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상자산 반년새 4조원 증발 … 핵심코인 비중은 커져
채종원 기자(jjong0922@mk.co.kr)
입력 : 2023.03.19 17:16:03 I 수정 : 2023.03.19 19:09:29
입력 : 2023.03.19 17:16:03 I 수정 : 2023.03.19 19:09:29
FIU 가상자산 실태조사 결과
작년말 시가총액 19조원으로
사업자영업이익은 80% 급감
![](https://wimg.mk.co.kr/news/cms/202303/20/20230320_01150112000001_L00.jpg)
지난해 말 국내 가상자산 시장의 시가총액이 반년 만에 16%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가상화폐 루나·테라 사태, 가상화폐거래소 FTX 파산으로 가상자산업계가 위축된 탓이다.
잡코인보다는 비트코인 같은 주요 가상자산에 대한 투자 비중이 다소 높아졌다. 가상화폐 주 투자자는 30대로 나타났고, 투자자 중 약 70%는 보유 금액이 50만원 미만이었다.
19일 금융위원회 금융정보분석원(FIU)이 국내 가상통화 사업자 36곳을 대상으로 '2022년 하반기 실태 조사'를 실시한 후 이 같은 내용을 담은 결과를 발표했다.
지난해 말 기준 국내 가상자산 시총은 19조4000억원으로 6개월 전(23조원)과 비교해 16% 줄었다. 같은 기간 비트코인 가격 하락폭과 동일한 수준으로 시총이 감소했다.
시장 위축으로 사업자들이 지난해 하반기에 얻은 총 영업이익은 1274억원에 그쳤다. 지난해 상반기의 총 영업이익(6254억원)에 비해서는 80% 급감했다.
시장 위험성이 커지면서 소위 '김치코인'보다는 비트코인, 리플, 이더리움을 비롯한 글로벌 상위 10개 가상자산에 대한 투자 비중이 상반기 대비 11%포인트 늘었다.
지난해 말을 기준으로 국내 특정 거래소에서만 거래·지원되는 단독 상장 가상자산은 389개로, 국내에 유통되는 가상자산(625개)에서 62%를 차지했다. FIU는 "단독 상장 가상자산 132개는 시총 1억원 이하 소규모라서 시장 위험에 유의해야 한다"고 밝혔다.
지난해 하반기에 사업자의 가상자산 거래 중단 건수는 78건이었다. 거래 중단 사유에서는 사업 지속성, 발행 재단 관리 같은 '프로젝트 위험'이 50%를 차지했다.
고객확인제도(KYC)를 이행한 실제 이용자(계정)를 기준으로 투자자를 분석한 결과 지난해 말 기준 627만명이었다.
남성이 427만명, 여성이 200만명이었으며 30대 남성이 133만명으로 가장 많았다.
[채종원 기자]
작년말 시가총액 19조원으로
사업자영업이익은 80% 급감
![](https://wimg.mk.co.kr/news/cms/202303/20/20230320_01150112000001_L00.jpg)
지난해 말 국내 가상자산 시장의 시가총액이 반년 만에 16%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가상화폐 루나·테라 사태, 가상화폐거래소 FTX 파산으로 가상자산업계가 위축된 탓이다.
잡코인보다는 비트코인 같은 주요 가상자산에 대한 투자 비중이 다소 높아졌다. 가상화폐 주 투자자는 30대로 나타났고, 투자자 중 약 70%는 보유 금액이 50만원 미만이었다.
19일 금융위원회 금융정보분석원(FIU)이 국내 가상통화 사업자 36곳을 대상으로 '2022년 하반기 실태 조사'를 실시한 후 이 같은 내용을 담은 결과를 발표했다.
지난해 말 기준 국내 가상자산 시총은 19조4000억원으로 6개월 전(23조원)과 비교해 16% 줄었다. 같은 기간 비트코인 가격 하락폭과 동일한 수준으로 시총이 감소했다.
시장 위축으로 사업자들이 지난해 하반기에 얻은 총 영업이익은 1274억원에 그쳤다. 지난해 상반기의 총 영업이익(6254억원)에 비해서는 80% 급감했다.
시장 위험성이 커지면서 소위 '김치코인'보다는 비트코인, 리플, 이더리움을 비롯한 글로벌 상위 10개 가상자산에 대한 투자 비중이 상반기 대비 11%포인트 늘었다.
지난해 말을 기준으로 국내 특정 거래소에서만 거래·지원되는 단독 상장 가상자산은 389개로, 국내에 유통되는 가상자산(625개)에서 62%를 차지했다. FIU는 "단독 상장 가상자산 132개는 시총 1억원 이하 소규모라서 시장 위험에 유의해야 한다"고 밝혔다.
지난해 하반기에 사업자의 가상자산 거래 중단 건수는 78건이었다. 거래 중단 사유에서는 사업 지속성, 발행 재단 관리 같은 '프로젝트 위험'이 50%를 차지했다.
고객확인제도(KYC)를 이행한 실제 이용자(계정)를 기준으로 투자자를 분석한 결과 지난해 말 기준 627만명이었다.
남성이 427만명, 여성이 200만명이었으며 30대 남성이 133만명으로 가장 많았다.
[채종원 기자]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
1
“트럼프가 용납할까”...계엄에 묶였던 ‘이 법’ 패스트트랙 검토한다는데
-
2
수돗물 혜택 못보는 광주 자연마을 11곳 한파에 지하수도 얼어
-
3
연금계좌 혜택 축소 논란? 한화운용 ‘PLUS 고배당주’는 ‘과세 무풍지대’
-
4
제22서경호 실종자 7명 중 1명 의식 불명 상태로 발견
-
5
IT 방산 스타트업 안두릴 기업가치 40조로 치솟아
-
6
정선군, 동강 물줄기 위 속섬에 청보리·홍메밀 밭 조성
-
7
“딥시크 쇼크라더니, 여긴 일주일 수익률 15% 대박”...날개 단 이 펀드
-
8
"LG 그램 프로 신제품 팝업스토어에서 체험하세요"
-
9
LG디스플레이, 70여개 협력사 초청 '동반성장 새해모임'
-
10
‘비리 은행’ 이번엔 꼬리자르기 논란...뒤늦게 부행장 과거 행적 물어 경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