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불 진화까지 213시간 34분…산청 산불 역대 2번째 기록(종합2보)
2002년 울진 산불 최장 기록 213시간 43분보다 겨우 9분 빨라발생 10일째 지리산 불길 잡히며 진화 완료…하동 등 인근까지 초토화강풍에 비화 현상으로 불길 확산…지자체 중심 잔불 진화 체계로 변경
박정헌
입력 : 2025.03.30 18:12:07
입력 : 2025.03.30 18:12:07

지난 28일 오후 경남 산청군 시천면 상공에서 CH-47 치누크(Chinook) 헬기가 산불 진화를 위해 이동하고 있다.[연합뉴스 자료사진]
(산청=연합뉴스) 박정헌 기자 = 지난 21일 경남 산청군에서 발생해 약 213시간 만에 꺼진 산불은 역대 2번째로 길게 지속된 것으로 확인됐다.
30일 산림당국에 따르면 이날 오후 1시를 기점으로 열흘간 이어진 산청 산불의 주불 진화가 완료됐다.
산불영향 구역은 1천858㏊로 축구장 2천602개에 달하는 면적이 피해를 봤다.
지난 21일 오후 3시 26분께 산청 시천면 한 야산에서 발생한 뒤 정확히 213시간 34분 만이다.
이는 역대 최장기 산불이었던 2022년 울진 산불 213시간 43분보다 겨우 9분 빠른 기록이다.
2022년 울진 산불은 3월 4일 오전 11시 17분 최초 발화해 13일 오전 9시 주불이 잡혔다.
이번 산청 산불로 3위로 밀려난 2000년 삼척 산불은 4월 7일 오전 10시 32분 불이 나 15일 오전 9시 주불 진화까지 약 190시간이 걸렸다.
이번 산청 산불은 최초 발화 이후 산림당국은 '산불 3단계'를 발령하고 진화에 나섰으나 강풍으로 화재 규모가 삽시간에 커지며 23일에는 인근인 하동 옥종면, 25일에는 진주 수곡면까지 화마에 휩싸였다.
진주지역 산불의 주불은 발화 2시간 만인 당일 오후 6시 15분께 꺼졌다.
그러나 산청·하동 산불은 계속 확산세를 보이며 26일에는 바람을 타고 산청 시천면 구곡산 능선을 넘어 지리산국립공원 일부까지 번졌다.
산불 초기 이승화 산청군수가 진화작업을 지휘했으나, 발생 당일 산불영향구역이 100㏊를 넘기면서 박완수 경남지사에게 지휘권이 넘어갔다.
23일에는 산불영향구역이 1천㏊를 넘어가며 임상섭 산림청장이 통합지휘를 맡았다.
이후 산림청과 경남도, 산청군·하동군·소방·경찰·국방부·기상청·국가유산청·국립공원공단·산림조합 등 유관기관을 총동원한 진화작업이 이어졌다.

지난 27일 오후 경남 산청군 시천면 야산에서 야간 산불이 확산하고 있다.[연합뉴스 자료사진]
지리산 산불은 피해 면적이 123㏊로 전체 피해 면적과 비교해 규모는 작은 편이다.
그러나 험준한 지형과 식생, 강풍 등 요인이 진화대원들의 발목을 잡았다.
지리산 산불 현장의 하층부에는 조릿대, 진달래 등이, 중·상층부에는 굴참나무와 소나무 등이 고밀도로 자라며 헬기가 공중에서 투하한 진화용수가 지표면까지 제대로 도달하지 못했다.
낙엽층은 최대 깊이 100㎝에 무게만 ㏊ 당 300∼400t에 달했다.
산불은 낙엽층을 연료 삼아 확산하는 '지중화' 양상까지 보였다.
경사도가 40도에 달할 정도로 급하고 진입로가 없어 공중진화대, 특수진화대, 고성능 산불 진화차 등 인력과 장비 투입이 여의찮았다.
게다가 순간풍속이 최대 초당 10∼20m를 넘나드는 강풍이 불며 불티가 이리저리 흩날리는 비화 현상이 생겨 진화작업을 더욱 어렵게 만들었다.
한때 지리산 최고봉인 천왕봉에서 4.5㎞ 떨어진 관음사 인근까지 연기가 피어오르며 국립공원 피해가 커지는 것 아니냐는 우려도 나왔다.
산불이 지속되는 동안 두 차례 비가 오기도 했으나 누적 강수량 1㎜ 미만으로 빗방울이 몇 분간 흩날리는 수준에 그쳐 큰 도움은 되지 못했다.
그러나 특수·공중진화대 등 진화대원들이 밤샘 작업을 마다하지 않는 등 각고의 노력을 기울인 끝에 이날 주불을 잡을 수 있었다.
특히 주한미군이 보유한 치누크(CH-47) 기종을 포함한 수십 대의 헬기가 수시로 투입되면서 진화에 결정적 역할을 했다.

지리산국립공원 경남사무소 직원이 지난 26일 경남 하동군 옥종면에서 잔불 진화 작업을 벌이고 있다.2025.3.27 [경남사무소 제공.재판매 및 DB 금지]
주불 진화가 완료되며 산불 관리는 지방자치단체 중심 잔불 진화 체계로 변경된다.
도와 산청·하동 등 관계기관을 중심으로 헬기 40대를 동원해 잔불 진화를 이어간다.
이 밖에 산림청 산불재난특수진화대와 고성능 산불진화차 등 장비도 지원된다.
잔불 정리까지 최종 마무리되려면 일주일에서 열흘가량 시일이 걸릴 전망이다.
산림청은 5월 중순까지 봄철 산불대책기간을 운영하며 전국 지자체, 유관기관과 함께 산불 예방과 대응에 나설 방침이다.
임상섭 산림청장은 "이번 산불 진화가 빠르게 이뤄지지 못한 이유는 현지 특성상 두꺼운 활엽수 낙엽층이 있었기 때문"이라며 "헬기로 많은 물을 투하했으나 불이 낙엽층 아래에 있어 꺼진 산불이 다시 되살아 나는 일이 반복됐다"고 말했다.
이어 "해발 900m의 높은 봉우리에는 접근하기 위해 필요한 임도가 없고, 활엽수 낙엽층과 밀도가 높은 작은 나무, 풀들로 인력을 현장에 투입하기 어려웠다"며 " 현장에서 진화작업을 수행한 모든 분의 헌신적 노력에 감사의 말씀을 드린다"고 덧붙였다.
이번 산불이 장기화하며 인명·재산 피해도 잇따랐다.
진화작업 중 불길에 고립된 창녕군 소속 산불진화대원과 공무원 등 4명이 숨지고 10명이 중·경상을 입었다.
이재민은 총 2천158명 발생했으며 주택 28곳, 공장 2곳, 종교시설 2곳 등 시설 84곳이 피해를 봤다.

미 항공우주국(NASA·나사)은 한국 산불 발생 상황을 보여주는 지난 22일 자 위성 사진을 올렸다.나사 어스 옵서버토리(Earth Observatory)는 아쿠아(AQUA) 위성이 촬영한 사진을 게시하며 "경북 안동시 인근 의성군과 경남 산청군 화재 지역에서 연기가 피어오르고 있다"라고 설명했다.[NASA 어스 옵서버토리 캡처.재판매 및 DB 금지]
home1223@yna.co.kr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
1
한컴위드 "계열사 한글과컴퓨터 주식 200억원에 추가취득"
-
2
EU수장, 美상호관세 앞두고 "강력한 보복 계획 준비"
-
3
유로존 3월 물가상승률 2.2%…예측치 부합
-
4
한-안도라 이중과세방지협정 발효…"양국 경제교류 확대에 기여"
-
5
애경그룹, 애경산업 매각 검토…"재무구조 개선"
-
6
'업계 최장수 CEO' 이영관 도레이첨단소재 회장 퇴임
-
7
진주·거창 야산서 불 잇따라…주불 모두 진화(종합2보)
-
8
최태원 SK 회장 "사회문제 해결 위해 기업들 협력·연대해야"
-
9
"반도체 파운드리 4, 5위 대만UMC와 美GF 합병 검토"
-
10
현대제철 노조, 당진 냉연공장 파업 중단…임단협 재개 수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