융 허브로서의 성장 가능성이 높다고 봤다.

2020년부터 2024년 8월까지 한국의 대(對)폴란드 투자금액은 총 61억 달러 수준으로, 한국기업들의 진출이 이어지고 있는 상황이다. 특히 바르샤바는 한화에어로스페이스·현대로템·한국항공우주산업(KAI) 등 국내 대표 방산기업들을 비롯해 삼성전자·LG전자·현대차·기아차 등 다수 기업 현지 법인들이 진출해 있다.

이에 따라 우리은행은 국내 기업을 위한 금융 서비스 수요가 증가하는 만큼 이들을 지원하기 위한 국내 은행 지점의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고 봤다.

또 우리은행은 우리나라 기업들이 우크라이나 재건사업에 참여하면 이들 기업에 대한 금융지원도 가능할 것으로 보고 있다. 도로, 교량, 철도, 공항 건설 사업, 태양광, 풍력 등 에너지 인프라 사업, 수자원 및 폐기물 관리를 위한 시설 등 한국 기업들이 참여할 수 있는 다양한 분야의 사회간접자본 재건 사업에 대한 금융 지원 기회도 가능해져서다.

우리은행은 향후 한국 본점 및 글로벌 네트워크와의 협업을 통해 폴란드뿐만 아니라 체코, 헝가리, 루마니아 등 동유럽에 진출한 한국 지상사에 대한 금융지원을 강화할 계획이다. 한국기업과의 동반 성장 기반을 마련하고, 현지 고객 대상 금융서비스 다각화를 추진하는 것이다.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05.07 10:35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