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학개미의 귀환 "아마존보다 알리바바"
김정석 기자(jsk@mk.co.kr)
입력 : 2025.03.27 17:53:54 I 수정 : 2025.03.27 20:10:54
입력 : 2025.03.27 17:53:54 I 수정 : 2025.03.27 20:10:54
이달 알리바바 4천만불 순매수
아마존은 831만불 순매도 나서
올해 들어 중국 증시가 두드러지게 성장하자 한국인 투자자들도 뭉칫돈을 쏟아붓고 있다.
27일 한국예탁결제원에 따르면 올해 들어 지난 26일까지 국내 투자자들은 홍콩 증시와 중국 증시에서 5억877만달러(약 7479억원)어치를 순매수했다. 지난해 중화권 증시에서 6억달러에 가까운 매도 우위를 기록하는 등 2022년부터 순매도세를 지속하던 국내 투자자들이 올해 들어 중국 주식을 쓸어담고 있는 것이다.
특히 이달에는 결제일 기준으로 홍콩 증시에 상장된 알리바바를 8500만달러(약 1250억원)어치 매수했지만 미국을 대표하는 전자상거래 플랫폼 아마존은 8124만달러(약 1200억원)어치를 매입하는 데 그쳤다. 이달 들어 26일까지 알리바바를 4000만달러 넘게 순매수하는 동안 아마존은 831만달러어치를 순매도한 상황이다.
중국 기술주가 이미 단기 과열 구간에 진입했다는 우려도 나온다. 신승웅 신한투자증권 연구원은 "중국 기술주 랠리가 과열 부담을 느끼게 하는 단계에 이르렀다"고 말했다.
[김정석 기자]
아마존은 831만불 순매도 나서
올해 들어 중국 증시가 두드러지게 성장하자 한국인 투자자들도 뭉칫돈을 쏟아붓고 있다.
27일 한국예탁결제원에 따르면 올해 들어 지난 26일까지 국내 투자자들은 홍콩 증시와 중국 증시에서 5억877만달러(약 7479억원)어치를 순매수했다. 지난해 중화권 증시에서 6억달러에 가까운 매도 우위를 기록하는 등 2022년부터 순매도세를 지속하던 국내 투자자들이 올해 들어 중국 주식을 쓸어담고 있는 것이다.
특히 이달에는 결제일 기준으로 홍콩 증시에 상장된 알리바바를 8500만달러(약 1250억원)어치 매수했지만 미국을 대표하는 전자상거래 플랫폼 아마존은 8124만달러(약 1200억원)어치를 매입하는 데 그쳤다. 이달 들어 26일까지 알리바바를 4000만달러 넘게 순매수하는 동안 아마존은 831만달러어치를 순매도한 상황이다.
중국 기술주가 이미 단기 과열 구간에 진입했다는 우려도 나온다. 신승웅 신한투자증권 연구원은 "중국 기술주 랠리가 과열 부담을 느끼게 하는 단계에 이르렀다"고 말했다.
[김정석 기자]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
1
정부, 美에 "車 운반선 입항 수수료 타깃은 中…韓은 빼달라"
-
2
“원장님, 서울페이로 결제되죠?”…지역화폐, 사교육비 할인 수단으로
-
3
한·영국 FTA 5차 개선협상…서비스·투자·디지털무역 등 논의
-
4
배드뱅크 재원 절반 전금융권서 부담…빚탕감 속도낼듯
-
5
우즈베키스탄서 울산 조선업 인력 97명 배출
-
6
굳어지는 저성장…"韓 잠재성장률 올해 사상 처음 1%대로 하락"
-
7
“그 회사 비트코인은 얼마나 있어?”…가상자산 보유량이 주가 가른다
-
8
트럼프 韓 포함 12개국에 관세폭탄 경고…‘최대 70%’ 충격파 터뜨릴까
-
9
롯데온, 5일간 '엘데이 행사'…워터파크 이용권 등 할인
-
10
"중국 車업계 제품 차별화 경쟁, 전동화 넘어 자율주행·SDV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