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5대그룹 매출, GDP의 40% 차지…전체 대기업은 80%

文정부 초반 하락, 코로나19 시기 급등…尹정부서 상대적 고공행진
이대희

입력 : 2025.05.06 06:01:01 I 수정 : 2025.05.06 13:31:35


기업 소득 (PG)
[장현경 제작] 일러스트

(세종=연합뉴스) 이대희 기자 = 지난해 5대 그룹의 매출이 국내총생산(GDP)의 40%를 차지하는 등 대기업 집단의 매출이 우리나라 경제 규모의 80% 수준에 육박한 것으로 분석됐다.

6일 관가 등에 따르면 공정거래위원회가 최근 지정한 공시대상기업집단(이하 대기업·자산 5조원 이상) 92곳이 지난해 올린 매출은 2천7조7천억원으로 집계됐다.

한국은행이 발표한 지난해 명목 GDP(2천549조1천억원)의 78.8%에 달하는 규모다.

이 가운데 '상위 대기업'이라고 불리는 상호출자제한기업집단(자산 11조6천억원 이상) 46곳이 올린 매출액은 1천833조1천억원으로 GDP 대비 71.9% 수준이다.

상호출자제한기업집단은 대기업 중 자산 기준으로 상위 50%이고 매출은 91.3%를 차지했다.

대기업에서도 상위 업체들의 집중도가 압도적이라는 뜻이다.

기업 매출은 해외 발생분도 포함하기 때문에 GDP와는 범주가 완전히 일치하지는 않는다.

그렇지만 특정 기간의 산출량을 나타낸다는 공통점을 감안하면 대기업 편중 정도를 따지는 가늠자가 될 수 있다.

재계 1위인 삼성그룹의 지난해 매출액은 공정위 기준으로 331조8천억원이다.

삼성그룹 한 곳의 매출이 우리나라 GDP의 13.0%에 달한다는 뜻이다.

다음은 현대자동차그룹(279조8천억원·11.0%), SK(205조9천억원·8.1%) 순이었다.

삼성·SK·현대자동차·LG·롯데 등 상위 5대 그룹의 매출액은 1천25조원으로 지난해 한국 경제 생산의 약 40%에 달했다.





대기업·중소기업 '갑을문화' 만연 (PG)
[제작 최자윤] 일러스트

대기업 집중 현상은 어제오늘 일은 아니지만 척결해야 하는 '병리 현상' 혹은 경제를 지탱하는 '대들보' 등 정권의 시각에 따라 정책 대응은 판이했다.

2017년 출범한 문재인 정부는 경제민주화를 경제 정책의 한 축으로 삼고 공정위를 앞세워 재벌 개혁을 추진했다.

대기업 부당 내부거래 등 반칙행위를 막고 모든 경제 주체들이 상생하도록 갑을관계를 개선하는 데 방점을 뒀다.

GDP 대비 대기업집단 매출액 비중은 2018년 70.9%에서 2019년 68.7%, 2020년 65.3%로 점차 떨어졌다.

그러다가 코로나19 팬데믹을 계기로 상황이 달라졌다.

위기 대응력이 높은 대기업들의 매출이 크게 상승하면서 이 비율은 2021년 73.5%, 2022년 85.2%까지 뛰었다.

2022년 5월 들어선 윤석열 정부는 법인세 최고세율 인하, 기업 규제 완화 등 친대기업 정책을 펼쳤다.

GDP 대비 대기업 매출액은 2023년 79.4%, 2024년 78.8%로 코로나19 때보다 낮아졌지만 문재인 정부 초반보다 높은 수준을 유지했다.

다음 달 대선 후 본격 윤곽이 드러날 새 정부의 대기업 정책 방향은 어떤 변수로 작용할지 관심이 집중된다.

더불어민주당 후보로 선출된 이재명 대선 후보는 '분배'에 방점을 찍었던 2022년 출마 때와는 달리 인공지능(AI) 등 첨단산업을 중심으로 한 '성장과 실용주의' 노선을 강조하고 있다.

이 후보는 지난 3월 20일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과 만나 기업의 성장을 강조하는 등 '우클릭 행보'를 통해 '반재벌 이미지'를 불식시키려 한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국민의힘 김문수 대선 후보는 '기업 하기 좋은 나라'를 1호 공약으로 전면에 내세운 상태다.

대통령실에 기업 담당 민원 수석을 새롭게 둬 기업과의 소통을 늘리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표] 명목 GDP·공시집단 매출액·상대 비율 단위 : 조원·%
연도명목 GDP(A)공시집단
매출액(B)
B/A
20171,934.21,359.570.3
20182,007.01,422.070.9
20192,040.61,401.668.7
20202,058.51,344.565.3
20212,221.91,633.773.5
20222,323.81,979.185.2
20232,401.21,907.379.4
20242,549.12,007.778.8
※ 자료 : 한국은행·공정위 2vs2@yna.co.kr(끝)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05.08 11:37 더보기 >