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증시, 역성장 쇼크 불구 낙폭 만회…다우 0.4%↑ 마감(종합)

다우·S&P500지수 7거래일 연속 상승…나스닥은 약보합 마감
이지헌

입력 : 2025.05.01 05:34:36
다우·S&P500지수 7거래일 연속 상승…나스닥은 약보합 마감 (뉴욕=연합뉴스) 이지헌 특파원 = 뉴욕증시는 30일(현지시간) 미국 경제가 1분기 역성장(마이너스 성장)했다는 소식에 약세로 출발했으나 이를 상당 정도 만회한 가운데 거래를 마쳤다.

이날 뉴욕증시에서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141.74(0.35%) 오른 40,669.36에,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전장보다 8.23포인트(0.15%) 오른 5,569.06에 마감했다.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종합지수는 전장보다 14.98포인트(-0.09%) 내린 17,446.34에 약보합으로 장을 마쳤다.

다우지수와 S&P 500 지수는 이날 1분기 성장률 악화 소식에 2% 안팎까지 하락하며 약세를 보였으나 장 마감을 앞두고 낙폭을 회복하며 상승 반전, 이날까지 총 7거래일 연속 상승세를 기록했다.

미 상무부는 1분기 미국의 국내총생산(GDP) 증감률(속보치)이 -0.3%(직전분기 대비 연율)로 집계됐다고 이날 밝혔다.

미국 경제가 분기 기준으로 역성장한 것은 지난 2022년 1분기(-1.0%) 이후 3년 만이다.

도널드 트럼프 미 행정부의 관세 시행을 앞두고 수입이 급증한 게 1분기 성장률 하락의 주된 배경이 됐다.

다만, 미국 경제 수요의 기조적 흐름을 보여주는 민간지출(국내 민간구매자에 대한 최종 판매) 증가율이 3.0%로 견조한 흐름을 보이면서 경기 낙관론의 불씨를 살렸다.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통화정책의 준거로 삼는 물가지표인 개인소비지출(PCE) 가격지수 상승률은 3월에 전년 동월 대비 2.3%로 둔화했지만, 관세 정책의 충격이 반영되기 이전의 수치다 보니 시장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이었다.

한편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마이너스 성장률 소식 및 개장 초 증시 약세에 "이것은 바이든의 주식시장이지, 트럼프의 것이 아니다"라며 전임 조 바이든 행정부에 책임을 돌렸다.

그러면서 "번영이 시작되면 이전에 없던 수준이 될 것"이라며 "인내심을 가지라"고 말했다.

뉴욕 증권거래소의 트레이더
[뉴욕=로이터 연합뉴스.재판매 및 DB 금지]

pan@yna.co.kr(끝)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05.01 10:39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