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테마시황
입력 : 2025.04.07 08:37:01
제목 : 미국 테마시황
4/4(현지시간) 뉴욕증시가 트럼프 상호관세 쇼크 여파 지속, 파월 Fed 의장 매파적 발언 등에 폭락세를 이어간 가운데, 주요 테마들도 대부분 하락. 특히, 중국 의존도가 높은 애플(-7.29%), 엔비디아(-7.36%), 테슬라(-10.42%)가 연일 급락한 가운데 모바일, 반도체, 전기차 테마가 큰 폭으로 하락했고, 마이크로소프트(-3.56%) 등 컴퓨터, 아마존(-4.15%), 알파벳A(-3.40%), 메타(-5.06%) 등 인터넷 등 여타 M7 관련 테마들도 연일 하락. 중국이 트럼프 관세에 맞대응, 듀폰에 대한 반독점 조사에 착수했다고 밝히면서 듀폰(-12.75%)이 폭락하는 등 화학 테마가 하락했고, 중국 수출 규모가 큰 보잉(-9.49%)과 캐터필러(-5.78%)도 큰 폭으로 하락하는 등 산업재 테마가 하락. 국제유가 폭락세 지속 속 엑슨모빌(-7.20%), 셰브론(-8.22%) 등 석유, 금가격 하락 속 뉴몬트(-8.59%) 등 금(金) 테마가 하락.
이 외 IBM(-6.58%) 등 S/W 및 IT 서비스, 이베이(-5.97%) 등 전자상거래, 페이팔(-5.41%) 등 전자결제, 로블록스(-9.03%) 등 게임, 넷플릭스(-6.67%) 등 미디어, 버라이즌(-5.68%) 등 통신, 화이자(-5.43%) 등 제약/바이오, 뱅크오브아메리카(-7.60%) 등 은행, 비자(-7.74%) 등 카드, 메트라이프(-9.01%) 등 보험, 코카콜라(-4.44%) 등 음식료, 델타 항공(-3.77%) 등 항공, 에어비앤비(-6.41%) 등 여행, 넥스트에라 에너지(-7.25%) 등 신재생에너지, 듀크 에너지(-4.13%) 등 전력, 아이온큐(-11.05%) 등 양자, 오클로(-9.55%) 등 원자력 등의 테마가 하락.
이 외 IBM(-6.58%) 등 S/W 및 IT 서비스, 이베이(-5.97%) 등 전자상거래, 페이팔(-5.41%) 등 전자결제, 로블록스(-9.03%) 등 게임, 넷플릭스(-6.67%) 등 미디어, 버라이즌(-5.68%) 등 통신, 화이자(-5.43%) 등 제약/바이오, 뱅크오브아메리카(-7.60%) 등 은행, 비자(-7.74%) 등 카드, 메트라이프(-9.01%) 등 보험, 코카콜라(-4.44%) 등 음식료, 델타 항공(-3.77%) 등 항공, 에어비앤비(-6.41%) 등 여행, 넥스트에라 에너지(-7.25%) 등 신재생에너지, 듀크 에너지(-4.13%) 등 전력, 아이온큐(-11.05%) 등 양자, 오클로(-9.55%) 등 원자력 등의 테마가 하락.
관련 테마분석
2차전지
2차전지(Secondary battery)란 한 번 쓰고 버리는 배터리가 아닌 재충전이 가능한 배터리(rechargeable battery)를 의미함. 즉, 충전과 방전을 반복할 수 있는 전지이며, 양극재, 음극재, 분리막, 전해질 4대 핵심 소재로 구성. 2차전지는 스마트폰, 태블릿PC, 노트북 등 모바일/휴대용 IT기기와 전기차/하이브리드카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음. |
- 히스토리
☞2025-04-04 美 관세 영향 제한적 분석 및 실적 회복 기대감 등에 상승(주도주 : 에스코넥, 에코프로, 코스모화학, 에코앤드림, 에코프로비엠) |
☞2025-04-03 美 상호관세 발표 속 트럼프 대통령, 한국 자동차 비관세 장벽 비판 등에 하락 |
☞2025-04-02 美 상호관세 발표 우려 지속, 테슬라 유럽 판매 부진 소식 등에 하락 |

반도체 대표주(생산)
메모리, 플래시메모리, 비메모리, 주문형반도체를 제조하고 있는 국내 메이저 반도체생산업체들. IT경기와 밀접한 상관성을 보이고 있으며 이들 업체들의 설비투자와 분기실적이 반도체장비/소재업체들의 주가에 큰 영향을 주고 있음. |
- 히스토리
☞2025-04-04 美 필라델피아 반도체(-9.88%) 지수 폭락 및 트럼프 대통령, 반도체 관세 예고 소식 속 하락 |
☞2025-04-03 美 상호관세 발표 속 글로벌 무역전쟁 우려 확산 등에 하락 |
☞2025-04-01 3월 반도체 수출 호조 등에 상승(주도주 : SK하이닉스, DB하이텍, 삼성전자) |

석유화학
석유화학이란 나프타, 천연가스를 원료로 에틸렌, BTX원료를 생산하는 공업과 이들 기초유분을 원료로 합성수지, 합성고무 등을 생산하는 공업을 총칭함. 중간 소재산업으로서 공급 능력과 경쟁력 확보에 따라 전방산업에 대한 파급효과가 큰 자본집약적이며 고부가가치의 장치산업임. |
- 히스토리
☞2025-04-04 미국 상호관세 영향 중립적 or 상대적으로 긍정적 분석 등에 상승(주도주 : 티케이케미칼, 한화솔루션, LG화학, 그린케미칼, SK이노베이션) |
☞2025-03-26 업황 개선 기대감 등에 상승(주도주 : 대한유화, 금호석유, LG화학) |
☞2025-03-17 업황 둔화 국면 지속 전망 등에 하락 |

전기차
전기자동차는 화석연료와 엔진을 사용하지 않고, 전기 배터리와 전기 모터를 사용하는 자동차로 저렴한 유지비와 무공해, 무소음 등의 장점을 갖고 있어 향후 기존 자동차를 대체할 미래형 친환경차로 손꼽히고 있음. 친환경을 추구하는 세계적 추세와 더불어 관련 기술개발이 꾸준히 이루어지고 있는 가운데, 테슬라를 퍼스트무버로 관련업체들의 중장기적인 수혜가 예상됨. |
- 히스토리
☞2025-04-04 美 관세 영향 제한적 분석 및 실적 회복 기대감 등에 상승(주도주 : 휴맥스, 엘앤에프, 코스모신소재, 상아프론테크, LG에너지솔루션) |
☞2025-04-03 美 상호관세 발표 속 트럼프 대통령, 한국 자동차 비관세 장벽 비판 등에 하락 |
☞2025-04-02 美 상호관세 발표 우려 지속, 테슬라 유럽 판매 부진 소식 등에 하락 |

건설기계
건설기계 및 중장비 부품/완제품 생산, 판매업체. 건설기계란 토목공사 및 건축공사 등의 건설공사에 쓰이는 기계 또는 중장비를 통칭하며, 대표적으로 덤프트럭, 불도저, 굴삭기(포크레인), 로우더, 크레인 등이 있음. 국내외 국가주도 대규모 SOC 사업, 인프라공사 등의 추진에 따라 부각되는 경향이 있음. |
- 히스토리
☞2025-03-19 트럼프-푸틴, 우크라戰 부분휴전 합의 소식 속 하락 |
☞2025-03-18 트럼프 美 대통령,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우크라이나 종전 협의 기대감 속 일부 관련주 상승(주도주 : 전진건설로봇, 흥국, HD현 대건설기계) |
☞2025-03-05 우크라이나 젤렌스키 대통령, 美-우크라 간 광물개발협정 서명 준비 의사 전달 소식 등에 상승(주도주 : 전진건설로봇, HD현대인프라코어, 진성티이씨, HD현대건설기계, 현대에버다임) |

아이폰
미국 애플사의 휴대 전화 시리즈로 2007년 첫 출시됐으며, 1년 주기로 신제품을 공개. 디지털 미디어 플레이어인 아이팟(iPod), 휴대폰, 인터넷 및 이메일 송수신 등이 가능하며, OS로 iOS라는 독자적인 플랫폼을 사용. 카메라, OLED/LCD 디스플레이, 배터리, 칩셋 및 프로세서(AP), D램, 낸드플래시, 기판과 적층세라믹콘덴서(MLCC) 등 다양한 부품이 적용되고 있으며 관련 업체들이 관련주로 부각. 아이폰 판매량 및 신제품 공개 등에 영향을 많이 받는 경향이 있음. |
- 히스토리
☞2025-03-13 아이폰 출하량 전망치 하향 속 애플(-1.75%) 주가 약세 등에 하락 |
☞2025-02-19 아이폰SE 4세대 공개 기대감 지속 등에 상승(주도주 : 아이티엠반도체, 덕우전자, 프로텍, SK하이닉스, 삼성SDI) |
☞2025-02-14 아이폰SE 4세대 공개 전망 속 상승(주도주 : 슈피겐코리아, 인터플렉스, 영풍, 삼성전기) |

Copyright ⓒ True&Live 증시뉴스 점유율1위, 인포스탁(www.infostock.co.kr)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
1
“비싸기만 한 공격용 헬기, 차라리 드론이 낫다”...아파치 추가도입 예산 전액 삭감
-
2
“소비자 입장에서 느꼈던 불편함 개선했더니 사업 성장했죠”
-
3
"이번에 안 바꾸면 아이도 위험?" 통신사 과열 마케팅 논란
-
4
'크루즈 타고 북해도로' 강원도, 체험단 모집에 경쟁률 9.4대1
-
5
金총리 "대통령실 포함 당정은 한몸…국민 살리는 각오 전력투구"
-
6
이틀 남은 '상호관세 시한폭탄'…美 유예연장 여부에 쏠린 눈
-
7
비트코인 쓸어담는 기업들…보유량 18% 쑥
-
8
배당 분리과세 도입되나 … 배당성장주 주목
-
9
이번주 美 상호관세 유예 연장 촉각
-
10
김회수 포프리 대표 “계란 넘어 프리미엄 식품 직배송...전략적 투자 파트너 환영”[비즈니스 리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