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도 진격" K-방산 '빅4' 수주잔고 100조원 육박
한화에어로 31조·KAI 25조·LIG넥스원 20조 등 넉넉한 일감 확보현대로템, 폴란드와 K2 전차 820대 '2차계약' 협상…체결 기대감↑유럽·중동 등 방위비 증액 움직임…"경쟁력 갖춘 K-방산에 기회"
김동규
입력 : 2025.05.05 06:15:01
입력 : 2025.05.05 06:15:01

[연합뉴스 자료사진]
(서울=연합뉴스) 김동규 기자 = 글로벌 방산 시장에서 약진을 거듭하고 있는 K-방산 주요 기업들이 100조원 가까운 수주잔고를 쌓아두며 고속 성장을 예약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럽·중동 등의 주요국들이 지정학적 불확실성 증대에 따라 방위비 증액을 추진하는 가운데 K-방산 주요 기업들은 적극적인 수주 전략을 짜며 투자를 확대하고 있어 K-방산이 선진국 도약의 전기를 맞을 수 있다는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5일 방산업계에 따르면 한화에어로스페이스, 한국항공우주산업(KAI), LIG넥스원, 현대로템 등 '빅4'로 불리는 한국 4대 방산기업의 수주잔고는 약 94조9천억원으로, 100조원에 근접한 것으로 집계됐다.
방산업계 맏형 격인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최근 공시한 실적 발표를 통해 1분기 기준 지상방산 분야 수주잔고가 31조4천억원에 달한다고 밝혔다.
과거 방산업체들의 수주잔고는 우리 군의 국방력 강화를 위한 내수 비중이 절대적이었으나, 한화에어로스페이스의 현재 수주잔고 구성을 보면 수출 비중이 65%로 내수(35%)보다 높아 체질 개선이 이뤄졌다.

[연합뉴스 자료사진]
글로벌 베스트셀러인 K9 자주포를 앞세운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작년에도 폴란드에 다연장로켓 천무 EC2(2조3천억원), 루마니아에 K9(1조4천억원), 사우디아라비아에 지대공 유도무기(SAM) 발사대(9천억원) 등 수출 계약을 잇달아 맺으며 수주잔고를 추가했다.
여기에 올해 인도와 맺은 K9 2차 수출 계약과 폴란드와 맺은 KAAB 자주포 차체 구성품 계약 실적 등이 2분기 수주잔고로 잡힐 예정이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올해도 신규 수주 확대 및 수출 지역 다변화 전략을 지속해 추진할 예정"이라며 "글로벌 생산 거점 확보를 통해 생산 역량과 현지 협력을 강화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지난해 7월 31일 호주 다윈기지 상공에서 피치블랙 훈련에 참여한 한국 공군 F-15K와 필리핀 공군 FA-50PH가 우정 비행하고 있다.2024.7.31 [공군 제공.재판매 및 DB 금지] photo@yna.co.kr
한국형 초음속 전투기 KF-21과 다목적 전투기 FA-50 등을 생산하는 KAI는 최근 발표한 '2025 기업가치 제고(밸류업) 계획'에서 작년 말 기준 수주잔고가 24조7천억원이라고 밝혔다.
KAI의 수주잔고는 2020년 18조4천억원, 2021년 18조7천억원, 2022년 20조7천억원, 2023년 21조8천억원, 2024년 24조7천억원 등으로, 연평균 7.7%의 성장세를 기록하고 있다.
KAI는 "외부 환경 변화에도 국내 사업 및 기체 구조물 사업에서 안정적인 수주잔고 증가 흐름이 유지되고 있다"며 "대규모 완제기 수출 사업 수주를 바탕으로 지속 성장 기반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LIG넥스원 제공.재판매 및 DB 금지]
유도 무기 전문업체인 LIG넥스원도 작년 말 영업보고서 기준 20조원의 넉넉한 수주잔고를 확보하고 있다고 밝혔다.
수출 비중은 50% 이상이다.
LIG넥스원의 수주잔고는 2019∼2021년 6조∼8조원대에 머물렀으나 2022년 아랍에미리트(UAE)에 중거리 지대공 유도무기 체인 천궁Ⅱ(2조7천억원) 수출을 성공시키며 12조원대로 올라섰다.
이어 2023년에는 사우디에 천궁Ⅱ(4조3천억원) 등 수출로 19조원대를 기록했고, 작년에는 이라크에 천궁Ⅱ(3조7천억원) 수출 등을 추가하며 20조원대로 올라서는 등 수년 사이 2배 이상으로 수직 상승했다.
현재 LIG넥스원의 수주잔고는 작년 연 매출의 6배에 달하는 규모로, 6년 치 일감을 미리 확보한 셈이다.
LIG넥스원은 "앞으로 5년간도 연 매출의 4∼5배에 달하는 수주잔고를 유지할 것으로 기대된다"며 자신감을 나타냈다.

(서울=연합뉴스) UAE 알하므라 훈련장에서 방어작전 야외기동훈련(FTX)에 참가한 K2전차가 적의 공격이 예상되는 지점으로 기동하고 있다.2025.2.21 [육군 제공.재판매 및 DB 금지]
K2 전차를 앞세운 현대로템도 작년 말 기준 18조8천억원의 수주잔고를 확보하고 있다.
전체 수주잔고에서 방산 부문이 차지하는 비중은 20%(3조9천억원) 수준으로, 철도 부문(74%·14조원)의 비중이 더 높지만, 폴란드와의 대규모 K2 수출 계약 체결을 눈앞에 두고 있어 방산부문 수주잔고는 수직 상승할 전망이다.
현대로템은 2022년 폴란드와 K2 전차 1천대 공급을 위한 기본계약을 맺은 뒤 그해 1차 계약을 통해 180대에 대한 계약을 완료하고, 현재 820대 규모의 대규모 2차 계약을 추진하고 있다.
iM증권은 최근 보고서에서 "K2 전차는 성능도 우수하지만 생산능력 측면에서 세계 최고"라며 최대 경쟁자인 유럽 KNDS가 독일 재무장과 서유럽에 집중하는 동안 현대로템은 그 외 유럽과 중동 지역 등을 선점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변용진 iM증권 연구원은 폴란드 2차 계약과 관련해 "K2 전차에 APS(능동방호체계) 등이 추가로 탑재돼 단가 및 총 계약가가 높아질 것으로 보인다"면서 "가격과 사양 등 세부 사항에 대한 협의로 계약이 다소 늦어지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dkkim@yna.co.kr(끝)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
1
"엔비디아, 美규제 피해 中수출 위한 AI 칩 개발 중"
-
2
신안군, 올해 햇빛아동수당 1인당 120만 원 지급
-
3
경기도 '기후보험' 신청하세요…말라리아 등 특정 감염병도 대상
-
4
광주시, 자영업자·소상공인 육아 지원
-
5
[게시판] 우리은행, 위비프렌즈 활용 어린이 금융교육 콘텐츠 공개
-
6
창원 대표 음식 아구찜 맛보는 '마산아구데이축제' 10일 개최
-
7
제주시, 개인지방소득세 합동신고센터 운영
-
8
"화장품도 나를 표현하는 패션"…키링이나 반지 '립밤 인기'
-
9
中관광지 '짝퉁 후지산' 제작 논란…언덕에 흰색 페인트칠
-
10
트럼프 "외국영화에 '100% 관세' 절차 시작 승인…안보 위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