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U, 내주 美철강관세 대응수위 결정…車·상호관세는 고심

'철강관세 보복' 두 차례 시행 연기…역효과 우려에 강경→협상모드
정빛나

입력 : 2025.04.06 21:04:09


EU 깃발과 성조기
[AFP 연합뉴스 자료사진.재판매 및 DB 금지]

(브뤼셀=연합뉴스) 정빛나 특파원 = 유럽연합(EU)이 두 차례 연기 끝에 내주 미국의 철강 관세에 대한 보복 조치를 확정한다.

복수 EU 당국자에 따르면 EU 행정부 격인 집행위원회는 오는 7일(현지시간) 미국의 철강·알루미늄 25% 관세에 대응하기 위한 보복관세 대상 품목을 확정, 27개 회원국에 제시할 예정이다.

이 안은 9일 회원국 표결로 확정된다.

EU 전체 인구의 65% 이상에 해당하는 15개국 이상이 반대하지 않으면 집행위 원안대로 시행된다.

이 조치는 철강·알루미늄 관세로 인한 피해 규모에 비례해 총 260억 유로(약 42조원) 상당의 미국산 상품에 최고 50% 추가 관세를 부과한다는 내용이 골자다.

도널드 트럼프 미 행정부가 잇달아 발표한 관세 계획에 대한 EU의 1차 보복 조처로 지난달 12일 발표됐다.

발표 당시 집행위는 이 조치를 이달 1, 13일 두 단계로 시행하겠다고 예고했다가 협상 시간 확보를 이유로 '이달 중순 일괄 시행'으로 한 차례 연기했다.

그러나 지난 2일 다시 내주 최종안이 확정되더라도 '일괄 시행'이 아닌 오는 15일, 내달 15일 두 단계에 걸쳐 시행된다고 설명했다.

두 차례나 계획을 변경하면서 협상 여지를 열어둔 것이다.

트럼프 대통령이 보복 시 재반격하겠다고 압박하자 초기 강경 전략에서 한발 물러난 것이란 분석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달 EU 보복 패키지에 미국산 버번위스키가 포함됐다는 사실을 문제 삼아 와인을 비롯한 모든 EU산 주류에 200%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경고했다.

이에 내주 발표될 집행위 최종 보복 관세 명단에 버번위스키가 포함될 지가 최대 관심사가 됐다.

미국 마트에 진열된 프랑스산 와인
[로이터 연합뉴스 자료사진.재판매 및 DB 금지]

EU는 철강 관세보다 더 막대한 타격이 될 자동차, 상호관세의 대응 수위를 두고는 장고를 거듭하고 있다.

미국은 3일부터 모든 수입산 자동차에 25% 관세를 부과하기 시작했다.

5일부터는 모든 국가에 10%의 기본 관세가 발효됐고, 9일부터는 EU산 모든 제품의 상호관세율이 10%에서 20%로 올라간다.

집행위는 상호관세로 2천900억 유로(약 470조원) 상당의 EU산 상품이 영향을 받을 것으로 추산했다.

철강 관세의 10배 이상 규모다.

자동차 부문은 670억 유로(약 109조원) 상당 제품이 사정권에 있다.

또 철강, 자동차, 상호관세로 전체 대미 수출의 70%가 타격을 받을 전망이다.

집행위는 "모든 옵션이 고려 대상"이라면서도 '협상 모드'라며 추가 보복 조치에 대해선 말을 아끼고 있다.

일각에서는 미국의 서비스·디지털 부문을 겨냥할 것이란 관측이 나오지만 아직은 모두 아이디어 수준인 것으로 알려졌다.

회원국 간 이견도 집행위로선 고민거리다.

무역정책이 집행위 권한이라 하더라도 역내 다양한 의견을 고려하지 않을 수 없는 탓이다.

프랑스, 독일은 강경한 대응을 촉구했다.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은 지난 3일 트럼프 행정부와 관세 관련 문제가 해결될 때까지 유럽 기업들의 대미 투자 결정을 보류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로베르트 하베크 독일 경제기후보호장관도 "우리는 강력한 입장이다.

우리(EU)는 많은 국가, 전 세계 많은 지역과 힘을 합쳐 미국을 압박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반면 카를로스 쿠에르포 스페인 경제통상장관은 "여전히 협상을 통한 해결책을 요구한다"고 말했다.

이탈리아도 강경 대응 시 부메랑이 될 수 있다며 신중해야 하다고 촉구했다.

이런 가운데 EU 27개국은 7일 룩셈부르크에서 무역장관회의를 열고 대미 관세에 관한 통일된 입장 조율을 시도한다.

회의를 통해 대미 협상 메시지를 거듭 발신하는 한편 협상 불발 시 강력한 조처를 하겠다는 뜻을 재확인하는 것이 목표라고 EU 당국자는 전했다.

shine@yna.co.kr(끝)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04.08 02:28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