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계 소득 1년 반째 늘었지만…소비자들 지갑 쉽게 안 열어
작년 4분기 가계 소득 521만원·소비지출 290만원평균소비성향 2분기 연속 하락…"사회적 불확실성 일부 영향"
이대희
입력 : 2025.02.27 12:00:00
입력 : 2025.02.27 12:00:00

[연합뉴스TV 제공]
(세종=연합뉴스) 이대희 박재현 기자 = 지난해 4분기 가계소득이 6분기 연속 늘어났지만, 소비지출 증가세는 둔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소비 심리가 위축되면서 자동차 등 규모가 큰 지출을 위주로 지갑을 닫은 결과다.
통계청은 28일 이런 내용을 담은 '2024년 4분기 가계동향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지난해 4분기 가구(이하 1인이상 가구·농림어가 포함 월평균)당 소득은 521만 5천원으로 1년 전보다 3.8% 증가했다.
소득은 2023년 2분기 0.8% 감소한 뒤로는 6분기 연속 증가했다 근로소득은 324만1천원으로 2.3% 늘었다.
사업소득은 109만 1천원 5.5%, 이전소득은 70만 9천원으로 5.6% 각각 증가했다.
소비자물가 상승을 반영한 실질소득 증가율은 2.2%였다.
지난해 2분기(0.8%) 이후 3분기 연속 증가했다.
4분기 가구당 월평균 소비지출도 290만 3천원으로 작년 동기보다 2.5% 늘었다.
소비지출은 2020년 4분기(-2.3%) 마지막 감소 이후 16분기 연속 증가했다.
2006년 관련 통계 작성 이래 가장 긴 기간이다.
다만 4분기 소비지출 증가 폭은 코로나19 사태 중이던 2021년 1분기(1.6%) 이후 가장 낮다.
주거·수도·광열(7.6%), 음식·숙박(5.1%), 오락문화(11.1%), 보건(6.2%) 등에서 주로 늘었다.
주거·수도·광열은 월세 거래량이 늘고 가격지수도 오르면서 주거비 상승률이 12.9%로 4분기 기준으로 2020년 이후 최고를 기록한 영향이라고 통계청은 풀이했다.
음식·숙박은 소비자물가가 상승하면서 지출 규모도 늘어난 것으로 분석했다.
반면 교통(-9.6%)에서는 큰 폭으로 줄었다.
자동차 구입이 1년 전보다 29.0% 줄어든 영향이다.
가정용품가사서비스(-3.7%), 통신(-2.4%) 등에서도 감소했다.
소득에서 비소비지출을 뺀 월평균 처분가능소득은 4.0% 증가한 420만7천원을 기록했다.
처분가능소득에서 소비지출을 뺀 흑자액은 130만 5천원으로 작년 동기보다 7.8% 증가했다.
다만 소비지출을 처분가능소득으로 나눈 평균소비성향은 69.0%로 1.1%포인트(p) 내렸다.
평균소비성향은 지난해 3분기(-1.3%p) 이후 두 분기 연속 하락했다.
이지은 통계청 가계수지동향과장은 "돈을 번 것보다 덜 썼다는 의미"리며 "지난해 12월 사회적 불확실성(계엄 사태)도 일부 영향이 있었을 것으로 생각한다"고 말했다.
지난해 연간 가구당 월평균 소비지출은 전년보다 3.5% 늘어난 289만원을 기록했다.
음식·숙박(5.2%), 주거·수도·광열(6.5%), 오락·문화(7.9%), 식료품·비주류음료(3.8%) 등에서 늘었다.
소비자물가 상승을 반영한 실질소비지출은 1.2% 증가했다.
정부는 "가계소득 증가 흐름이 지속될 수 있도록 일자리 창출과 물가 안정 노력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2vs2@yna.co.kr(끝)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
1
증시요약(5) - 특징 종목(코스닥)
-
2
증시요약(4) - 특징 종목(코스피)
-
3
LS, 650억원 규모 교환사채권 발행 결정
-
4
증시요약(3) - 특징 테마
-
5
이엔플러스, 최대주주가 MORGAN STANLEY AND CO INTERNATIONAL PLC으로 변경
-
6
증시요약(6) - 특징 상한가 및 급등종목
-
7
한솔케미칼, 보통주 250,000주(316.25억원) 규모 자사주 취득 결정
-
8
LS, 보통주 387,365주(650억원) 규모 자사주 처분 결정
-
9
어디까지 갈까 … 불 뿜은 삼양식품 주가
-
10
대한항공 신용등급 다시 'A' … 회사채 발행 탄력
05.16 18:25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