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시, 5개년 인구정책…11조7천56억원 투입

장덕종

입력 : 2025.03.27 14:27:53


광주시 인구정책위원회
[광주시 제공]

(광주=연합뉴스) 장덕종 기자 = 광주시가 오는 2029년까지 청년인구 순유출 제로와 합계출산율 1.0명대 회복을 목표로 인구정책 장기계획을 마련했다.

27일 광주시에 따르면 시는 전날 시청에서 광주인구정책위원회를 열어 5개년(2025∼2029년) 인구정책 기본방향을 담은 '제2차 광주시 인구정책 종합계획'을 심의·의결했다.

시는 5년 동안 약 11조7천56억원을 투입해 청년 중심의 교육·일자리 정책을 강화하고, 사람과 기업이 모이는 서남권 거점도시의 중심성을 회복하는 인구정책 로드맵을 추진한다.

아이키움 안심 사회 조성, 지속 가능한 일자리로 인구 유입 경제 실현, 활력있는 도시 공간, 미래 인구구조 적응력 제고 등 4대 정책 방향을 설정하고 139개 세부 과제를 마련했다.

시는 결혼, 출산, 돌봄, 일·생활 균형 등 생애주기별 사업 추진을 통해 아이 키우기 좋은 사회를 만드는 데 주력할 계획이다.

현금성, 돌봄, 의료, 일·생활 케어를 지속적으로 확대하고 중소기업 근로자와 소상공인에 대한 지원을 강화한다.

가정 돌봄 강화를 위해 2025년 출생아부터 1인당 50만원의 '출생가정 축하 상생카드'를 지원하고, 2022년 전국 최초로 시행한 '초등 학부모 10시 출근제' 대상자를 300명에서 500명으로 확대 추진한다.

1인 여성 자영업자를 위해 임신·출산 대체인력비(100만원씩 3개월) 지원사업 등을 추진한다.

광주시는 교육과 산업을 키우고 연결해 청년들이 일하며 머무를 수 있는 도시 조성에 전력한다.

인공지능(AI) 2단계인 AX(인공지능 전환) 실증밸리, 100만평 미래차국가산단, 광주 의료특화 산업단지 등을 가동, 미래 먹거리를 마련하고 양질의 일자리를 창출할 계획이다.

호남권 최대 규모인 '광주역 창업밸리'를 청년창업 거점으로 육성해 도시 경쟁력을 확보해 나갈 방침이다.

이와 함께 모빌리티·에너지·반도체·인공지능 등 지역 전략산업과 연계한 대학지원체계(RISE)를 강화한다.

복합쇼핑몰 등 다양한 즐길 거리를 확충해 정주 여건 개선에도 속도를 낸다.

강기정 시장은 "인구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주거, 일자리, 도시 매력도 등 다각적인 전략이 필요하다.

이 중 일자리가 핵심이다"며 "산업은 지키고 창업은 늘리고 보건 서비스 영역의 질을 높여 사람과 기업이 모이고, 살기 좋은 광주를 만들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지난해 광주의 합계출산율은 0.70명으로, 전국 평균(0.75명)보다 낮았다.

연간 인구 9천명 이상이 줄어들고 있으며, 이 중 6천명 이상이 청년층인 것으로 파악됐다.

cbebop@yna.co.kr(끝)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07.06 18:23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