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싼 가전 온라인 구매가 '절반 넘어'…식품도 '쑥'

가전 온라인 침투율 54% 육박…가격이 핵심 요인
전성훈

입력 : 2025.05.05 08:31:00
(서울=연합뉴스) 전성훈 기자 = 소비자들이 많이 찾는 주요 상품 영역 중에서 가전·가구의 온라인 구매 비중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5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에 따르면 가전의 온라인 침투율(소매판매액 대비 온라인 거래액 비율)은 지난해 기준 53.7%로 주요 상품군 중 유일하게 50% 선을 넘었다.

가구가 49.7%, 서적·문구는 49.3%로 각각 50%에 근접했다.

신발·가방(39.9%), 화장품(37.4%), 의류(31.8%) 등 패션·뷰티 영역도 온라인 구매 비중이 30%대로 비교적 높은 축에 속했다.

신선·가공식품은 26.2%로 비중이 가장 낮았다.

코로나19를 계기로 온라인쇼핑 시장이 본격적으로 커지기 시작한 2020년과 비교해도 가전의 온라인 구매 성장세가 두드러진다.

가전의 온라인 침투율은 2020년 38.2%에서 4년 만에 15.5%포인트나 높아져 상승 폭이 가장 컸다.




[연합뉴스 자료사진]

같은 기간 상품 영역별 온라인 침투율은 식품이 13.9%에서 26.2%로 12.3%포인트, 서적·문구는 44.9%에서 49.3%로 4.4%포인트, 의류는 29.1%에서 31.8%로 2.7%포인트 각각 높아졌다.

다만 가구의 온라인 침투율은 2020년 52.3%로 절반을 넘었다가 49.7%로 낮아졌다.

신발·가방도 40.5%에서 39.9%로, 화장품은 39.5%에서 37.4%로 온라인 구매 비중이 되레 각각 작아졌다.

업계에서는 온라인쇼핑 시장에서 가전이 잘 팔리는 이유로 오프라인 매장에 비해 뛰어난 가격경쟁력을 꼽는다.

가전은 가격대가 높아 소비자들이 가장 꼼꼼하게 가격 비교를 하는 영역이다.

그만큼 가격 할인을 포함한 구매 혜택에 민감하게 반응한다.

온라인에서 구매하려는 가전제품의 다양한 정보를 얻을 수 있고 가격대 또는 사양, 브랜드별로 손쉽게 제품 간 비교가 가능하다는 것 역시 장점이다.

부피가 크고 단가가 높은 가구의 온라인 구매 비중이 높은 것도 같은 맥락에서 해석된다.

전자상거래(이커머스) 업계 한 관계자는 "덩치가 큰 가전이나 가구는 오프라인 매장에서도 바로 구매하기 어려운 건 마찬가지인데, 온라인에서 판매가가 더 저렴하고 이미지, 크기, 사양 등 필요한 정보도 손쉽게 얻을 수 있어 구매율이 높은 것 같다"고 설명했다.

장 보는 시민들
(서울=연합뉴스) 강민지 기자 = 숙박·음식점업이 통계 집계 이래 전례 없는 장기 불황을 겪는 것으로 나타난 13일 서울의 한 대형마트에서 시민들이 장을 보고 있다.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에 따르면 지난 2월 숙박·음식점업 생산지수는 103.8(2020년=100)로 1년 전보다 3.8% 감소했다.2025.4.13 mjkang@yna.co.kr

식품의 온라인 침투율이 높아진 점도 눈에 띈다.

과거에는 오프라인 매장에서 신선도를 직접 눈으로 보고 사야 한다는 인식이 강했지만, 최근에는 '콜드체인'(냉장·냉동유통) 물류 정착으로 온라인에서 판매하는 신선식품의 품질이 크게 개선되면서 이러한 인식에 변화가 나타난다.

대용량을 취급하는 오프라인 매장 대신 다양한 생필품을 소량으로 구매하는 것을 선호하는 1∼2인 가구 비중이 커진 것도 온라인 식품 수요가 증가한 요인으로 꼽힌다.

패션도 마찬가지다.

전통적으로 오프라인 매장에서 입어보고 체형에 맞는 상품을 사는 경험 소비가 대세였지만 코로나19를 기점으로 온라인 패션 플랫폼이 급성장하며 젊은 층을 중심으로 많은 소비자가 온라인으로 돌아섰다.

업계 한 관계자는 "인공지능(AI) 기반의 초개인화 서비스, 빠른 배송, 편리한 반품, 고객 구매 후기와 같은 정보 공유 활성화 등으로 오프라인 못지않은 쇼핑 경험을 제공한 게 주효했다"고 분석했다.

lucho@yna.co.kr(끝)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05.05 13:39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